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탕

곰탕 ⓒ sbs

다시 설이다. 며칠을 쉬고, 어디를 가고 다들 마음이 먼저 분주해지는 시간. 하지만 ㅅ(시옷)자만 들어도 골이 지끈지끈 아파오는 사람들이 있다. 몇 시간 동안 앉아서 울렁거리는 기름 냄새를 맡으며 전을 부쳐야 하는, 여전히 '어느 집안의 며느리'라는 단어 아래서 신음하는 '며느리'들이다.

역귀성에, '명절 대신 여행' 등 트렌드가 바뀌고 있지만, 여전히 한편에선 명절의 전통이 강고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며느리 잔혹사'라 해도 과언이 아닌, 1996년의 명절 특집극 <곰탕>을 다시 보며 며느리로서의 삶에 대해 짚어보려고 한다.

1996년이면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이다. 설 등의 특집 드라마가 융성하던 시절이었던 당시 SBS에선 <울밑에 선 봉선화> <노란 손수건> <어여뿐 당신> 등 전통과 여성의 갈등을 작품으로 풀어온 박정란 작가와 이장수 PD가 2부작 설특집극 <곰탕>을 내놓았다.

이 드라마에는 김혜수부터 김용림, 류현경, 류시원, 한재석, 정우성 등 당시의 내로라하는 스타들이 출연했다. 당시 작품성도 인정받아 뉴욕 페스티벌 TV부문 특별상, 휴스톤 국제 영화제 TV부문 금상을 받으며 '한국적 여인상'을 대내외에 알렸다.

열 세 살의 민며느리
 
 곰탕

곰탕 ⓒ sbs


드라마는 1919년 고종이 돌아가신 뒤 전국적으로 3.1 운동이 불붙던 시절 서울의 모습을 비추며 시작한다. 순녀(김혜수 분)네 집은 양반이지만, 살림살이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어렵다. 결국 순녀는 충청도 부잣집이라는 정씨 댁에 쌀 삼백 섬에 '민며느리(빈곤한 가정의 딸로서 대체로 10∼12세 때 데리고 와서 양육하여 혼기가 되면 며느리로 삼는 제도)'로 들어가게 된다.

가마를 타고 며칠을 걸려 도착한 시댁. 어른들에게 인사를 마치자마자 '민며느리'인 순녀에게 주어진 일은 이 집에서 남자들을 위해 끊김 없이 만든다는 곰탕 재료를 손질하는 것이었다. 순녀는 한 겨울임에도 뒷마당에 앉아 찬물에 손을 담가 소뼈며 부속물을 다듬어야 했다.

순녀는 겨우 곰탕꺼리를 마련해 가마솥에 끓이며 행랑댁과 함께 어두운 부엌 마루에서 바가지에 담긴 밥을 먹지만, 갑자기 들이닥친 시어머니는 그녀의 옷을 벗겨 몸을 검사한다. 손이 귀한 집에 겨우 아들 하나를 낳아, 사는 동안 부담을 짊어졌던 시어머니는 자신의 한을 고스란히 순녀의 몸에 토해낸다. "아들을 많이 낳아야 한다"며.

그렇게 3년이 흐르고 순녀는 혼례를 올린다. 하지만 정씨 집안 외동아들인 인성(류시원)은 첫 날 밤을 치르자마자, 서울로 유학을 떠난다. 고향이 서울인 순녀를 놔두고 말이다. 순녀는 남편도 없는 시댁에서 점차 부풀어 오르는 배를 부여안고 곰탕을 끓이랴 시부모를 봉양하랴 손이 마를 날이 없다.

드디어 졸업을 하고 고향으로 온 남편은 만삭의 아내에 눈길 한번 제대로 주지도 않은 채 무거운 가방을 들리고, 보다 못한 남편의 친구가 만삭의 몸으로 낑낑대던 그녀의 가방을 받는다. 그래도 순녀는 남편이 돌아와 설레고 반가웠다.

하지만 돌아온 건 남편만이 아니다. 악극단의 가수 출신인 채봉이라는 여자도 남편을 찾아오고, 심지어 그녀가 남편과 한 방을 쓰는 모습을 지켜보게 된다. 순녀는 시련을 겪으며 열 달 동안 품고 있던 아이를 결국 떠나보내고, 남편도 다시 서울로 떠나버린다.
 
 곰탕

곰탕 ⓒ sbs

 
사업을 한다며 고향으로 돌아오지 않는 남편은 심지어 다른 여자랑 살림을 차리고 거기서 아이까지 낳았다. 그 많던 정씨 일가의 땅은 순녀 남편의 그 '사업'의 핑계로, 해방과 전쟁, 격동의 시대 속에 사라져 버린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더 이상 남아있어야 할 이유가 없어져 버린 순녀는 남편도, 자식도 없이 빈손으로 그곳을 떠난다.

