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82년생 김지영>에 출연한 배우 정유미.

영화 <82년생 김지영>에 출연한 배우 정유미. ⓒ 롯데컬쳐웍스

      
베스트셀러를 넘어 젠더 이슈 한복판에 섰던 소설 < 82년생 김지영 >이 영화로 만들어진다고 했을 때, 그 주연 배우들이 공개됐을 때, 정유미 역시 비판의 한복판에 서야 했다. 하나의 문학 작품이 가진 함의가 그만큼 크다 할 수 있지만, 대중의 관심과 사랑에 더욱 민감할 수 있는 배우 입장에선 그 자체가 큰 스트레스일 수 있다. 

정유미는 오히려 담담했다. 영화가 언론에 처음 공개됐던 지난 14일 언론시사회에서 그는 "용기를 내서 출연한 것 같다"는 질문에 "용기를 내야 할 일은 따로 있는 것 같다"며 본인에게 돌아오는 칭찬을 에둘러 피했다.

영화는 결혼 이후 하던 일을 그만두고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던 김지영이라는 인물이 겪는 아픔, 그로 인해 주변 인물이 어떤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그렸다. 우선 정유미가 말한 그 '용기'에 대해 자세히 듣고 싶었다. 

배우의 의무

"시나리오를 덮고 나서 가만히 앉아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어떤 시나리오는 읽다가 덮는 경우도 있고, 할지 말지 엄청 고민되는 경우도 있는데 < 82년생 김지영 >을 읽고 나서는 난 대체 누굴까, 가족들 생각도 나면서 난 어떤 딸일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 지영이 자체에 대한 공감보다는 사람에 대한 이 시나리오의 마음이 느껴져서 좋았다. 제가 결혼도, 육아도 안 해봤기에 완전하게 공감한다는 것 자체가 거짓말일 것이다. 다만 내가 할 수 있는 건 뭘까(란 생각이 들었고), 그리고 주변 사람들이 보고 싶고 그녀들의 얘기가 더 듣고 싶어지더라.

그래서 '용기를 낸 것'이라는 말이 어색하다. 전 배우이고 할 수 있는 건 연기다. 용기를 내야 할 일이 따로 있다는 건, 자신의 목소리를 내시는 분들을 향한 말이었다.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뉴스나 여러 소식을 들으면서 그런 분들을 볼 때마다 다짐하는 게 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일로 표현할 수 있는 걸 표현해야겠다고 말이다."

 
 영화 < 82년생 김지영 >

영화 < 82년생 김지영 > ⓒ (주)봄바람영화사

 
가족, 그리고 주변 사람이 생각났다는 게 선택의 이유였다. 그리고 나선 철저히 집중하며 최선을 다해 잘 표현해야 했다. 보통 원작이 있는 영화의 경우 배우들은 원작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 시나리오에만 집중하는 게 다반사다. 정유미는 반대였다. 극 중 김지영의 상태나 감정이 잘 이해 가지 않는 때면 소설 대목을 반복해서 읽었다. 친구들에게 묻기도 했다고 한다. 

"장면마다 소설을 찾아보진 않았지만, 특별히 와닿지 않는 부분을 찾아가면서 했다. 감독님이 두 아들의 엄마기도 하고, 육아와 일을 병행하고 계시기에 아이 키우면서 드는 감정은 감독님이 알려주셨다. 손목 보호대 등을 찬 것도 감독님의 경험에서 나온 설정이었다. 잠깐이나마 제가 경험했다고 육아에 대해 말할 건 아니지만 참 대단한 것 같다. 친구들에겐 자세한 걸 묻기보다는 정말 가사를 하며 공허한 마음이 드는지 정도를 물어봤다. 제가 이 영화에 출연한다고 하니 친구들에게 '네가 어떻게 할지 궁금하다' 혹은 '소설에 이런 부분이 공감이 갔다'며 연락이 오기도 했다. 

정작 전 집에선 가족에게 무심한 편이다. 일하면서 일찍 고향(부산)을 떠나오기도 했고, 친구들과 더 가족처럼 지낸다. 부산에 있는 가족에게 미안하면서도 감사하다. 제가 하는 일을 이해해주시니 말이다. 제가 참 무심하다. 그러고 보니 제가 출연한 영화가 개봉한다고 제대로 말한 적이 없는 것 같다. 이 영화를 가족에게 보여드리고 싶은데 제게 무슨 말을 하실지 궁금하다. 집에서나 일단 잘하라고 하시려나(웃음)."


"성차별 느껴본 적은 없지만..."

성차별 혹은 유리 벽. 특히 국내 영화계에서도 남성 배우 중심의 구조라는 지적이 왕왕 나온다. 그간 제작되던 작품 수 또한 남성 주연과 여성 주연이 확연히 차이가 나기도 한다. 몇몇 배우들이 공적 자리에서 여성 배우가 설 자리가 없음을 고백하기도 했다. "개인적으론 전혀 성차별을 느껴본 적은 없다"며 그가 말을 이었다.

"배우마다 생각은 다르겠지만 전 제가 지금처럼 작품을 선택할 위치가 아니었을 때도 만족하며 사는 편이었다. (남성 배우와) 똑같은 역할을 놓고 경쟁하는 건 아니었으니까. 다만 동료 여성 배우와 함께 자주 다양한 작품을 하고 싶은 마음은 있다. 저 혼자보단 다 같이 나오면 덜 외롭고 좋을 것 같다."

"장르물이 아닌 이런 보편적 드라마는 좀 더 희망적이었으면 좋겠다." 배우 정유미가 작품을 하면서 품고 있는 작은 바람이었다. < 82년생 김지영 >도 그래서 택했다고 한다. 어떤 젠더 이슈의 투사가 되기 위해 택한 건 아니라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정유미가 그간 택해온 작품, 앞으로 택할 작품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제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어서 다행이고 감사하다. 이 작품 역시 그렇다. 제가 잘하는 걸 보이고 싶다. 물론 당연한 말이지. 돌아보면 좋은 기억만이 좋은 건 아니더라. 나쁘고 힘들었던 순간도 쌓여서 지금의 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참 모순적인데 예전엔 작품을 하고 나서야 그 소중함을 알곤 했다. 

<내 깡패 같은 애인>은 솔직히 제가 엄청 하고 싶었던 작품은 아니었다. 그냥 연기가 너무 하고 싶던 때 주어졌다. 그 이후 반성을 많이 하며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고, 감사할 줄 알게 됐다. <도가니> 때는 겁이 났다. (장애 아동 학대) 실화를 바탕으로 했기에 영화가 실제 아이들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주변에 조언을 구했고, 제가 몰랐던 이야기들이 있더라. '그래, 해야 한다면 잘 표현해야겠다' 싶었다." 


"그런 기억과 경험이 쌓이며 지금까지 온 것 같다"는 게 정유미가 스스로에게 내린 진단이었다. 그리고 그가 < 82년생 김지영 >을 통해 어떤 바람을 드러냈다. "남녀 구분 없이 여러 사람이 나눌 수 있는 이야기라 생각한다"며 그는 이 작품의 첫 촬영 직전 서효인 시인이 헌사한 시 한 편을 읊었다.  '김지영을 찾아서'라는 제목의 시를 수줍은 듯 읽는 그 모습에 김지영이, 그리고 이 땅을 사는 우리 모두가 오롯이 담겨 있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에 출연한 배우 정유미.

영화 <82년생 김지영>에 출연한 배우 정유미. ⓒ 롯데컬쳐웍스

 
82년생 김지영 정유미 공유 젠더
댓글1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