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3년 9월 6일 서해지구 군 통신선 시험통화를 실시하는 모습.
 2013년 9월 6일 서해지구 군 통신선 시험통화를 실시하는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최종신 : 9일 오후 3시 38분]
통일부 "연락사무소 통해 정오 통화 시도했지만 북한 불응"


정부는 북한이 남북간 통신선을 차단하겠다고 제시한 시각인 9일 정오,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후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12시 북측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북측은 받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북한의 연락채널 폐쇄는 지난 2018년 1월 2일 이후 2년 5개월만이다.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 중단에 반발한 북한은 연락채널을 패쇄했고, 이후 2년간 막혀 있던 직통채널은 2018년 1월 1일 김정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평창올림픽 참가 의사를 밝힌 직후 복원된 바 있다.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9일 밝혔다. 북한은 실제 이날 오전 연락사무소 채널과 군 통신선 채널에서 모두 남측의 연락 시도에 응하지 않았다.

사진은 2018년 4월 20일 청와대에 설치된 남북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직통전화) 전화기. 2020.6.9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9일 밝혔다. 북한은 실제 이날 오전 연락사무소 채널과 군 통신선 채널에서 모두 남측의 연락 시도에 응하지 않았다. 사진은 2018년 4월 20일 청와대에 설치된 남북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직통전화) 전화기. 2020.6.9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북한의 통신·연락선 차단에 대해 "과거에도 북한이 남북관계 경색국면을 조성하는 첫 단계가 연락기능의 차단이었다"라면서 "대북전단 문제를 계기로 남북관계를 당분간 냉각기로 가져가겠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이어 양 교수는 "북한은 진전 없는 남북관계를 그냥 가져가기보다는 긴장관계로 조성해 후일을 주도권을 가져가겠다는 것"이라며 개성공단 폐쇄를 포함한 추가 조치는 향후 상황을 봐가며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남북 정상의 핫라인이 실제로 차단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남북 정상의 소통과 관련된 내용은 확인해 드리기 어렵다"라고만 말했다.


[3신 : 9일 오전 11시 3분]
정부 "남북통신선 유지돼야... 낮 12시 이후 상황 지켜보겠다"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밝힌 9일 오전, 북측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업무 개시 통화를 받지 않았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사진은 2018년 1월 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연락사무소에서 우리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위해 남북직통 전화를 점검하는 모습.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밝힌 9일 오전, 북측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업무 개시 통화를 받지 않았다고 통일부가 밝혔다. 사진은 2018년 1월 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연락사무소에서 우리측 연락관이 북측과 통화를 위해 남북직통 전화를 점검하는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통일부는 9일 "남북간 통신선은 소통을 위한 기본 수단이므로 남북간 합의에 따라 유지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공동연락사무소 오전 개시 통화에 응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정부의 기본 입장은 남북간 통신선이 소통 기본수단이고 남북간 기본 합의에 의해 개설된 만큼 합의 준수 차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해나가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또 이 당국자는 "통화 시도는 오늘 12시(정오) 이후 예고가 된 만큼 그 상황을 보고 적절히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아울러 "기술적인 사항은 전문적으로 드릴 말씀 없지만 결과적으로 선을 끊거나 전화를 받지 않거나 불통인 상태는 동일한 것 같고, 북측이 전화 받지 않는 수준을 넘어 어떻게 갈지는 12시 이후 상황을 지켜보겠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 당국자는 연락사무소 중단 외에 북한이 남측에 별도의 전통문을 보낸 것이 있냐는 질문엔 "북측으로부터 받은 전통문이 없다"라고 답했다.

앞서 이날 오전 북측은 연락사무소 채널과 군 통신선 채널에서 모두 남측의 연락 시도에 응하지 않았다.


[2신 : 9일 오전 9시 57분]
통신선 '불통'... 오전 9시 남북연락사무소 업무개시 통화 '무응답'
 
북한은 지난 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를 열었다고 8일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손가락을 꼽아가며 발언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 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를 열었다고 8일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손가락을 꼽아가며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조선중앙통신

관련사진보기

 
북한이 9일 오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업무 개시 통화에 응답하지 않았다.

통일부는 이날 오전 9시 연락 개시 통화를 시도한 후 출입기자단에게 "금일 오전 공동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측과 통화연결을 시도하였으나, 북측이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남북 연락사무소는 오전 9시, 오후 5시 하루 두 차례 전화 통화가 이뤄져 왔다. 전날(8일)의 경우 북한이 오전 교신에 응하지 않았지만, 오후 교신에는 응한 바 있다.

북한은 이날 정오를 기해 남북을 잇는 모든 통신·연락선을 차단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어, 실제 연락사무소 '철폐' 수순을 밟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국방부에 따르면 전날 정상 가동되었던 군 통신선과 국제상선공용망도 가동을 멈췄다.

남북 군사 당국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으로 매일 오전 9시, 오후 4시 두 차례 통화를 해 왔다. 항로 이탈로 인한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남북한 함정 간 교신이 이루어졌던 국제상선공용망도 불통됐다.


[1신 : 9일 오전 7시 20분]
북한 "청와대 등 모든 남북통신연락선 차단·폐기"


북한이 9일 정오(12시)를 기해 남북을 잇는 모든 통신연락선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밝혔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9일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들을 완전 차단해버리는 조치를 취함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보도에서 "6월 9일 12시부터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북남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게 된다"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이어 "김여정 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이 8일 대남사업 부서들의 사업총화회의에서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죄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계획들을 심의하고 우선 먼저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들을 완전차단해버릴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라고 전했다. 

또 "남조선 당국과 더이상 마주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라면서 "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공간을 완전격폐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없애버리기로 결심한 첫 단계 행동"이라고 밝혀 추가 조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통신은 "다른 문제도 아닌 그 문제에서만은 용서나 기회란 있을 수 없다"라며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르게 해주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북한은 지난 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를 열었다고 8일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참석해 회의 내용을 필기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김 제1부부장이 지난 4일 담화에서 비난했던 탈북자들의 대북전단 살포 등 대남 문제는 따로 언급되지 않았다.
 북한은 지난 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를 열었다고 8일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참석해 회의 내용을 필기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김 제1부부장이 지난 4일 담화에서 비난했던 탈북자들의 대북전단 살포 등 대남 문제는 따로 언급되지 않았다.
ⓒ 연합뉴스=조선중앙통신

관련사진보기

  
앞서 북한은 지난 4일과 5일, 각각 김 제1부부장과 통일전선부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잇달아 내놓으면서 탈북자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와 이를 막지 못하는 우리 정부 대응을 비판하며 남북관계 단절도 불사하겠다고 위협한 바 있다.

북측은 지난 8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남측의 연락 시도에 오전(9시)에는 받지 않았지만 오후(17시)에는 응답했다.

북한이 실제로 남북간 모든 통신선을 차단하는 조치를 실행한다면, 사실상 남북관계는 지난 2018년 4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이후 최대의 위기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태그:#판문점선언, #김여정
댓글17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