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EBS

 
평생을 성실하게 살아온 다니엘이지만, 나이 듦과 함께 찾아온 심장병은 그가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도록 만든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관공서를 찾았지만 직원들은 매번 매뉴얼대로, 마치 녹음기마냥 "키오스크 무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해 신청하라"는 말만 되풀이한다. 결국 다니엘은 그 기기 앞에서 심장 발작을 일으켜 쓰러지고 만다.

이 작품, 그러니까 <나 다니엘 블레이크>로 2016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은 '거장' 켄 로치 감독은 영국 사회의 부조리한 복지제도의 문제점을 다니엘이란 늙은 목수를 통해 폭로하고자 이 영화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복지제도의 부조리함을 인지하기에 앞서, 평생 훌륭한 목수로, 친절한 이웃으로 살아왔던 한 노인이 디지털시스템화 돼가는 문명 앞에서 절망하는 것도 모자라 폭도로 몰리는 광경은 변화하는 시대에 무너지는 한 세대의 좌절을 절감하게 만든다.
 
혹자는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고 말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우리는 이미 현실에서 너무나도 많은 '다니엘'과 조우하고 있다. 멀리 갈 것도 없다. 신상 핸드폰 앞에서 조작 방법에 어려움을 겪으며 우물쭈물거리는 우리 부모님들을 떠올려보라. 지난 1일 방영된 <다큐 시선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는 종이 통장, 매표소, 영수증 등이 멸종되어 가는 시대, 디지털 소외 계층이 되어가는 노인 세대의 문제를 다뤘다.
 
노인이 된 나와 마주하게 만드는 디지털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EBS


77세의 이분남 할머니는 얼마 전 황혼 육아를 졸업하고 '어르신 노래 교실' 회장님으로 자유를 만끽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이분남 할머니를 좌절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 이분남 할머니도 그 세대 어르신들이 대부분 그렇듯 종이통장을 몇 개씩 애지중지 '키워'가시는 중이다. 단돈 만 원이라도 직접 가서 입금을 하는 버릇이 있어, 은행을 찾았는데... 아차, 오늘따라 그만 '도장'을 잊고 오셨단다. 77년의 내공이 담긴 '말발'로 은행원을 달래보았지만 정해진 입금 매뉴얼 앞에 요지부동이다. 결국 터덜터덜 은행 문을 나서던 할머니는 처음으로 자동 입출금기를 사용하게 된다.
 
친절한 기계음에 따라 몇 번 화면을 누른 뒤 무사히 입금을 마친 할머니는 자신감이 붙었는지 그 기세를 몰아 자동 주문기가 있는 패스트푸드점을 찾아 햄버거 주문에 도전했다. 그러나 순조로웠던 은행과 달리 비슷비슷한 메뉴, 조금만 잘못 눌러도 다시 처음으로 가는 주문 시스템 에 어려움을 겪다가 결국 사람이 주문을 받는 칡냉면 집으로 발걸음을 돌린다. 이분남 할머니는 그럴 때마다 '노인'이 된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며 안타까워 한다.
 
홀로 사는 할머니의 낙은 홈쇼핑이다. 그런데 할머니는 늘 상담원과의 통화를 통해 물건을 산다고 한다. 스마트폰 앱 혹은 인터넷을 이용해 사면 2만 원이나 싸다지만, 할머니에겐 아직은 어려운 일이다.
 
극대화된 편리함 속에 소외 받는 노인들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EBS


할머니가 서른두 살이 되던 해 전화기가 등장했고 전화 교환원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1980년 차량용 휴대 전화 등장 이후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던 전화기는 오늘날 초고속 5G 시대에 이르렀다. 디지털은 초고속으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그 과정에서 기술을 습득한 자와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격차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제는 20, 30대도 따라가기 힘들다는 디지털 혁명. 영화관, 마트의 무인 시스템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중이며 그 규모가 2500억에 달하고 이는 10년 전에 무려 4배나 늘어난 수치다. 편리함은 극대화되고 있지만, 그건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벽'이 되고 있다. 연령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전체 국민을 100으로 놓고 봤을 때 20대가 126.5, 50대가 92.8이다가 60대가 되면 69.6%, 70대로 되면 더 떨어져서 42.4%가 된다.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하지만 노인들에겐?
 
박일준 디지털리터러시교육 협의회 대표는 "디지털시대에 지식은 공짜고 물어보면 다 얻을 수 있는 게 되었지만, 그래서 그런 지식을 얻을 수 없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격차는 사회적 권력의 격차가 되어, 경제적 빈곤과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디지털 문명이 발전할수록 더 심해질 것"이라고 말한다.
 
