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엄마는 속된 말로 내 가방모찌였다. 학창 시절, 내가 수업을 마치고 전화하면 엄마는 시간 맞춰서 집 앞 정류장으로 늘 마중을 나오셨다. 날 만나자마자 무거운 내 가방을 얼른 받아드셨고, 집으로 오는 15분 동안 나는 그날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종알종알 떠들었다.

직장을 다닐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늦게까지 야근을 한 날이면 엄마는 전철역까지 나오셨고, 늘 책이 많아 무거운 내 가방을 들어주셨다. 그리고 난 집으로 가는 동안 수다 한 보따리를 풀어 놓곤 했다.

나는 친구들과 선생님 이야기를, 엄마는 아빠 흉을 보기도 했고 외할머니 걱정을 털어놓았던 것 같다. 그때만큼은 우리는 서로에게 완전한 '내 편'이었다. 하굣길에서 퇴근길에 이르기까지 꽤 오랜 시간 동안 엄마에게 내 가방을 맡기고 집으로 가는 그 시간은 엄마에게나 나에게나 즐겁고 비밀한 기쁨이 가득했다.

그런 당연한 일상이 깨진 게 언제인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내가 운전을 하면서부터였던 것 같기도 하다. 전화를 안 하고 그냥 들어오는 게 당연해졌는데, 문득 그 변화를 감지한 날이 있었다.

퇴근길에 비가 내려서 엄마한테 우산을 갖고 나와 달라고 전화를 했다. 역사 안에서 만난 엄마는 내게 우산을 건네면서 무의식적으로 내 가방을 가져가려고 손을 뻗쳤다. 사실 그날 가방이 너무 무거워서 어깨에 담이 올 지경이었는데, 그 순간, 본능적으로 거짓말이 튀어 나왔다.

"안 무거워. 괜찮아. 내가 들게."

집까지 오는 동안, 난 깨달았다. 결코 인식하고 싶지 않은 현실을 보게 됐다는 걸.

너무나 작아져 버린 엄마

내가 바쁘게 시간을 보내는 동안, 엄마는 서서히 작아지고 있었던 것이다(사진은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내가 바쁘게 시간을 보내는 동안, 엄마는 서서히 작아지고 있었던 것이다(사진은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 tvN

관련사진보기


내 가방을 들기엔 이제 엄마는 너무나 작아져 버렸고, 누군가의 보호가 필요한 약한 사람이 되었던 것이다. 그제야 난 엄마가 내 가방을 들어주기 위해 전철로 나온 것도 꽤 오랜만이라는 걸 깨달았다.

내가 바쁘게 시간을 보내는 동안, 엄마는 서서히 작아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날 이후로 난 의식적으로 엄마의 보호자가 되었다. 이제 나는 엄마가 넘어질까봐 걱정하고, 병원에 보호자로 같이 가고, 시장이나 여행을 갈 때 모든 짐을 내가 든다. 엄마와 나의 자리가 바뀌어서 내가 엄마의 가방 모찌가 된 것이다.

엄마와 내 자리가 점점 바뀌어 가는 만큼, 나도 늙고 있었다. 회사에서 잘릴 때, 잘리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마흔다섯이라는 '나이'였고, 다시 일을 찾는 데 가장 방해가 되는 것도 '나이'였다.

어느덧 나이는 내게 서러운 무언가가 되었다. 게다가 나이든 싱글인 탓에 어디를 가든 "어머님""사모님"이라는 호칭 정도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한다. 나는 그 어떤 호칭에도 편안하지가 않은데, 다들 눈에 보이는 대로 사회의 시각으로 나를 규정하고 그렇게 부른다.

몸도 마찬가지다. 여기저기 삐그덕 거리는 것까지야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만, 작년에 갱년기를 겪으면서는 지옥을 몇 번이나 왔다갔다 해야만 했다. 사회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나이 듦'은 나를 자꾸 궁지로 몰고 간다.

늙어서 점점 작아지고 점점 사라지고 있는 엄마를 보는 건 고통스럽고 슬프다. 그리고 나의 늙어감을 체감하는 것도 못지않게 힘들다. 사회적으로, 육체적으로, '당신은 이제 유통기한이 다가오고 있어요'라고 끊임없이 말하지만, 난 아직 적응이 잘 되진 않는다.

