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조국의 심장을 지켜라> 책표지.
 <조국의 심장을 지켜라> 책표지.
ⓒ 경향신문

관련사진보기

<조국의 심장을 지켜라>(경향신문 펴냄)는 대한의사협회가 기획한 어린이와 청소년 만화다. 책을 통해 만나는 인물들은 일제강점기 4명의 의사다. 그 누구보다 편안한 삶을 살 수 있는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그럼에도 편안한 삶을 버리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의사이자 동시에 독립 운동가였던 이들의 삶을 들려준다.

첫 번째 주인공 대암 이태준 선생(1883~1921)은 우리나라 최초로 서양 의술 교육을 받은 7명의 의사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몽골국 어의까지 지냈는데, 몽골을 비롯한 중국 일부 지역에서 '신의' 또는 '여래불'로 불리기까지 했을 정도로 의술도 깊고, 뭇사람들의 신망도 높았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8·15경축사에서 언급한 '의열단원이며 몽골의 전염병을 근절시킨' 그분이기도 하다.

'몽골의 수도 고륜(지금의 울란바토르)에서 의사로 활동하고 있던 조선독립운동가 이태준. 그는 24세 때인 1907년에 경성세브란스 의학교(지금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1911년 6월 21일에 졸업했습니다. 그는 재학시절에 의학공부뿐 아니라 항일운동에도 참여하여, 도산 안창호의 권유로 비밀청년단체인 청년학우회의 주요 멤버로 활동했어요. 그는 의학교 졸업 후 잠시 세브란스 병원에서 일하다가 1911년 10월 중국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이에 크게 감동을 받고 망명을 결심합니다. 이태준은 틈틈이 망명 기회를 엿보다가 이듬해 초 조선을 탈출해 중국 난징(남경)으로 망명하죠. 난징에서 항일운동을 하던 이태준은 1914년 몽골의 고륜으로 떠납니다. 처삼촌인 독립운동가 김규식 선생이 이태준 선생에게 일제의 탄압을 피해 몽골초원으로 들어가 조선독립군 양성을 위한 비밀군관학교를 설립하자고 했거든요.' - 117쪽.

경술국치(1910.8.29.) 그 몇 달 후인 11월, 안중근 의사의 사촌 동생인 안명근 지사가 무관학교 설립을 위한 자금을 모으는 과정에서 붙잡히고 만다. 그로 데라우치 총독을 살해하려던 이후의 계획까지 탄로 나고 만다. '105인 사건'의 발단이 되는 '안악사건'이다.

일본은 이 사건을 날조해 국민국가 수립을 최종 목표로 독립운동과 교육 등, 국권회복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던 신민회(원)를 비롯한 애국지사들을 탄압할 계획을 세운다. 그리하여 총독 암살 배후세력으로 신민회를 지목, 김구 선생을 비롯한 이승훈, 윤치호 등 600여 명을 검거하기에 이른다.

나아가 그중 비중이 큰 인물 105명을 기소한다. 105명은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는다. 그런데 105명의 불복상고로 99명은 무죄로 풀려나고, 나머지 6명은 4~6년 형을 받고 복역한다. 이것이 '105인 사건' 또는 '총독 암살 음모 사건'이다.

그런데 이 사건을 계기로 신민회의 활동은 위축되고, 결국 해체되고 만다. 그리고 많은 독립 운동가들이 조선을 떠나 독립운동을 하게 된다. 이태준 선생이 틈틈이 망명 기회를 엿보았던 이유는 그가 이 105인 사건 관련 요주의 관찰대상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

이태준 선생은 일반인들에게는 의사였다. 그런데 병원 수익 대부분을 독립운동자금으로 쓰거나, 독립군들에게 '가장 안심할 수 있는 거점지'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한 독립운동가였다고 한다. 그리고 조국 독립을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어떤 일이든 선뜻 맡아서, 그리고 그 성사를 위해 어떤 어려움도 아랑곳하지 않고 혼신을 다했던 인물이었다고 한다.