지자체 중 인구 대비 노인 인구가 가장 많다는 부산 증산의 한 경로당. 19명의 노인 중 스마트폰을 쓰고 있는 분은 4명에 불과했다. 왜 편리한 스마트폰을 안 쓰시냐는 질문에 노인들은 너무 복잡하다고 입을 모아 말한다. 글씨가 너무 작단다. 크게 하는 기능이 있다고 해도 그런 건 모르겠다고 한다.
 
모바일 티켓이 일상화되어 가는 시절이지만, 스마트폰 사용을 어려워하다보니 자식들이 모바일 티켓을 보내드릴 수도 이를 받을 수도 없는 형편이다. 그래서 어르신들은 자식들이 예매한 기차표 좌석을 일일이 손으로 적어서 기차를 타신단다. "은행도 점점 가기 힘들고 이제 다시 돈도 장판에 깔아야겠다"라던 경로당 노인들에게 제작진이 '앞으로는 점점 기계로만 하는 세상이 될 거라'고 하자, 노인들은 "그때 되면 우린 다 죽겠지"라며 웃음을 짓는다. 그 웃음 끝에서 쓸쓸함이 느껴졌다.
 
그러다 보니 노인들은 당신들이 편한 곳을 찾게 된다. 영화 하나를 보려고 해도 인기 작품은 이미 인터넷으로 매진이 되거나 시간대를 맞추기 힘들다. 그런 노인들이 향하는 곳은 실버 영화관. 2000원이란 저렴한 티켓 값에 빈대떡과 건빵 등 어르신 입맛에 맞는 간식까지... 노인들 사이에서 핫플레이스인 실버 영화관엔 하루 평균 1000여 명의 노인들이 몰린다.
 
하지만 노인들만 우대하는 곳이 어디나 있는 건 아니다. 기차역까지 가서 직접 표를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연령대가 높은 편이다. 좌석 우대권은 온라인 예매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되니 주말의 경우 4~5시간을 기다려도 가고자 하는 차편을 구하기가 어렵다. 그러다 보니 정작 젊은이들은 예매를 해서 앉아서 가고 어르신들은 입석으로 서서 가는 웃지 못 할 상황이 펼쳐진다.
 
노화를 승인하지 않는 디지털 사회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EBS


일각에선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이 되는 시기가 되면 디지털 시스템에 자유롭게 접근하는 노인 비율이 높아질 것이라 하지만, 그렇다 한들 베이비붐 세대 이전의 노인 세대는 '이등국민'처럼 죽을 때가지 '소외'된 삶을 살아야 한다.
 
디지털 시스템화는 국가적 비용 절감 차원이라는 목적 아래 진행할 수밖에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하지만, 노인과 장애인 등 소외되는 이들 또한 적지 않다. 그러니 '노인 할당 서비스' 혹은 오프라인 상의 인간 도우미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런 '소외'는 현실에서 세대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700만 노인 시대, 좁아지는 시야, 줄어드는 근력, 떨어지는 인지 능력 등은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이지만 디지털 사회는 그런 '노화'를 '승인'하지 않는다. 또 젊은 세대는 가르쳐줘도 따라하지 못하는 노인들에 대해 '무지'라 폄하하기 십상이다. 그러다 보니 노인들은 스스로를 '짐'이라 여기기도 한다.
 
다큐는 그런 상황에 대해 '노력'의 여지를 살핀다. 일주일에 3일 6시간씩 낙동강 녹조 상태 조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65세의 서두남씨는 '더 나이 들기 전에 배우자'는 언니의 권유에 따라 10년 전부터 컴퓨터 배우기에 나섰다고 한다. 그 후 서두남씨는 각종 자격증을 땄다. 심지어 드론 자격증까지 따서 최근엔 훨훨 날고 있단다. 처음엔 '입력', '검색'이란 단어조차 생소했다는 그지만, 이젠 노인들에게 스마트폰 사용법을 가르치는 수준에 이르렀다.
 
하지만 서두남씨와 같은 경지에 이르는 건 쉽지 않다. 실제 디지털은 약자들에게 보다 쉽게 정보와 지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평등의 세상을 연다. 디지털은 그 시스템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서두남씨처럼 나이와 무관하게 얼마든지 지식과 정보의 중심에 설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모든 기기들이 스마트하게 연결되어 있는 스마트 홈 실험에 참가한 평균 74세의 노인들에게 터치 하나로 조작되는 스마트 홈은 불러도 대답 없는 장벽이다. 나이가 들고 살아온 방식이 고착된 노인 세대에게 새로운 것은 그 자체로 두려움이다. 첫 체험에서의 성공은 두려움의 벽을 낮출 수 있는 디딤돌이 되지만, 우리 사회는 노인들에게 디딤돌을 딛고 오라며 기다려주지 않는다. 다큐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고 했지만, 정작 현실은 막막할 뿐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다큐 시선-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