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 포스터.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 포스터. ⓒ NEW

 
어렸을 적 사고로 얼굴 아래 전신이 마비된 지체장애인 세하(신하균)는 엄마가 사망한 뒤 친척 집을 전전하다 장애인 보호시설 '책임의 집'에 오게 된다. 그곳엔 엄마에게서 버려진 지적장애인 동구(이광수)가 있었다. 5살 정도의 지능을 지닌 동구는 수영을 좋아하고 또 기똥차게 잘했다. 어느 날 세하가 물에 빠져 죽음의 위기에 처했을 때 동구가 구해준 걸 계기로 그들은 특별한 '형제'가 된다. 비록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았지만 말이다. 
 
20년 뒤 세하와 동구, 그리고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돌봐주던 박 신부(권해효)가 세상을 떠난다. 이후 지원금이 끊기면서 '책임의 집' 또한 폐쇄될 위기에 처한다. 이를 충당하기 위해 세하는 돈을 받고 자원봉사시간 인증을 해주는 자못 파렴치한 활동을 서슴지 않는다. 하지만 그것으로는 운영이 충분하지 않다. 여느 날처럼 동구에게 이끌려 수영장에 갔던 날, 사회인수영대회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동구를 대회에 참가시키려고 한다. 세하는 동구의 수영대회 참가를 발판 삼아 상금과 후원금을 조달하려는 계획이었다. 
 
 관객 만족도와 전문가 평가에서 괜찮은 성적을 보였다.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의 한 장면.

관객 만족도와 전문가 평가에서 괜찮은 성적을 보였다.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의 한 장면. ⓒ NEW ?

 
세하는 평소 안면이 있던 구청 수영장 알바생 미현과 자원봉사, 코치경력 거래를 한다. 동구를 훈련시켜 주는 조건이었다. 그렇게 자립의 조건을 충족시켜 나가던 어느 날 그들 앞에 갑자기 동구의 엄마 정순이 나타난다. 그녀는 무슨 일이 있어도 동구를 데려가겠다고 나선다. 세하는 정순에게 "아들을 버릴 땐 언제고 갑자기 다시 나타나 데려가려고 하냐"면서 극구 반대한다. 다시 한 번 '가족'과 헤어질 위기에 처한 세하와 동구.
 
괜찮은 관객 만족도와 전문가 평가
 
영화 <어벤져스: 엔드 게임>이 영화 역사에 남을 흥행 신기록을 모조리 새로 작성하고 있던 시기에 <나의 특별한 형제>가 용감하게 출격했다. 블록버스터와는 거리가 먼 저예산 코미디이기에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 <어벤져스: 엔드 게임>으로 쏠린 시선과 피로감 그리고 전혀 다른 장르의 신선함 등의 반사이익을 기대했을 것이다. 

결과는 성공, 아니 대성공. <나의 특별한 형제>와 비슷한 사이즈의 이야기를 장착한 영화들이 늘어서 있었다면 이렇게까지 돋보이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다행히도 틈새시장을 노린 배급사의 판단이 적절했고, 완성도 측면에서도 나쁘지 않아 <어벤져스 : 엔드 게임>에 버금가는 관객 만족도와 나쁘지 않은 전문가 평가를 받고 있다. 결국 14일 현재 130만 관객을 동원했고 지금도 여전히 쾌속 중이다.

과거 육상효 감독이 <방가? 방가!>를 통해 보여주었던 소외되고 약한 존재의 주체적 휴머니즘과 웃음이 다방면으로 발전해 현재의 <나의 특별한 형제>가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영화에는 육 감독의 오래된 영화 철학과 그에 따른 고민이 담겨 있다. 그가 한국 코미디 영화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장애인의 독립화 주체화 구체화
 
장애인이 주인공으로 내세워 큰 인기를 끈 한국영화들이 많다. 관객 수 1000만 명을 넘긴 <7번방의 선물>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맨발의 기봉이>(200만 명), <그것만이 내 세상>(300만 명), <말아톤>(400만 명) 등이 있다. 설경구와 문소리의 신들린 연기를 볼 수 있었던 문제작 <오아시스>도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외화의 경우 <레인맨>, <여인의 향기>, <포레스트 검프>, <길버트 그레이프>, <제8요일>, <언터처블: 1%의 우정> 등 주로 90년대 개봉된 작품들이 많다. 
 
