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전당포의 존재를 잊어버린 사람들이 많지만, 주변에 아직도 전당포는 골목길 구제금융의 구실을 다하고 있다.
 전당포의 존재를 잊어버린 사람들이 많지만, 주변에 아직도 전당포는 골목길 구제금융의 구실을 다하고 있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전당포(典當鋪)'는 그 이름도 고색창연하다. '이발소'가 '바버샵(barber shop)'이 되고, '미장원'이 '헤어·뷰티 살롱(hair·beauty salon)' 따위로 진화하는 이 시대에도 전당포는 여전히 전당포다. '가게 포(鋪)' 자가 붙은 이름으로 가끔 '지물포·시계포·자전거포' 따위가 쓰이긴 하지만, 이는 케케묵은 '부름말'일 뿐 그걸 상호로 쓰는 데는 없다. 오래된 가게라는 뜻으로 쓰이는 '노포(老鋪)'도 마찬가지다. 

지물포는 '지업사'로, 시계포나 자전거포는 '포' 자를 떼어낸 상호를 쓰고, 손님들도 '포' 대신 '시계방'과 '자전거방'에 더 익숙하다. 그러나 전당포는 예나 지금이나 전당포다. 사양길로 떨어지던 전당포가 새로이 성업 중이라 해도 '아이티(IT)'나 '명품·럭셔리', '귀금속'처럼 취급 품목을 앞세울 뿐, '전당포'라는 업종을 떼어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 

베이징의 독립운동가, 경성의 지식인도 이용한 전당포

'전당(典當)'은 "재화(財貨)의 유통에 있어서 채권의 담보로서 채무자가 유가물(有價物)을 채권자에게 유치(留置)시키는 것"(<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다. 당연히 전당포는 "전당을 잡고 돈을 꾸어 주는 것을 업으로 삼는 영업소"다. 그리고 "전당업은 일종의 사금융업"(앞의 사전)이다. 

우리나라에서 전당포가 처음 등장한 것은 1365년 고려 공민왕 때다. 왕후의 명복을 비느라 수시로 여는 대규모 불사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서 왕실에서 직접 전당포를 열어 운영했다. 그러나 근대적 전당업이 발생한 것은 토지의 사적 소유가 가능해지고 금속화폐가 본격적으로 유통되던 조선 후기 이후다. 

이 시기의 전당포에선 토지와 집문서와 같은 부동산, 비녀와 가락지 등 패물, 의복과 솥 등 가재도구 등 쓸 수 있는 모든 물건이 담보물이 될 수 있었다. 이후 전당업은 개항과 함께 은행이 들어오고 일본의 상업자본이 밀고 들어오면서 급격히 발전했다. 

개항장에 정착한 일본인들은 고리대금업을 벌이며 국내 전당업 시장을 쉽사리 장악해 버렸는데 이들은 영업으로 토지의 취득에 주력하였다고 한다. 해방 후, 제정된 '전당포영업법'은 부동산을 '전당물에서 제외'했다. 
 
전당포 간판은 그것을 찾고자 하는 사람의 눈에만 띈다. 전당포의 구실은 신용카드 등이 대신 하지만, 여전히 전당포를 찾는 사람은 있다.
 전당포 간판은 그것을 찾고자 하는 사람의 눈에만 띈다. 전당포의 구실은 신용카드 등이 대신 하지만, 여전히 전당포를 찾는 사람은 있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서민들이 어떤 방식으로 전당포를 이용했는가는 살피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망명지 중국 땅에서 독립운동가들이 전당포를 이용한 사례로 그 모습을 추정할 수 있을 듯하다. 심산 김창숙(1879~1962)의 자서전에는 베이징에서 우당 이회영(1867~1932)을 찾았을 때의 상황을 자세히 전하고 있다. 

심산이 함께 공원에 나가 바람이나 쏘이자고 청하였더니 우당이 거절하면서 얼굴빛이 자못 초췌했다. 의아하게 여긴 심산이 그의 차남 규학에게 물은즉슨, 규학의 답은 이랬다.
 