순녀가 할 수 있는 건, 시집살이 내내 끊임없이 끓여대던 곰탕 밖에 없었다. 곰탕 집 열 돈이라도 보태 달라 만난 남편은 "하루가 다르게 자라는 자식 과외 시킬 돈도 없다"며 그녀의 입을 막는다. 순녀는 어렵사리 겨우 천막을 쳐서 곰탕집을 차린다. 그녀가 견딘 시련의 세월을 배신한 남편과 달리, 세상 사람들은 그녀의 손맛에 응답한다. 그렇게 곰탕을 끓이며 살아온 세월이 어느덧 40년이 넘어가고, 늙고 병든 남편이 돌아온다. '며느리'로 살아온 인생이 거둔 뒤늦은 결실인지 또 다른 짐인지 모를 그것.

민며느리로 들어와 남편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며느리'로서의 삶을 견디고 버텨낸 순녀의 이야기를 오랜 시간 끓여야 제대로 된 맛이 나는 음식인 <곰탕>에 빗대어 그려낸 이 드라마는 류현경, 김혜수, 김용림 연배가 다른 세 배우를 통해 그 시대의 전통적 여성상을 설명한다.

질곡의 가부장제, 그 희생자이자 헌신적 실천자들
 
 곰탕

곰탕 ⓒ sbs


쌀 삼백 섬에 팔린 '매혼'의 대상, 한 집안의 며느리라지만 일하는 식솔, 대를 잇는 수단, 심지어 남편마저 외면한 여자 아닌 여자. 하지만 순녀는 자신의 자리를 벗어날 생각을 하지 못한다. 바람이 나다 못해 살림을 차리고 그 살림 차린 여자에게서 아들을 얻은 남편임에도 오래도록 '조강지처'라는 허울, 아니 그녀를 유일하게 증명할 그 '허명'에 매달린다.

심지어 평생 아이를 생산하지 못한 그녀는 아들을 낳아 대를 잇지 못한 것이 죄송스럽다. 아들을 하나밖에 낳지 못해 한스러워 하던 그의 시어머니처럼 말이다. 어디 그뿐인가. 다 늙고 병들어 돌아와 그제야 너무 미안하다는 남편에게 그녀는 뜻밖에도 미안하다고 말한다. 평생 미워해서, 때로는 남편보다 남편의 친구를 더 그리워해서 말이다.

드라마는 일제, 해방, 전쟁 등 격변기에 전통적 가족 제도의 굴레 속에서도 곰탕처럼 뭉근하게 삶의 정취를 피어낸 순녀의 삶을 통해 전통 여성상의 수난과 인간 승리를 그려내려 했겠지만, 2019년에 다시 본 순녀의 인생은 척박하기만 하다.

모든 장면이 도저히 수긍하기 어려웠건만, 불과 한 세대 전의 삶이라니... 가부장제가 한 사회의 근간을 이루던 사회에서 나고 자라고 정체성을 인정받아야 했던 여성들의 삶에 그리 무슨 다른 대안이 있었을까. 그럼에도 자신을 놓치지 않고 곰탕처럼 견디고 뭉그러져 그 끝에서 도달한 경지는 그 누구도 쉽게 예단 할 수 없는 한 시대의 표상일 것이다.

장면 장면이 공감할 수 없는 것 투성이지만, 과연 우리가 살고 있는 2019년은 순녀의 삼에서 멀리 떨어져 나왔을까? 주인공이 시댁 전통에 따라 자식을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을 보면, 외양을 달라졌을지언정 여전히 가부장제는 우리 삶 근처에서 끓어오르고 있는 듯하다. 이번 설에 여전히 구부리고 앉아 전 부칠 걱정을 하는 수많은 며느리들의 사례에서처럼 말이다.

아이러니한 건 시집살이를 하던 순녀가 나이가 들어 조강지처의 자리를 고집하고, 아들을 하나 밖에 못 낳은 시어머니가 순녀의 몸을 훑으며 아들 낳기를 종용하는 등 가부장제 실천자들이 뜻밖에도 희생 당사자인 여성들이라는 점이다. 특히 늙고 병들어 돌아온 남편을 거둔 뒤 비로소 자신의 임무를 다 한 듯한 표정을 보이는 순녀의 모습이 안타깝다. 즉, 가부장제는 '남자'의 것이 아니라, 결국 한 사회를 살아가는 구성원들의 의식과 행동을 결정짓는 사회적 체제였고, 지금도 상당 부분 그렇다.

하지만 그 질곡조차도 사실은 '역사적'이다. 지금은 우리 사회를 덮고 있는 가부장제가 사실은 모계적 전통이 강했던 조선에서 유교주의를 통치 이념으로 삼기 시작한 중기 이후에야 어렵사리 정착되었듯, 헤어날 길 없는 명절의 악순환도 어쩌면 쉽게 바뀔 수 있다. 최근 들어 가족관계의 굴레보단 비혼을 택하겠다는 젊은이들이 늘어나고 있는 걸 보면, 어쩌면 조만간 가부장제도 서서히 우리 삶에서 사라질지도 모른다. 아주 오래된 전설 같은 곰탕을 끓이는 순녀의 이야기가 2019년 설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한다.
 
 곰탕

곰탕 ⓒ sbs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곰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