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비 100억 미만 영화로 천만 영화가 된 <극한직업>과 제작비 100억 이상으로 손익분기점  도달이 어렵데 된 <뺑반>

제작비 100억 미만 영화로 천만 영화가 된 <극한직업>과 제작비 100억 이상으로 손익분기점 도달이 어렵데 된 <뺑반> ⓒ CJ ENM, 쇼박스

 
설날 연휴 <극한직업>이 관객 천만을 돌파하면서 흥행에 목말라했던 한국영화에 단비를 뿌렸다. 그렇지만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다. <뺑반>의 부진 때문이다. 흥행이야 쉽게 예측할 수 없는 것이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제작비 100억 이상 영화의 흥행 고전 현상이 해를 넘어서도 풀리지 않는 상황이다. <말모이>와 <뺑반> 등 새해 개봉 영화들이 이런 흐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지난해부터 제작비 100억대 대작 영화들은 제대로 손익분기점을 넘긴 작품이 드물 만큼 최악의 흥행 성적을 보이고 있다. 주로 성수기를 겨냥한 대작 영화들이 하나같이 흥행에 실패했는데, 이는 한국영화에 위기의식이 높아진 배경이기도 하다. 100억이 투입된 영화의 손익분기점은 대략 300만 정도다. 150억 영화는 450만 안팎, 200억대 영화의 경우는 600만 관객은 들어야 손익을 맞출 수 있다.
 
100억 이상은 참패, 100억 미만은 흥행
 
지난해 여름성수기 시장에 나왔던 200억 대작 <인랑>의 참패는 대표적이다. 비슷한 시기 개봉한 <공작>은 손익분기점 500만을 앞두고 497만에서 멈추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지난해 추석 개봉작인 <안시성>은 200억대 제작비가 투입됐는데, 제작사측은 손익분기점인 540만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안시성>은 최종 543만 관객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당>이나 <협상> 등 다른 추석 개봉 대작들도 줄줄이 고배를 마셨다. 연말 개봉작 역시도 이 사슬을 끊어내지 못하고 하나같이 흥행에 참패했다. 여러 영화들이 손익분기점 300만은커녕 200만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한국영화계는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2018년 개봉한 제작비 100억 이상 영화 중 제대로 흥행한 영화로는 여름에 개봉했던 천만 영화인 <신과 함께-인과 연>이 그나마 대작의 체면을 세웠다.
 
 2017년 추석과 연말에 개봉해 흥행에 참패한 제작비 100억 이상 한국영화

2017년 추석과 연말에 개봉해 흥행에 참패한 제작비 100억 이상 한국영화 ⓒ CJ, 롯데, NEW, 쇼박스

 
새해 들어서도 비슷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400만이 손익분기점인 <뺑반>은 설날 특수를 기대했으나 200만 도달도 어려워 보인다. 300만이 손익분기점으로 알려진 <말모이>는 초반 기대에도 모았음에도 7일 현재 283만을 기록 중이다. 제작사 측은 7일 해외 선판매를 포함해 280만으로 손익분기점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에 비해 중저예산 영화들이 흥행하면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임순례 감독의 <리틀 포레스트>가 대표적이다. 80만이 손익분기점이었는데 150만이 관람하며 2배 가까운 수익을 냈다. 252만의 <목격자>(손익분기점 180만)나 282만의 <너의 결혼식>(손익분기점 150만), 529만 관객이 찾은 <완벽한 타인>(손익분기점 180만)도 100억 미만의 제작비로 만들어져 좋은 흥행 성적을 거둔 경우다.
 
지난 1월 개봉한 <내 안의 그놈>도 150만 정도가 손익분기점이었는데, 190만을 기록하면서 새해 한국영화로서는 첫 손익분기점을 넘긴 영화가 됐다. 제작비가 70억 정도인 <극한직업>은 개봉 첫 주말에 손익분기점인 200만을 넘겼고, 최근 천만 관객도 돌파하며 흥행 고속질주 중이다.
 
제작비가 높은 대작 영화들의 부진은 투자사들의 수익률 악화로 이어지면서 한국영화 위기의식의 바탕으로 작용하고 있는 중이다. <극한직업>이 크게 흥행하면서 투자의 숨통을 틔웠지만, 대작 영화들의 잇따른 부진은 여전히 아쉬움을 남기는 요소다.
 
<극한직업>의 흥행, 기획의 중요성 일깨워
 
 영화 <극한직업>의 한 장면

영화 <극한직업>의 한 장면 ⓒ CJ ENM

 
중저예산 영화의 선전과 대작 영화의 침체를 놓고 영화계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공통적으로 나오는 핵심 요소는 기획력이다. 다수의 흥행작을 만든 한 중견 영화인은 "한국영화가 초심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라며 "<극한직업>의 흥행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극한직업>의 제작자가 흥행 영화를 만든 경험이 적어 이름이 그리 알려지지 않았고, 이병헌 감독 역시 <스물> 이후 <바람 바람 바람>은 흥행이 안 됐다. 류승룡 역시 최근 수년간 주연을 맡았던 <도리화가> <염력> < 7년의 밤 >이 연이어 흥행에 실패했다. 시장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 데리고 '관객에게 웃음으로 확실한 보상을 해주겠다'는 하나에만 집중한 거다. 그래서 성공할 수 있었다고 본다."
 
그는 이어 <극한직업> 흥행의 핵심에는 "대중이 원하는 영화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있었다"면서 "기획의 중요성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기획이란 게 2~3년을 미리 예측해야 하는 것인데, <극한직업>은 유명감독이나 유명배우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시켜준 게 의미"라고 설명했다. 불모지였던 판타지에서 큰 흥행을 이룬 <신과 함께>나 <완벽한 타인>, <청년경찰>, <극한직업> 등의 영화가 흥행한 바탕에는 결국 기획력의 승리가 있다는 것이다.
 
최근 신작 촬영을 마친 한 프로듀서는 "스타 캐스팅, 스타 감독에 목매면서 시나리오는 그냥 옵션으로 생각하며 기획과 주제에 대해선 전혀 관심 없는 태도"로 일관하던 일부 투자사들의 자세를 지적했다. <극한직업>의 성공이 참신한 발상 덕분이라고 평가한 김시무 평론가는 "다른 영화들은 물량공세 등 기존 흐름을 답습한 안이한 방식에 의존하다보니 흥행이 안 된 것 같다"고 진단했다.
 
 증저예산 영화로 흥행한 <완벽한 타인>

증저예산 영화로 흥행한 <완벽한 타인> ⓒ 롯데컬처웍스

 
CGV 조성진 전략지원담당도 비슷한 견해를 밝혔다. "한국영화계에 소재의 다양성과 기획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며 "사실 최근 몇 년 동안 쏟아져 나온 한국영화들은 대개 무거운 주제와 자극적인 소재가 많았고 영화 투자에 대한 결정 역시 일부 유명 배우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어디서 본 것 같은 비슷비슷한 영화들에 관객들은 당연히 지쳐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그는 또 "그러는 사이 의미 있는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며 "규모는 작지만 신선한 소재로 상당히 알찬 흥행을 거둔 영화들이 속속 나타난 것은 그만큼 관객들은 새로운 영화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극한직업>의 흥행이 한국영화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관객이 원하는 건 '고 예산', '일급 배우'가 아니다"라며 "참신한 소재와 기획력만 있다면 관객은 분명 반응한다는 사실을 새삼 일깨워줬다"고 덧붙였다.
한국영화 기획 극한직업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