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영화 <82년생 김지영> 포스터 ⓒ (주)봄바람영화사

 
'사람이 먼저다.' 영화 < 82년생 김지영 >에 대한, 예상을 벗어난 첫인상이었다. 동명의 베스트셀러 소설이 사회의 성차별적 구조를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책이었고, 그래서 이 영화에 대한 관심도 컸기 때문일 것이다. 흥미롭게도 < 82년생 김지영 >은 적절한 각색, 훌륭한 배우, 인상적인 메시지로 무장해 기대했던 것과는 또 다른 이야기를 보여준다. 

과거 홍보회사에서 능력을 증명받았던 '김지영(정유미 분)'은 현재 딸 하나를 낳고 기르는 전업주부다. 멋진 커리어우먼을 꿈꿨지만, 과거와는 다른 현실을 견디기 힘들어 하며 '빙의' 증상까지 보인다. 자신에게 정신질환 증상이 있다는 것을 모른 채 그는 애써 괜찮다며 미소 짓는다. 지영을 돕기 위해 남편 '대현(공유)'은 정신과 치료를 권하고, 지영도 복직해서 자신이 느끼는 그 괴리감을 줄이려 하지만 둘 앞에는 많은 난관들이 기다리고 있다. 

공감. < 82년생 김지영 >이 이끌어내고자 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서 영화는 원작과 다른 길을 간다. 영화는 소설에 등장했던 여러 통계들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대신 김지영이라는 한 사람에게 오롯이 집중한다. 영화 시작과 동시에 펼쳐지는 온갖 가사와 양육의 일을 보여주는 짧은 쇼트들은, 치열한 일상을 살아가는 지영을 보여주겠다는 의도가 느껴진다.

영화는 지영의 현재와 과거를 오가면서 전개된다. 그녀의 현재 일상은 그녀가 느끼는 문제점을 암시한다. 플래시 백으로 등장하는 가족들과의 기억은 현재 문제가 과거 경험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연속 선상에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덕분에 다시 돌아온 현재 시점에서 그녀의 답답함, 피로함, 무력함은 극대화된다. 여성들의 다양한 에피소드를 서사 없이 나열해 억지로 보편적인 경험상을 만들려던 소설과는 다른 선택이다. 

영화는 한 개인이 엄마, 누나, 언니, 여동생으로 경험한 바를 전체적으로 차분하게 제시한다. 순간적으로 일부러 거칠게 장면을 전환하면서 순간의 감정을 표출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이 작품에는 하고 싶은 게 많았던 주인공이 남처럼 느껴지지 않을 때 더욱 몰입하기 쉽다. 출산과 육아를 경험했거나, 이를 경험한 가족 혹은 가까운 지인들이 있거나 혹은 지영과 비슷한 경험을 지녔을 때 공감할 여지가 많다. 매끄럽고 잔잔하던 영화의 감정이 순간순간 의외로 강렬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영화 < 82년생 김지영 >

영화 < 82년생 김지영 > ⓒ (주)봄바람영화사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스토리텔링은 정유미라는 배우를 만나 더 효과적으로 빛을 발한다. 정유미는 활기가 사라졌을 때의 피로함과 어두움을 온 얼굴과 온몸으로 표현한다. 벤치에 앉아서 아이 유모차를 흔드는 지영, 베란다에 서 있는 지영의 실루엣은 그저 카메라에 담기는 것만으로도 그 현실을 그대로 드러낸다. 시시각각 변하는 목소리 톤은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 있는 빙의라는 소재에 안타까움과 동질감을 부여하며, 클로즈업을 통해 화면에 가득 찬 그녀의 표정은 지극히 개인적인 한 여성의 이야기에 설득력을 불어넣는다. 

또한 영화는 분량이 많지는 않지만 공유가 연기한 대현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남성들의 이야기도 다루고 있다. 사실 대현은 매력이 부족한 인물이다. 착하고, 다정하며, 속이 깊고, 인간적인 거의 완벽한 평면적인 인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또 지영이 자신의 병을 모르는 상황에서 비롯되는 긴장감을 유지하기 위해 조금은 답답하고 인위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대현이 있기에 영화는 단순히 지영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서 그치지 않을 수 있었다. 

그는 변화하는 시대에 적응해 가는 남성들을 대변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들은 여성들의 외침이 어떤 맥락에서 왜 나오고 있는지를 알고 있고, 무엇이 잘못되어있는지 알고 있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도움을 줘야 할지 모른다. 그래서 지영 앞에서 눈물을 쏟는 대현처럼 스스로도 괴로워 한다. 이 괴로움을, 대현은 지영이 힘들어할 때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그 어려움을 함께 져야 하는 것을 알아가면서 털어낸다. 격렬한 성별 갈등 프레임에서 벗어나 영화 안에서라도 같이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소하지만 건설적인 변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물론 < 82년생 김지영 >은 단점도 많은 영화다. 영화의 작품성이 특출 나거나, 참신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익숙하고 예상 가능하다. 감정이 과하고,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나 흐름에서 벗어난 몇몇 에피소드들은 어색하며 지영의 일상에 집중한 영화의 힘을 분산시킨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지영의 병을 유발한 사회적인 측면을 다루지 못한다는 한계가 명확하다. 
 
 영화 < 82년생 김지영 >

영화 < 82년생 김지영 > ⓒ (주)봄바람영화사

 
원작 소설은 지영의 이야기를 듣고도 단순히, 여성과 개인의 탓으로 문제를 한정 짓는 정신과 의사를 보여주면서 끝난다. 이는 실질적인 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사회 전체적인 문제를 암시한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지영의 병이 사회적인 문제로 인한 것이라는 메시지가 저변에 낮게 깔려 있을 뿐, 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녀가 어떻게 병을 극복해 나가는지 그녀의 치유와 성장에 방점을 찍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영과 그녀 가족들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내다 보니 사회적인 면으로 확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그녀의 현실과 성장이 그저 개인적인 측면에 국한될 여지를 남긴다.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한 수단이 오히려 단점으로, 부메랑으로 되돌아온 것이다.

잔잔한 분위기, 다루는 소재 등 < 82년생 김지영 >이 영화 내외적으로 호불호가 갈릴 이유는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흥행에 성공한다면 평점 테러 논란으로 폄하될 영화가 아닌 것만도 분명해 보인다. 그렇게 치부하기에는 이 영화가 지닌 미덕이 퍽 중요하기 때문이다. 

개인의 감정, 그 변화와 고저를 온전히 살려낼 줄 아는 작품. 스타 배우를 통해 그 감정을 보편화하고, 보는 이의 공감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 목표한 바를 정확하게 달성한 영화. 지영이라는 한 여성의 내면을 들여다 보고 주변을 둘러보게 만드는 영화. < 82년생 김지영 >은 이런 영화다. 
덧붙이는 글 개인 브런치에 게재한 글입니다
영화리뷰 82년생 김지영 정유미 공유 페미니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를 읽는 하루, KinoDAY의 공간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종교학과 정치경제철학을 공부했고, 지금은 영화와 드라마를 보고, 읽고, 씁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