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22>. ⓒ 아시아홈엔터테인먼트


8월 14일 개봉되는 < 22 >는 접근방식이 다른 다큐 영화다.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 한 < 22 >는 피해자의 증언이나 당시의 참상을 도드라지게 드러내지 않는다. 증언을 이끌어내려고 시도는 하지만, 억지로는 하지 않는다. 대신, 피해자의 신변과 일상을 보여주는 데 좀더 주력한다. 그러면서 위안부의 아픔과 일본제국주의의 죄상을 은근히 노출한다.

제목으로 쓰인 '22'는 궈커 감독이 2014년 촬영에 착수할 당시 중국 위안부 생존자의 숫자다. 중국인 위안부의 숫자가 아니라 중국에 거주하는 위안부의 숫자다. 1941년에 "일본인이 중국 한커우에 큰 공장을 열었으니 거기 가면 큰돈 벌 수 있다"는 말에 속아 중국으로 끌려가 위안부가 됐다가 눌러 살게 된 박차순 님(1922년 생)도 포함된 숫자다.

2018년 8월 현재, 중국 내 위안부 숫자는 7명으로 줄어 있다. 영화는 스물두 분을 소개할 때마다 '1925~2015년' 식으로 생몰 연도를 일일이 표기한다. 생몰 연도의 앞부분만 표시된 출연자보다 양쪽 다 표시된 출연자가 더 많다는 사실을 관객들은 의식하게 된다. 위안부 생존자 숫자와 더불어, 그분들의 생생한 증언을 들을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 그런 장치를 통해 강조된다.

증언의 두가지 방식

< 22 >가 위안부 문제를 증거하는 방식은 두 가지로 해석된다. 첫째는 당사자와의 면담을 통해 증언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한계가 있다. 자신이 증언을 해주면 일제의 죄상이 그만큼 쉽게 드러나리라는 것을 모를 리 없겠지만, 출연자들은 그때 기억을 떠올리는 게 고통스럽고 수치스러워 웬만해서는 입을 열지 않는다. 이따금 어렵게 입을 떼기는 하지만, 영화 한 편을 구성할 정도의 분량은 안 된다.

그래서 이 영화가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두 번째인 것으로 판단된다. 피해자의 몸과 주변에 남아 있는 흔적을 시청자들이 알아차리도록 하는 방식이다.

증언을 꺼리는 피해자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도, 그의 뇌리 속에 얼마나 참혹한 기억이 새겨져 있는지를 강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계속해서 찾아오는 조사자의 성의에 못 이겨 몇 마디라도 힘겹게 증언해주는 피해자의 인간미 역시, 피해사실에 대한 기억이 얼마나 끔찍할 것인가를 느끼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주변 사람들한테 위안부 경력을 숨긴 채 너무도 평범하게 생활했다는 평가를 받는 피해자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가족이나 지인의 증언으로 재구성되는 피해자의 밝은 이미지는, 그가 악몽을 잊기 위해 얼마나 격렬한 내적 전쟁을 겪었을지 짐작케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본군의 성폭행에 저항하다 다리가 잘린 피해자의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에게 많은 것을 증언한다. 일본군이 쏜 총탄이 머리를 정통으로 향하지 않고 머리 윗부분을 스쳐가서 다행이라는 피해자의 증언 역시 그렇다. 그의 머리 윗부분에는 아직도 흔적이 남아 있다. < 22 >는 이런 시각적 장면을 통해서도 위안부의 고통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군이 쏜 총탄이 머리를 스쳐간 고(故) 린아이란 님. 2015년에 작고했다.

일본군이 쏜 총탄이 머리를 스쳐간 고(故) 린아이란 님. 2015년에 작고했다. ⓒ 아시아홈엔터테인먼트


한국인이지만 한국말을 잊고 지내는 박차순 할머니의 모습은 또 다른 방법으로 관객의 마음을 흔들어놓는다. 한커우에 가면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속아 위안부가 된 바로 그분이다. 마오쩌둥(모택동)을 존경해 마오 성을 쓰는 그는 중국 남성과 결혼했고 중국인 양녀를 뒀다.

1940년대만 해도 일반인들은 웬만해서는 중국 여행을 할 수 없었다. 그런 시절에 19세 여성이 객지에서 위안부로 버려진 채 중국 남성을 남편으로 두고,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중국인을 양녀로 뒀다는 사실은, 그의 인생역정이 얼마나 파란만장했을지 짐작케 하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

그런 그가 영화 도중에 노래를 읊조린다. 한국인 관객들의 가슴을 울컥케 하는 노래다. 위안부로 끌려간 이래 76년간이나 중국에서 살았다. 외국과의 교류가 적은 농촌에 살았기 때문에 한국말을 잊어버리는 게 당연했다. 그런 그의 입에서 흘러나온 노래가 '아리랑'이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 리도 못가서 발병 난다"고 그는 흥얼거렸다. 그런 뒤 노래의 의미까지 풀이해줬다. 노래 가사와 의미를 명확히 기억하고 있었던 것이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고 흥얼거렸던 10대 소녀는, 자신이 고향을 떠나 10리보다 훨씬 먼 데 가서 평생 돌아오지 못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을 것이다.

'아리랑'에 이어 또 다른 민요가 흘러나왔다. "도라지 도라지 도라지 심심산천에 백도라지"라고 그는 흥얼거렸다. '도라지 도라지 백도라지'이지만, 그는 세 번 다 그냥 '도라지'라고 했다.

박차순 할머니

 피해자 고 박차순 님.

피해자 고 박차순 님. ⓒ 아시아홈엔터테인먼트


소녀 박차순이 끌려간 한커우(漢口)는 양쯔강(양자강·장강) 연안의 도시다. 열아홉 소녀가 한커우까지 끌려가 수난을 당하다 버림받은 뒤 살아남기 위해 중국 농촌에 들어갔으니, 그가 얼마나 힘든 나날을 보냈을지 어느 정도나마 이해할 수 있다.

살려면 중국말을 해야 하므로 한국말을 사용할 수 없는 그 상황에서, 이따금 외로움을 달래려고 '아리랑'과 '도라지'를 홀로 읊조렸을 것이다. 그렇게 틈틈이 불렀으므로, 70년 넘게 한국말을 못하는 상황에서도 그 노래들만큼은 선명하게 기억할 수 있었을 것이다.

중국말밖에 모르는 한국 교포의 입에서 한국 민요가 선명하게 흘러나오는 모습 역시, 이 영화가 위안부 문제를 증언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피해자의 처절한 고난과 지독한 외로움을 그런 방식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박차순 님은 작년 1월 18일 세상을 떠났다.

이처럼 이 영화는 위안부 한분 한분이 살아 있는 증거라는 정신에 입각해, 피해자의 증언뿐 아니라 피해자 몸과 주변의 흔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일본의 만행을 고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살아 있는 증거가 하나둘씩 우리 곁을 떠나고 있다. 2014년 촬영 개시 당시만 해도 < 22 >란 제목이 가능했지만, 금년 8월에 새로 촬영하려면 < 7 >로 해야 한다. 내년에는 몇으로 해야 할지 알 수 없다.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들이 살아 있을 때 가급적 해결해야 한다. 그런데 속절없이 세월은 흘러가고, 피해자의 숫자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제목이 < 0 >이 되는 순간이 머지않아 올 것이다. 그렇게 되기 전까지, 위안부 피해자들이 조금이라도 한을 풀고 눈을 감을 수 있도록 일본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이 계속되지 않으면 안 된다.

22 위안부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