 영화는 장애인의 독립화 주체화 구체화를 꾀했다.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의 한 장면.

영화는 장애인의 독립화 주체화 구체화를 꾀했다.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의 한 장면. ⓒ NEW ?

 
앞서 언급한 한국영화들과 외국영화들의 차이점이 눈에 띌 것이다.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건 똑같을지 모르지만, 한국영화는 장애인을 대상화 객체화 수단화시키는 반면 외국영화는 장애인을 독립화 주체화 구체화시킨다. 그런 면에서 <나의 특별한 형제>는 한국 장애인 영화의 진일보한 모습을 보인다. 장애인이 주인공인 게 아니라, 주인공이 장애인일 뿐이다. 

<나의 특별한 형제>는 장애인을 자기 한 몸 건사할 수 있는 독립적인 주체로 생각할 수 있게끔 만든다. 영화는 시종일관 그들이 그저 지켜줘야 할 존재가 아님을 알려준다.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다른 세계에 사는 존재가 아님은 물론 이들은 연민이나 웃음 또는 슬픔의 대상이 아니라는 메시지도 담겨 있다. 육상효 감독의 조심스럽고 사려 깊은 시선이 건강한 휴먼 코미디를 만들어낸 것이리라.

영화 속에선 세하와 동구뿐만 아니라 미현의 존재가 크게 작용했다. 비장애인이지만 하루 벌어 하루 사는 단기알바생인 그녀는 세하와 동구를 대상화시키지 않는다. 그녀는 두 사람을 같은 세계에 사는 조금 다른 존재로 대한다. 나아가 영화는 그들 셋을 한데 모아 '약자'로 포진시킨다.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구별되는 별 존재가 아닌, 약자로 바라보는 것이다. 누군가에겐 당연한 개념이겠지만, 현실에서도 영화에서도 그러지 않았다는 걸 반증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가족의 의미
 
영화는 현실의 이슈에 대해 나름의 답을 내놓기도 한다. 세하와 동구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이 처한 현실을, 미현을 통해 비루한 청년세대의 각박해질 뿐인 현실을 보여주었다. 영화 중후반부에는 동구를 버리고 갔던 엄마 정순을 등장시키면서 '가족의 의미'를 생각하게 만든다.

정순은 여전히 동구의 합법적 부모다. 동구와 함께 살 권리가 있다. 하지만 동구는 자신의 엄마에게 버려진 이후부터 세하와 함께 살아왔다. 물론, 동구는 움직일 수 없는 세하의 몸이 되어 뒷바라지를 했다. 같이 사는 이상 앞으로도 계속 그래야 한다. 누구와 사는 게 동구를 위한 길인가. 동구는 누구와 살길 원하는가.
 
 비루한 청년세대와 가족의 의미도 현실적으로 그렸다.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의 한 장면.

비루한 청년세대와 가족의 의미도 현실적으로 그렸다.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의 한 장면. ⓒ NEW ?

 
5살 지능을 가진 동구이지만 법적으론 성년이기에 선택은 오롯이 동구의 몫이다. 하지만 영화는 정순 아닌 세하의 편을 드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면서 가족은 하늘이 내린 천륜이 아닌 인간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걸 강조한다. 영화는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며 살아가는 세하와 동구 그리고 미현의 모습을 통해 진정한 가족이 무엇인지를 묻는다. 영화의 영어 제목인 'INSEPARABLE BROS' 즉, '갈라놓을 수 없는 형제'는 감독의 의도를 더욱 확실히 잘 보여준다.

<나의 특별한 형제>는 앞으로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한 한국 영화들에 중요한 레퍼런스가 될 것이 분명하다. 많은 제작자와 감독들이 이 영화에서 영감을 얻는 동시에 고민할 것도 늘어날 것이다. 이후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영화들은 장르융합에 따른 작품성도 유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층 더 재미있고 의미 있고 감동적이고 영리한 영화를 기대해본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singenv.tistory.com에도 실립니다.
나의 특별한 형제 장애인 주체 청년세대 가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