"이틀 동안 밥을 짓지 못하였고 의복도 모두 전당포에 잡혔습니다. 아버지께서 문밖에 나서지 않으려는 것은 입고 나갈 옷이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독립운동가들의 자서전에는 이런 상황이 빈번하게 드러나고 있다. '일주일에 세 번 밥을 지어 먹으면 재수가 대통한 것'이라고 했던 우당의 넷째아들 규창의 말처럼 옷과 이불 따위는 주림을 면하기 위해 걸핏하면 전당포로 가야 했다. 

임시정부에서 한때 백범 김구의 경무국 경호원으로 일한 적이 있었던 나석주(1892~1926) 의사는 1925년 8월, 많은 양의 고기와 채소를 사서 백범을 방문했다. 그는 그날이 백범의 생신이 아니냐며, "돈은 없고 해서, 의복을 전당하여 고기 근이나 좀 사 가지고 밥해 먹으러 왔다"고 한다. 

나석주 의사는 이듬해(1926) 베이징으로 가 의열단에 가입했고, 그해 연말에 서울의 식산은행과 동양척식회사에 폭탄을 던졌다. 자결하려다 중상을 입은 그는 이름과 의열단원임을 밝히고 순국했다. 백범은 자서전 <백범일지>에서 이 사실을 밝히며 "가장 영광스러운 대접을 받은 것을 기념할 결심"으로 "죽는 날까지 생일을 기념하지 않기로 하고 날짜를 기입"하지 않는다고 썼다.

여느 시정의 삶도 다르지 않다. 1921년 현진건이 쓴 단편 소설 '빈처'(貧妻)의 도입부에는 가난한 무명작가인 남편의 서술로 이들 부부의 고단한 삶이 드러난다. 이들은 역시 '전당국(典當局)'에 '기구와 의복'을 맡김으로써 땟거리를 마련해야 하는 처지다.
 
…나는 그만 묵묵하였다. 아내가 그것을 찾아 무엇을 하려는지 앎이라. 오늘 밤에 옆집 할멈을 시켜 잡히려 하는 것이다. 2년 동안에 돈 한 푼 나는 데 없고, 그대로 주리면 시장할 줄 알아 기구(器具)와 의복을 전당국 창고에 디밀거나, 고물상 한구석에 세워두고 돈을 얻어 오는 수밖에 없었다. 지금 아내가 하나 남은 모본단 저고리를 찾는 것도 아침거리를 장만하려 함이다. 나는 입맛을 쩍쩍 다시고 폈던 책을 덮으며 휴우, 한숨을 내쉬었다.

독립투사든, 시정인이든 전당포를 이용하는 목적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주림의 고통은 인간의 기본적 삶을 규정하는 옷과 집보다 훨씬 직접적인 데다 생존을 좌우하는 상수다. '식(食)'은 '의(衣)'와 '주(住)'를 앞서니, 그것을 버림으로써 얻어지곤 했다는 얘기다. 

전당포, 그 부침과 성쇠

전당포는 중국에서 힘겹게 항일 투쟁을 이어가던 독립운동가는 물론, 고정수입 없이 가계를 꾸려야 하는 숱한 서민들에게는 가장 손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창구였다. 문턱 높은 은행과 달리 신용을 따지지 않고 담보물을 잡히면 금방 소액의 현금을 손에 쥘 수 있었으므로 전당포는 1980년대 초까지 호황을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이용자로선 물건을 잡히고 돈을 꾸는 게 그리 자랑스러운 일이 아닌지라 전당포는 으슥하고 외진 골목길에 깃들었다. 삐걱대는 나무계단을 올라 2층 전당포 안으로 들어서면 구치소 면회실처럼 쇠창살이 달린 유리창 저편에 전당포 주인이 그림같이 나타나곤 했다. 

흥정은 즉석에서 간단하게, 그러나 늘 고객에게 불리하게 끝나고, 전당표와 현금을 받으면 일정 기간 안에 소정의 이자와 함께 원금을 갚으면 담보물을 찾을 수 있었다. 담보물의 변천은 시대 발전과 그 궤를 같이했다. 해방 이후엔 양복과 구두 등 입성부터 재봉틀과 라디오 등 값나가는 가재도구 중심이었다. 