'이태준이 상해에서 돌아오고 얼마 지나지 않아 '후르'가 왕정을 지지하는 러시아 군대에게 점령당하고 말았다. 소위 '백위파 운게른' 부대였다. 러시아 본토는 소비에트 혁명으로 뒤집어졌지만, 왕정 복고를 추구하던 잔당들은 여전히 존재했다. 그 잔당 중에서도 운게른 부대는 잔인하기로 악명이 높았다. 후르에 주둔하던 중국군은 저항 한 번 못하고 물러났으며 지옥문이 열린 듯 무참한 살육이 벌어졌다. 이태준은 가족과 병원의 안위는 둘째 치고 상해까지 운반해야 할 비밀자금이 걱정스러웠다. 게다가 폭파전문가 마자르까지 보내주겠다는 김원봉과의 약속도 지켜야 했다. 아내와 아이에게 제대로 인사도 못한 책 급하게 출발한 길이었다. (…) 이태준의 죽음에는 백위파에 합류한 일본군 장교들이 깊숙이 관여했기 때문이다. 운게른은 이태준을 자기 부상병 치료를 위해 살려둘 생각이었다. 그러나 자동차에서 발견된 금괴를 핑계로 일본군이 운게른을 막아섰던 것이다. 요시찰 인물로 감시받던 이태준을 일본군이 놓칠 리 없었다.' - 107~114쪽 부분 정리.

이태준 선생이 삶을 마친 것은 서른여덟에, 상해임시정부에 독립운동자금을 전달하러 가던 길에서 였다고 한다. 선생의 죽음 부분을 읽는데 바짝 긴장됐다. 이미 오래전에, 그것도 내가 태어나기 한참 전에 살았던 인물의 죽음 그 순간이 속상하고, 안타까웠다. 그만큼 대암 이태준 선생, 그의 삶이 숭고하고, 존경스럽기 때문이리라.

책을 읽다가 문득 궁금해졌다. '이태준 선생이 없었다면 의열단 활동은 어떻게 전개됐을까?'. 의열단장 김원봉의 가장 큰 고민은 '믿을 만한 폭파력을 가진 폭탄과 그 전문가'였는데, 그런 그에게 헝가리인 폭탄전문가 마자르를 보낸 사람이 이태준 선생이기 때문이다.

책에 의하면 김원봉 스스로 전혀 만난 적 없는 이태준 선생을 찾아가 부탁할 정도로 당시 선생의 역할은 김원봉은 물론 독립 운동가들에게 중요했다고 한다.

추측해 본다. 마자르가 자신과 전혀 상관없는 조선이라는 나라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는 의열단에 합류해 활동했던 것은 이태준이란 인물에 감회되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책은 의사들의 일대기를 만화로 소개한 후 뒷부분에서 다시 보충 설명하는 식으로 구성했다. 그래서 한 인물에 대해 어느 정도 알 수 있기에 충분하다.

이태준 선생에 이어 ▲중국에서 영화계의 황제로까지 불리었던, 배우인 동시에 독립 운동가였던 김염(본명 김덕린, 중국이름 진옌)의 아버지 의사 김필순(1879~1919) ▲백정 집안 출신으로 신분차별의 벽을 넘어 교육에 힘썼던 의사 박서양(1885~1940)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문 의학공부를 했지만 의사의 길을 가는 대신 교육과, 애국부인회 등을 결성해 독립운동자금 모금 주축이 됐던 황에스더 선생의 삶을 들려준다.

잘 모르는 이야기거나, 어려운 분야는 어린이나 청소년 대상 책으로 우선 접한 후 필요에 따라 좀 더 전문적으로 쓴 책으로 읽으면 접근이 훨씬 쉽다. 때문에 서점에 가면 아동코너와 청소년코너를 둘러보곤 한다.

<조국의 심장을 지켜라> 이 만화가 반가웠던 이유 중 하나는 관련 책에서 이미 이름은 접했었으나 아는 것이 없던, 상대적으로 그리 많이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이 주인공이라는 것. 아마도 어른들에게도 흥미로운 책읽기가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조국의 심장을 지켜라>(박운음 글과 그림) | 대한의사협회 | 경향신문사 | 2017-09-05 ㅣ정가 12,000원.



조국의 심장을 지켜라 - 청진기 들고 독립운동에 몸 바친 의사들, 이태준.김필순.박서양.황에스터

박운음 지음, 대한의사협회 기획, 경향신문사(2017)


태그:#대암 이태준, #독립운동가, #김필순, #박서양, #황에스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늘도 제게 닿아있는 '끈' 덕분에 건강하고 행복할 수 있었습니다. '책동네' 기사를 주로 쓰고 있습니다. 여러 분야의 책을 읽지만, '동·식물 및 자연, 역사' 관련 책들은 특히 더 좋아합니다. 책과 함께 할 수 있는 오늘, 행복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