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979년 10월 26일 현직 대통령이 총에 맞아 살해되는 엄청난 사건이 우리나라에서 일어났다. 죽은 대통령은 박정희였고, 총격을 가한 사람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였다. 국민들은 독재 체제가 끝났으니 이제 민주화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에 부풀었다.

반면,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던 '신(新)군부'의 생각은 전혀 딴판이었다. 보안사령관 전두환 등은 12월 12일 군사반란을 일으켜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 등을 체포하거나 전역시켰다. 전두환은 중앙정보부장을 겸임했고, 노골적으로 정권 장악 의지를 드러냈다. 

국민은 '민주화' 기대, 군부는 '권력 장악' 기대

신군부와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는 대학생 시위가 1980년 봄부터 이어졌다. 정치권은 계엄령 해제와 헌법 개정 논의를 1980년 5월 20일 임시 국회에서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신군부는 5월 17일 자정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국회 개회를 무산시켰다.

신군부는 모든 정치 활동을 금지시켰고, 초법적 기구인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전두환)를 정부 위에 설치했다. 그 후 5월 17일 조치에 항거해 일어난 광주 5·18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프라하의 봄'이 진행되었던 프라하 중심 거리
 "프라하의 봄"이 진행되었던 프라하 중심 거리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1979년 10월 26일부터 1980년 5월 17일 사이의 민주화 운동 시기를 흔히 '서울의 봄'이라 부른다. '서울의 봄'은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의 봄'에 비유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울과 프라하는 각각 한국과 체코슬로바키아의 수도이고, 두 곳 모두 대규모 민주화 시위를 일으켰던 곳이다.

한국은 '서울의 봄', 체코는 '프라하의 봄'

1960년대로 접어들면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지식인들은 민주화를 실현하기 위한 조직 건설에 돌입했다. 마침내 1968년 1월 소련만 추종하던 공산당 제1서기 노보트니가 실각하고 두브체크 등 개혁파가 정권을 잡았다. 개혁파는 '인간의 얼굴을 가진 사회주의' 즉 민주·자유화 노선을 천명하였다. 이에 따라 '프라하의 봄'이 시작되었다.

프라하의 분위기가 다른 동유럽 공산국가들에 나쁜 영향을 끼칠까 우려한 소련이 8월 20일 20만 군대를 동원하여 침공해 왔다. 소련은 개혁파 지도부를 내쫓고, 개혁파를 따르던 50만여 당원들도 제명 또는 숙청했다. 프라하의 봄은 그렇게 끝났다.
 
프라하 성당에서 본 시내 풍경
 프라하 성당에서 본 시내 풍경
ⓒ 정만진

관련사진보기

 
소련이 숙청한 인물 중에 에밀 자토페크(Emil Zatopek)라는 남자가 있었다. 그는 현역 육군 대령으로서 개혁파를 열렬히 지지하여 길거리 시위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그런데 1922년 9월 19일생으로 마흔여섯 중년인 자토페크는 그저 평범한  군인이 아니었다. 그는 아주 유명한 운동선수 출신이었다.

세계적 장거리 선수의 민주화 운동 동참 

17세 때 자토페크는 운동화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였다. 당장 먹을거리를 걱정해야 하는 그는 운동을 할 여유도 없었고, 취미도 없었다. 그런데 회사가 상품 선전을 목적으로 육상대회를 개최하면서 젊은 자토페크에게 출전을 명령했다.

어쩔 수 없이 달리기 경기에 나갔는데 덜컥 우승을 하였다. 그 후 운동전문가의 눈에 띄어 약간의 훈련을 받았다. 선수로서의 본격적인 입신은 군대에 입대한 후에 일어났다. 군대 대표로 여기저기 달리기 경기에 나가게 되면서 나라 안에서 1만m를 가장 빨리 달리는 사람으로 정평이 났다. 

급기야 그는 26세이던 1948년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고, 1만m 금메달, 5천m 은메달을 획득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5천m와 1만m는 물론 마라톤까지 석권했다. 세 종목 모두 올림픽 신기록이었다. 게다가 마라톤 우승자가 같은 올림픽 다른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사례는 그가 역사상 유일하다. 그 이후 자토페크는 '국민 영웅'으로 우러름을 받았다. 

민주화 앞장 섰다고 우라늄 광산 갱부로 내쫓아

소련은 자토페크를 군대에서 내쫓았다. 그는 생계를 위해 길거리 청소부가 되었다. 프라하 시민들이 길거리에서 청소를 한다고 해서 '국민 영웅'을 알아보지 못할 리가 없었다. 시민들이 분노하여 다시 자유화 시위가 일어날 분위기가 되었다. 소련은 잽싸게 자토페크를 우라늄 광산으로 보내버렸다. 그는 20년을 갱도에 갇힌 채 막노동을 하며 살았다.

1989년 사회주의 붕괴 이후 자토페크는 광산에서 풀려났다. 1990년 사면을 받았고, 2000년 11월 22일 78세로 세상을 떠났을 때에는 프라하 국립극장에서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 그해 12월에는 올림픽 최고의 영예인 쿠베르탱 메달이 추서되었고, 국제경기연맹(IAAF)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공무원의 바른 자세를 가르쳐주는 자토페크

자토페크의 삶은 공무원이 누구에게 충성해야 하는가를 증언해주는 역사의 사례이다. 공무원의 공(公)은 사(私)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공은 대략 국가 또는 사회를 가리킨다. 공무원은 국가나 사회를 위해 일하는 사람으로, 그의 임금을 세금이 부담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자토페크는 모든 사람들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다. 공무원이라는 이유로 권력이나 상사의 명령에만 순종하는, 즉 자신이 속한 조직에만 충성하는 자들과는 전혀 다르게 살았다. 그 탓에 모든 것을 잃었고, 극도의 강제노동에 20년이나 시달렸다. 그래도 체코는 마지막 순간 자토페크를 영웅으로 대우했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일이다.

태그:#서울의봄, #프라하의봄, #자토페크, #9월19일 오늘의역사, #조직에 충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장편소설 <한인애국단><의열단><대한광복회><딸아, 울지 마라><백령도> 등과 역사기행서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총서(전 10권)>, <대구 독립운동유적 100곳 답사여행(2019 대구시 선정 '올해의 책')>, <삼국사기로 떠나는 경주여행>,<김유신과 떠나는 삼국여행> 등을 저술했고, 대구시 교육위원, 중고교 교사와 대학강사로 일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