공업화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1970~1980년대엔 텔레비전, 녹음기, 비디오 리코더, 비디오카메라 등이 주요 담보물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반지나 목걸이, 팔찌 등 금붙이와 고급시계 등 결혼 예물도 심심찮게 저당 잡혔다.

전당업은 제2차 석유파동(1978~1981) 시기에 최대 호황을 누렸지만, 의료보험의 전면적 시행(1989)과 가계수표와 신용카드 등 신종 금융상품이 등장해 손쉽게 돈을 빌려 쓸 수 있게 되면서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사회 초년생 시절에 나도 신용카드로 현금 서비스를 이용하곤 했는데 그건 무담보, 신용만으로 소액을 대부받을 수 있는, 그야말로 최고의 금융상품이었다. 

'골목길 구제금융', 고단한 삶처럼 이어질까
   
이른바 'IT전당포'에서 취급하는 품목들. 스마트폰과 노트북에서 골프채, 명품 가방까지 망라한다. 인터넷 전당포 게시물을 합성했다.
 이른바 "IT전당포"에서 취급하는 품목들. 스마트폰과 노트북에서 골프채, 명품 가방까지 망라한다. 인터넷 전당포 게시물을 합성했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가계에서 목돈이 긴요해지는 때는, 가족이 병이나 사고로 입원할 때 드는 의료비나 자녀의 대학 입학에 따른 학자금 수요 등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의료보험과 신용카드는 그런 목돈 수요를 전당포를 거치지 않고 해결해 주었다. 전당포가 맞닥뜨린 사양화가 산업사회 발전의 피할 수 없는 추세처럼 보이는 이유다. 

거의 바닥을 치는 듯했던 전당포가 기사회생한 것은, 이른바 명품전당포, 아이티(IT)전당포가 서울의 강남 등 주요 상권에서 발생한 대부 수요에 응답한 결과였다. 이들 전당포에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피시, 노트북컴퓨터 등 전자제품이 주로 거래된다. 값비싼 명품 옷과 가방, 시계와 액세서리 등도 거래품목에서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이는 결국,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 고도 소비가 이루어지는 번화가 주변에 해당하는 이야기일 뿐이다.

내가 사는 도시에도 네댓 개의 전당포가 영업 중이다. 그러나 일부러 찾지 않으면 어디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이 더 많고, 아직도 전당포가 있냐고 반문하는 이도 적잖다. 개중에는 아이티전당포도 한둘쯤 있는 모양이다. 거기선 젊은이들이 스마트폰 따위를 잡히고 소액을 대부받고 있겠지만, 그게 전체 판세를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이 난만한 21세기에 더는 끼니를 마련하기 위해서 전당포를 찾는 이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촘촘한 사회복지망도 충격적인 '아사의 비극'을 비켜 가긴 어렵다. 세상은 때로 우리의 상상을 간단히 뛰어넘을 만큼 복잡하고 모순적이지 않은가. 

이는 '고색창연'하여도 전당포가 명맥을 이어가리라 예측하게 하는 근거다. 은행과 제2금융권은 물론, 고리의 대부업체조차도 이용할 수 없는, 수백 가지 사연을 가진 이들에겐 여전히 전당포가 만만한 대출창구인 까닭이다. 그렇다. 전당포를 찾지 않으면 안 되는 이들의 고단한 삶이 이어지는 한, 전당포는 '골목길 구제금융'으로 남아 있지 않겠는가. 

덧붙이는 글 | 계간 <기록창고>에도 보냈습니다.


태그:#전당포, #골목길 구제금융, #서민 대출 창구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쉰이 넘어 입문한 <오마이뉴스> 뉴스 게릴라로 16년, 그 자취로 이미 절판된 단행본 <부역자들, 친일문인의 민낯>(인문서원)이 남았다. 몸과 마음의 부조화로 이어지는 노화의 길목에서 젖어 오는 투명한 슬픔으로 자신의 남루한 생애, 그 심연을 물끄러미 들여다보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