메뉴 건너뛰기

close

 
결혼에 대한 다른 생각과 다른 이야기도 필요하다.
 결혼에 대한 다른 생각과 다른 이야기도 필요하다.
ⓒ unsplash

관련사진보기

 
결혼을 '온택트'(Ontact·온라인을 통해 대면하는 방식)로 진행하기로 했다. 주된 생각은 결혼이라는 관례가 '생각을 나누는 과정'으로 재정립됐으면 하고 소망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기존 결혼은 신랑 혹은 신부 한 측의 손님으로 식장을 방문해 지인의 결혼 상대가 누구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박수만 치다 돌아온다. 이러한 결혼식이 과연 '대면'의 본질을 잘 살리는 것인가? 오히려 부부가 결혼하게 된 까닭과 서로가 가진 가치관 등을 주변에 소개하는 것이 더욱더 '대면'적인 것 아닐까?

2020년 12월 2일 오전 9시, 서울 영등포구청에서 '구청 문이 열리자마자' 혼인신고서를 작성한 우리는 이로부터 정확히 180일 뒤인 2021년 5월 30일, 화려한 결혼식장을 대관하고 지인들을 초대하는 행위가 아닌 유튜브로 '시민결합선언식'을 생중계하기로 했다.

이처럼 우리가 왜 관습을 타파하는 결혼식을 하고자 했는지 설명하는 '이상결혼' 시리즈를 5회차에 걸쳐 연재해 보고자 한다. (관련 기사 : 요즘 것들의 결혼식은 이렇습니다 http://omn.kr/1s00s) 

이 이상결혼은 '이상한' 결혼일 수도 있고, 누구에게는 '이상적인' 결혼일 수도 있다. "이렇게 결혼하는 부부도 있구나"라는 메시지를 통해 집안과 집안 간 만남이라는 결혼이 그저 주체적인 '개인 간 만남'으로 거듭나길, 누군가가 용기를 얻기를 바란다.

왜 갑자기 세계시민 이야기를 하냐면.... 

다음은 2021년 3월 13일 오후 6시, 결혼식까지 79일이 남은 상태에서 우리 부부와 우리의 친구인 '진구' 셋이서 나눈 대담이다.

진구: "보통시민과 비정상시민, 정상가족에 대해 이번 결혼으로 이야기하는 건 어느 정도 맥락이 있어. 그런데 세계시민 이야기를 한데서 '갑자기 왜?'라는 생각이 들어."

설아: "정상성을 이루는 것이 국가 안에만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는 맥락이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혁명과 민주화 운동의 주체가 청년과 학생들이었잖아? 그런 정신들은 국가라는 차이보다는 세대 간의 차이로 설명함이 합당할 듯해. 요컨대 국경도 한 사람을 구성하는 많은 정체성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에 불과하다는 이야기지. 보통시민이라는 감수성을 공유하는 세계시민의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어."

동현: "코로나19가 많은 것을 해체하면서, 전세계적으로 서로에 대한 혐오를 강화하는 강력한 계기로 작용하게 된 것도 유감스러워. 동양인, 성소수자, 지방민... 온갖 계층과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과 혐오가 대규모로 표출되고 있었어. 이런 시기야 말로 세계 속에서 나는 무엇인가, 우리가 잃어버렸던 세계시민으로서 정체성을 이야기하기 좋은 시기가 아닌가 생각해. 우리가 경제적·문화적으로 이미 연결된 글로벌 사회를 살아가면서 다른 국가의 사람들이 눈 앞에 안 보인다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건 불가능하잖아?"

진구: "요컨대 이 '언택트 시민결합 선언식'이 코로나19라는 사태로 인해 이뤄졌듯이, 코로나19가 수반해 온 고립과 단절이 세계시민화라는 정체화로 극복될 수 있다는 이야기구나."