사회에서 보는 내 나이와 내가 나를 인식하는 나이의 불일치. 거기서 계속적으로 불화가 생긴다. 게다가 싱글로서 늙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더 불화를 자초한다. 나에겐 가방모찌를 해 줄 딸이 없으므로 내 인생을 오랫동안 혼자 감당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이다.(이런 부담감은 싱글이든 자녀가 있든 비슷하겠지만)

'나이', '늙어감'과 사이 좋게 지내는 법

싱글이든 아니든 나이 들수록 누군가의 도움 없이 '혼자' 뭐든지 잘할 수 있는 사람보다 함께할 수 있는 관계를 잘 맺는 사람이 진짜 성숙한 사람 아닐까
 싱글이든 아니든 나이 들수록 누군가의 도움 없이 '혼자' 뭐든지 잘할 수 있는 사람보다 함께할 수 있는 관계를 잘 맺는 사람이 진짜 성숙한 사람 아닐까
ⓒ pexels

관련사진보기


사실 지금까지는 사회가 규정한 이미지를 통해 내가 나를 이해하고 그런 상을 만들려고 노력하면서 살아왔다. 30대에는 어떤 직급에 어떤 규모로 살아야 하고, 40대에는 어떤 모습으로 살아야 정상이다, 적어도 40대 싱글이라면 이 정도는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하는 표준 규격(?)과 만들어낸 이미지에 자꾸 나를 구겨 넣으려 했다.

표준규격에 끌려다니지 않고 나답게 살아가는 것. 단순히 다짐이나 결심을 넘어서 내 기존의 생각이나 삶과 이혼하겠다는 각오로 작은 것부터 실천하려 한다. 우선은 한창 열심히 일할 때와 그때 번 수입들을 떠나보내기. 더 이상 젊지 않아서 예전처럼 일할 수 없게 되었는데도, 내 마음은 여전히 '청춘'일 때가 많다. 그래서 무리하게 되고, 안 되는 걸 '열심히' '노오력'해서 어떻게든 해내려 용을 쓰지만, 이제는 그렇게 하는 게 결과물도 만족스럽지 않은 데다가 몸도 너무 힘들다.

내가 이렇게까지 하는 이유가 뭘까 생각해 보면, 아직은 사회적으로 쓸모 있는 존재이고 싶다는 욕망과 더불어 노후를 대비해 그만큼 벌어야 한다는 불안 때문이다.(물 들어올 때 노 저어야 한다는 생각도 등을 떠밀고)

그런데 내가 대비하고 싶은 노후의 모습이란 것도, 사회가 만들어내고 내 자신이 만들어낸 모습인 거다. 그럴싸해 보이고 꿇리지 않는. 결코 만족이란 게 있을 수 없는 '지금보다 조금 더' 축적하고 싶은 욕망만 아니면 무리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이제 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하고, '조금 더' 벌고 싶은 마음을 놓는 훈련을 하고 있다.

나 자신과 잘 지내는 법을 찾았다면, 또 다른 하나는 역시 친구다. 작년에 17년 정도 연락이 끊겼다가 다시 연락이 돼서 만난 친구가 있다. 20대 때 단짝처럼 지냈는데, 그 친구가 결혼하고 아이 둘을 낳으면서 언제부터인가 멀어졌고 그 뒤로 소식이 끊겨버렸다. 페북을 하다가 우연히 다시 연결이 된 게 지난해였다.

친구가 먼저 만나자고 해서 약속은 정했지만 사실 좀 회의적이었다. 그간의 세월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서로 관심사가 많이 달라졌는데 대화가 안 되면 어떡하지? 공연히 만나서 실망만 하는 거 아닌가? 그런 걱정을 한 사발 먹고 만났는데 세상 쓸데없는 기우였다. 그녀는 지난 15년간의 시간이 무색할 만큼 똑같았고, 우리는 그때처럼 잘 통했다.

지금은 그녀가 나의 의논상대가 되어 주고, 나 역시 그녀의 엄마로서, 아내로서, 며느리로서의 애환을 들어준다. 우리의 모습이나 관심사는 분명 20대 때와는 달라졌지만, 어쩐지 더 깊어진 느낌이다. 이제 큰 아이가 대학에 들어가고, 둘째가 중3이긴 하지만, 훨씬 여유가 많아진 친구와 새롭게 만들어갈 시간들이 기대된다.

생각해 보면,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멀어지는 친구들을 보면서 서운해 했지만, 어쩌면 내 쪽에서도 밀어버린 적도 많았다. 그래서 놓쳐버린 좋은 관계가 얼마나 많을까.

싱글이든 아니든 나이 들수록 누군가의 도움 없이 '혼자' 뭐든지 잘할 수 있는 사람보다 함께할 수 있는 관계를 잘 맺는 사람이 진짜 성숙한 사람 아닐까. 서로의 짐을 들어주고 함께 걸을 수 있는 사람이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우리는 그런 성숙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그러다 보면 좀 더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나이들 수 있고, 늙음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들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능력이 많아서 독야청청이 가능한 사람은 예외다. 그러나 그런 주제가 못 되는 나는 가방 들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꺼이 다른 사람의 가방도 들어줄 것이다.


태그:#비혼일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