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반도>포스터

영화 <반도>포스터 ⓒ (주)NEW

 
영화 <반도>의 배경은 의문의 바이러스 출몰 후 4년 봉쇄된 무정부상태의 대한민국이다. 가까스로 탈출선에 탄 정석(강동원)은 가족을 잃고 매형(김도윤)과 홍콩에서 목숨을 부지하고 있다. 그 어디에서도 난민 인정이 어려운 한국인은 바이러스의 온상이란 차별과 냉대를 참으며 버티고 있었다. 차라리 돈이라도 있었으면 했다. 그렇게 정석과 매형은 4년 만에 다시 갔다오란 제안을 받아 고국으로 돌아가게 된다.

폐허가 된 반도에 도착하자 감회가 새로웠다. 그곳엔 여전히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었다. 잊힌 세상에 맞게 거칠고 야만적으로 변한 사람들은 631부대로 대변된다. 언젠가 올지 모를 구조대를 기다리다 스스로 미치광이가 된 사람들, 민간인을 돕다 인간성을 상실한 대원들은 좀비보다 더 위협적인 잔혹성을 갖고 있다. 들개(살아남은 민간인)를 잡아 한낱 노리개로 쓰다 버리는 사람들은 이미 짐승이 되어버렸는지도 모른 채 존속하고 있다. 이들에게 희망은 없다. 오로지 오늘까지만 사는 것처럼 후회 없이 사는 것뿐. 내일을 기약할 수 없는 반도의 처절한 얼굴이다.

한편 가까스로 살아남은 민정(이정현)은 준이(이레)와 유진(이예원)을 키우고 있다. 이곳에서 아이들이 터득한 생존법은 공부도 놀이도 아닌 운전이었다. 좀비를 게임의 놀이 상대로 여기며 재난에 최적화되었다. 이를 안타깝게 바라보며 책임감을 갖고 있는 구세대가 바로 김노인(권해효)다. 이 모든 사태의 책임을 가진 기성세대로 아랫세대에 대한 미안함을 갖고 있다. 유일하게 희망을 잃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미치는 인물이다.

재난 이후 대한민국의 모습 신선하지만 아쉬워
 
 영화 <반도> 스틸컷

영화 <반도> 스틸컷 ⓒ (주)NEW

 
<부산행>이후 4년 폐허가 된 대한민국의 모습은 좀처럼 상상이 가지 않는다. 연상호 감독은 <부산행>의 성공 후 속편을 기다리는 관객을 위해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구축했다. 그 비주얼은 우리나라에서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비주얼이었고, 좀비 창궐 하루 만에 무정부 상태가 된 혼란은 스러진 잔해와 희망이 없는 땅을 만들어 냈다.

또한 <부산행>을 기점으로 프리퀄 <서울역>과 후속작 <반도>의 세 이야기가 이어져 있다는 설정은 좀비 유니버스를 구축한다. 전작 <부산행>이 달리는 기차에 벌어진 전대미문의 재난과 마주한 사람들의 사투였다면 <반도>는 이를 확장해 땅에 발을 딛고 자유분방하게 사방을 전력 질주한다. 곧 세계관의 확장이라 할 수 있지만 북한이 가로막혀 있는 여전히 폐쇄된 공간이다.

이를 만회하려는 듯 카체이싱과 RC카도 등장해 액션의 쾌감을 노린다. 이는 조지 밀러 <매드맥스>의 클리셰, 좀비 영화의 아버지 조지 로메로의 클래식한 오마주로 재현된다. 기능을 상실한 부대가 잠식하고 있는 쇼핑몰은 자본주의가 무너져 내린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
 
 영화 <반도> 스틸컷

영화 <반도> 스틸컷 ⓒ (주)NEW

 
그러나 분명한 한계점도 보인다. 한반도란 땅에 갇혀 있고 여전히 쫓기는 무언가로부터 벗어나야 하는 점이 바뀌지 않았다. 넓은 땅에서 걷거나 뛰기보다 차를 타고 달리는데 기차보다 더 답답함을 지울 수 없다. 그야말로 폭발적인 액션의 쾌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영화의 관건인 좀비는 비주얼이나 사연을 담았다기보다 이들에게 닥친 재난 정도로 여겨질 공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부산행>이후 다양한 K-좀비의 학습 결과 무뎌딘 탓인지 좀비는 신선한 존재가 아닌 익숙함이 되었다. 때문에 자못 좀비보다 현실적인 고난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오늘도 삶이란 전쟁터에서 생존을 위한 사투는 현재진행형이니까 말이다. 취업 같은 목표나 전염병의 두려움, 경제 위기의 공포 등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반드시 극복해야 하는 각자의 역경으로 다가온다.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서워
 
 영화 <반도> 스틸컷

영화 <반도> 스틸컷 ⓒ (주)NEW

 
그래서 폐허 속에서 평범한 인간의 이야기에 주목했다. 그 속에는 영웅화되지 않은 소시민이 등장한다. 정석은 훈련된 군인이지만 상황 전체를 되돌릴 수 있는 영웅은 아니다. 또한 세 여성으로 전해지는 인류애도 인상적이다. 사회적 약자 혹은 소시민이 세상을 구한다는 설정과 맞물린다.

자연스럽게 관객은 욕망에 따라 움직이는 보통 사람이 좀비보다 더 무서운 인간이 되는 참상을 목격한다. 악마가 들끓는 지옥도에서 유일한 희망은 피를 나누지 않았지만 사랑으로 얽힌 대안 가족이란 점도 뜻깊다. 하늘나라 간 아빠가 힘없는 사람을 구해주라고 했다 말하는 천진난만한 유진은 정석이 상식을 따지다 구하지 못한 아이라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이 부메랑은 비록 정석을 가족 비극으로 몰아넣었지만 미래 세대에게 빚지고 있는 현세대가 전하는 후회와 속죄로 전이된다.

연상호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부산행>과 다른 엔딩을 의도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살기 힘든 세상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으려는 희망을 이야기하고 싶다고 했다. 지금 우리는 전 세계적인 전염병 앞에서 무기력하게 생존하고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랬듯 아비규환 속에서도 대안을 찾아내고 서로를 응원하며 힘을 보태는 연대성이 또다시 묘수가 되고 있다. 현시점과 비교해 볼 때 <반도>는 오히려 영화 속 보다 현실 재난 극복이 먼저인 듯 보이나. 반드시 답을 찾아내리라는 희망의 홀씨가 작게나마 떠오르는 영화가 아닐 수 없다.
반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보고 쓰고, 읽고 쓰고, 듣고 씁니다. https://brunch.co.kr/@doona9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