설아: "최근의 고립 상황이 장기화됨에 따라 역설적으로 세계시민이라는 정체성이 강화되고 있는 느낌을 받아. 지난 2019년 시민계층에서 한국이 홍콩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연대 등은 활발했지만 정치권이나 이에 연대하는 계층들이 그렇게 광범위하지는 않았거든. 그런데 이번에 코로나 시국이 겹치니 우리나라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미얀마에 대한 선제적 제재를 가결했어. 그런 식으로 우리나라 전체적으로 세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이라고 생각해."

동현: "인구가 줄어들고 한국 하층 노동은 이미 이주노동자가 채우는 환경 속에서 세계시민이라는 정체성 갖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미얀마 이야기 하니까 생각난 건데, 미얀마에서 블랙핑크 로제를 좋아하던 사람이 시위를 하다가 총탄에 맞아서 돌아가신 일이 있어. 이 분에 대해 국경을 넘나들어 로제의 곡으로 추모해주고 있는데, 그런 생각이 든 것이지. 한국이라는 나라는 정상가족성과 일반시민성, 소시민성을 강요하는 나라인데 그런 것 치고는 전세계 사람에게 대한민국이 민주화의 상징과 같은 국가이며 빛나는 K팝 한류의 나라로 인식되고 있잖아? 과연 이런 상황 속에서 그런 나라에 살고 있는 우리의 책임이란게 어느 정도 있다고 생각해."

진구: "그런데 한국은 동서남북이 막혀 있어서 다른 나라에 비해 세계시민으로서 정체성이 희미하지 않나?"

동현: "한국 경제가 전세계에 의존적이고 글로벌 밸류체인 없이 독자적 생존 불가능한 나라고, 또 문화수출 강국이야. 그런데 문화정서적으로는 외국인을 배척하고 암암리에 인종차별과 인종혐오가 강해. 이 간극이 벌어지다가 언젠가는 터지지 않을까. 사실 그런 무서움 걱정이 있어. 그럴수록 세계시민화가 더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해."

설아: "그 말 멋진 거 같아. 미래에 출생하는 누군가들은 출생지를 한국이나 미국으로 적지 않고 지구로 적을 것이다. 그러면 이 지구가 상징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미 EU 출신들에게 자신들의 출신 국가를 물어보면 프랑스나 독일이 아닌 '유럽'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많다지? 국가도 내게 주어진 한 속성인 시대에서 어디선가는 경계 허물어지고 있고, 이런 사례들은 또 언어나 사상을 공유하는 가치를 공유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방증 아닐까 싶어."

동현: "우리가 앞서 보통시민의 정체성을 확장했고, 이어 정상가족이라는 정체성 확장했듯 국가와 민족이라는 것도 확장할 때가 되지 않았나. 그런 차례인 거지. 우리나라가 거의 선진국 반열에 올랐는데 그런 걸로 치면 단일국가라는 아직도 이상한 신화에 빠져있어. 내부적으로 인구가 줄어들고 있고 이주민 받는 것 외 다른 대안도 마땅히 해결 방법이 다양한 근거 없는 혐오 정서가 지배하고 있고 발목을 잡아. 나는 인도에서 무역업을 하는데 인도의 연령 중위값이 24세야. 42세인 한국보다 '역동적'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아. 우리나라가 물론 지금은 역동적이지만 이런 구조 속에 평생 유지할 수 있을까? 세계시민 정체성 이야기하고 내면화하는 과정 없이 이 상태로 지나가기엔 자기배반적이고 모순적인 것 아닐까?"

설아: "단일민족이라는 그런 것도 '정상시민'의 틀로 강요되고 있다는 거지. 이제는 조금 주변에 이민자 친구가 한 명씩은 있을 떄가 되지 않았나. 아직도 다른 나라 친구가 낯설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면, 이는 사실 적극적으로 마주하기를 노력하지 않은 것 아닐까? 세계시민 정체화하기는 우리의 정상시민성을 깨뜨리는 일에 하나의 일환으로 보여져."

[관련기사] 
- 저희 부부, 부성우선주의에 '헌법소원 제기'합니다 (http://omn.kr/1s91y) 

태그:#결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국가폭력에 저항하는 '세계시민선언'의 공동대표입니다. 보통시민의 이야기를 담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