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늘 그렇지만 대한민국 어머니에게 '영어'는 숙명과 같은 존재이다. 하루라도 빨리 내 자식이 영어를 배워야 할 것 같고 그렇지 않으면 뒤쳐지는 것 같아 불안하다. '옆집에 누구는, 앞집의 누구는, 같은 반의 누구는'로 시작하는 자랑까지 듣고 나면 더 조바심이 난다. 그만큼 대한민국에서 '영어'는 어머니들에게는 우리 아이가 더 좋은 대학을 가고, 더 좋은 대접을 받기 위한 '생존 도구'인 것이다.

그런데 한 학교 또는 학원의 같은 반, 비슷한 수준의 실력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인데도 불구하고 어떤 학생은 다른 아이들보다 쉽게 익히는 것 같다. 반면 어떤 아이는 도대체 그 날 수업을 소화하는 것 자체가 버겁다. 이런 현상은 초등학생들에게 상당히 잘 나타난다. 결국 학부모들의 요청에 의해 학원에서 진행하는 보강 수업까지 학생들이 청강하지만 대개 큰 발전도 없다. 들을 때만 알고 뒤돌아서면 모르듯 마치 진통제 맞은 순간의 환자 같을 뿐이다. 안타깝지만 이런 학생들은 자리잡지 못 하고 여러 학원만 전전하거나 수업 시간 내내 겉도는 경우가 상당수다. 결국 상담전화 중 대다수 학부모에게 돌아오는 내용은 '우리 애가 영어를 싫어해요'이다.

물론 무엇인가를 받아 들이는 데 개인 차이는 있다. 그리고, 사실, '영어를 싫어하게 된' 변수는 정말 많다. 수업 시간의 집중력 차이도 있고 가르치는 선생 또는 강사의 자질도 무시 할 수 없다. 만에 하나 선생에게 욕을 듣거나 체벌을 당했거나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으면 그것이 결정적인 이유일 수 있다. 또 하나, 집에서 하는 학습, 이른바 '복습'하는 시간이 차이 날 수 있다. 학생의 건강 상태도 중요하다. 그런데 아이들과 지내보면서 '영어를 싫어한다'는 이야기가 '진짜' 무엇 때문에 나오기 시작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기 시작했다. 과연 외부 환경만이 이 아이가 영어를 싫어하게 된 이유일까?

암호 같은 수준인 영문법 용어

필자가 처음에 가장 주목한 부분은 대부분의 영문법 책 속에 들어있는 영문법 용어였다. 실제 수 십 여명의 학부모들과 상담을 해 보면 비슷하게 나오는 이야기가 '아이가 영문법 용어를 너무 어려워한다'다. 그래서 저학년 (특히 초등학교 3, 4학년) 학부모들이 학원에서 내는 영문법 숙제를 같이 해 주다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나온다.

사실 그렇게 놀라운 사실도 아니지만, 대부분의 영문법 책 속에 들어있는 용어는 '일본에서 온 말'이다. 일본어와 우리말과 사용하는 한자나 정서가 '비슷해도' 100% 이해가 힘들다. 이 때문에 여기부터 학생과 영어와의 괴리가 처음 나타난다. 명사(名詞), 동사(動詞), 형용사(形容詞), TO부정사(TO不定詞), 동명사(動名詞), 부사(副詞), 분사(分詞)... 계속 아리송한 단어가 나오는데 이 단어에 대한 설명도 어렵다. 아마 책을 열어보면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고 대부분 적혀 있다. 이 말을 보는 아이들이 속 마음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영어는 내가 할 수 있는 분야', 또는 '영어는 나의 적'.

그럼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원인은 단순하다. 영문법 용어 속에 숨은 한자에 대한 우리말 풀이가 없거나 빈약하고 이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단원들 중 하나인 'TO부정사(TO不定詞)'를 살펴보자. TO부정사의 한자는 '아닐 부(不), 정할 정(定), 말씀 사(詞)'다. 그러니까 TO라는 단어 뒤에 들어 갈 동사의 원래 모습이 모두 올 수 있어 '정해진 말이 없는 말(不定詞)'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동명사는 무엇일까? 보통 많이 나오는 설명이 '동사 원형+ING'다. 한자를 잘 살펴보면 움직일 동(動)에 이름 명(名)이 함께 있는 구조이다. 즉, 단어의 모양새는 동사인데 실제 쓰임은 명사 같다는 것. 그래서 '동명사'다.

솔직히 오래 전 일본에서 들어 온 용어가 지금까지 이 땅의 영어 교재들에 나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필자도 별로 내키지 않는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이어온 것을 쉽게 바꿀 수 없다면 이 말을 우리말로 어떻게 풀어내는가에 따라 이해 할 수 있는 수준이 완전히 달라진다 생각한다.

우리 말과 영어 그리고 독서

'영어를 잘 하려면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한다'

맞는 말이다. 우리나라처럼 시험 영어가 절대적인 위력을 차지하는 나라라면 자명한 명제다. 사실,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학습 방법이다. 우리로 치면 학원에 해당하는 학당에서 시험 합격을 위해 예상문제를 토대로 해 시간 제한을 두고 다수의 문제풀이를 한 것은 역사 속 유명한 뒷이야기 중 하나다. 그래서 한 예로 고려시대의 9재 학당이 유명할 수 있었다. 이 밖에 좋은 학원에서 우수한 강사 또는 선생에게 수업을 듣는 것도 당연할 것이다. 그러니 유명 학원이 지금까지 성행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영어뿐 아니라 어떤 외국어 학습이든 반드시 전제해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독서'다. 물론 어휘 암기는 영어뿐 아니라 외국어를 배우는데 필수 덕목이다. 실제 어휘력이 떨어지면 독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독서량은 특히 독해와 어휘 암기에서 절대적인 차이를 드러낸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생각보다' 아이들이 단어장에 나오는 우리 말 뜻을 모르거나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우리 말을 이해하지 못 한다고?' 하면서 코웃음 칠지 모르겠지만 사실이다. 실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해 보면 영어 지문의 우리 말 해석을 읽어도 모르겠다고 하는 아이들이 상당수 나온다. 보통 10명 중 3명 정도는 있다. 이것은 우리 말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단어를 암기하였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영문을 해석해도 문제 안에 있는 선택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복습에도 영향을 미친다. 복습할 때 풀이에 적힌 우리 말 해석을 읽어도 파악이 어려워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다.

영어를 잘 하려면 단어를 많이 외워야 하고 문법도 잘 해야 하고… 다 맞는 이야기이다. 그렇지만 더 큰 전제조건은 '우리 말에 대한 이해력'이 따라오지 못 하면 결국 한계가 온다. 문법도 단어도 결국 '우리 말'로 이해해야 한다. 우리말이 허약한데 어떻게 학부모와 학생이 원하는 점수를 쉽게 올리거나 받을 수 있을까?

'국어'라는 기초가 단단해야 영어를 붙일 수 있다

영어가 중요하다는 공감대는 형성해 있다. 그럴 수 밖에 없다. 당장 수능을 보고 대학을 가려면 영어 점수가 잘 나와야 한다. 내신 성적에서도 영어가 당당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그래서 사교육 비용 중 다른 것은 다 줄이더라도 잘 줄어들지 않는 것 중 하나가 영어다. 내 아이가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어디든 보내야 하는 절박한 심경이 우리 사회 곳곳에 투영된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중요한' 영어도 결국 '국어'라는 기초 위에 올라가야 효과가 있다. 앞에서 밝힌 영문법에서 쓰인 한자 용어가 직접적으로 우리의 국어와 연관이 있을지 갸우뚱 하는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렇지만 그 한자 역시 우리말로 이해해 내려면 어느 정도 국어 지식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필자는 이 세상 어디에나 있는 흔한 일반인이다. 그렇지만 최근에 느낀 것은 영어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중요하고 중요한 기초인 '국어'는 정작 도외시하는 경향이 만연한 것 같아 안타까워 이 글을 썼다. 확실한 것은 어떤 언어든 자국어로 쓰인 말을 이해하기 힘들다면 학습해도 금방 무너지는 모래성과 같다.

태그:##영어, ##국어, ##모국어, ##외국어학습, ##독서의중요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BASEBALL KID. 옳고 그름을 떠나서 다양한 이야기를 해 보고 싶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