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장산범.>으로 첫 공포 영화 주연에 도전한 배우 박혁권.

영화 <장산범.>으로 첫 공포 영화 주연에 도전한 배우 박혁권. 정작 스스로는 공포 장르를 잘 즐기지 않는다고. ⓒ NEW


공식적으론 3년 만의 언론 인터뷰다. 드라마 <밀회> 이후 영화와 드라마 합쳐 스무 편 가까이 출연하며 활발하게 활동한 그는 유독 공개 인터뷰에 소극적이다. 그간 출연한 작품들 속 비중이 작아서라고 하기엔 '혁권 더 그레이트', '길태미' 등 그를 수식하는 별명이 가득하다. 이처럼 '별명유발자'인 그에게 "왜 그간 등장하지 않았나" 반 농담으로 묻자 돌아온 답이 "특정 매체만 하면 욕먹는다고 회사에서 그러더라. (매니저를 보며) 왜 안 잡았어?!"다.

재치 있는 응수만큼 그의 연기는 재기발랄하다.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같은 1세대 웹 드라마에선 코믹함을, <육룡이 나르샤> 류의 퓨전 사극에선 주어진 캐릭터 그 이상을 살려내며 흥행의 주역이 됐다. 그래서 의외였다. 17일 개봉하는 영화 <장산범>은 스릴러이자 공포 장르의 성격이 강하다. 스스로도 "돈 주고 공포영화를 보지 않는다"며 손사래 치던 그가 이 영화에선 낯선 아이에게 홀린 아내와 딸을 지키려는 가장으로 분했다.

공포영화의 공정

 영화 <장산범> 스틸 사진.

영화 <장산범> 스틸 사진. ⓒ NEW


그가 맡은 민호는 이야기만 놓고 보면 주는 아니다. 첫 아이를 잃은 후 불안증에 시달리는 아내(염정아)와 치매를 않고 있는 어머니(허옥숙)가 기괴한 분위기를 주도하고, 이들에게 낯선 소녀(신린아)가 다가오며 본격적인 사건이 시작된다. 민호는 그 사이에서 감정을 연결하거나 또 다른 피해자가 되는 등 다소 기능적 역할을 해야 했다.

- 주연이라지만 캐릭터가 단편적으로 느껴지진 않았나. 이야기 흐름상 무기력하게 보일 수밖에 없는데 어떻게 해석했는지. 
"근데 민호가 해야 할 임무가 그거였다. 염정아씨랑 공포감을 만드는 소녀가 주연이지 전 지원 사격하는 역할이었다. 일단 대본에 충실하려 했다. 사건을 이끌어 가는 역할이면 제가 준비하면서 덧붙일 여지가 있겠지만 여기선 감독님이 원하는 게 분명할 거라 생각했다. 그걸 잘 이어줬나? 음, 그건 잘 모르겠다.

일반적인 건 임무를 해내기만 하면 되는데 공포 장르는 관객이 어떻게 볼 건지까지 생각해야 하더라. 공포 영화엔 잘 출연 안 했고, 보지도 않았다. 피 낭자하고 무서운 걸 돈 내고 왜 보지? 이런 생각이었다. 관객을 긴장하게 만들고 그런 게 이 장르의 기술인 것 같다. 특히 <장산범>은 소리와 영상 효과가 중요했다. 편집도 중요했고, 최종결과물이 어찌 나올지 궁금했다. 그래서 출연했다."

- 정작 미혼인데 그간 아빠 역을 많이 맡았다. 이번 영화에서도 아역 신린아와 호흡을 맞췄다. 공포 영화 현장이라 아이와 더욱 유대감이 필요했을 것 같다.
"아이라고 아이처럼 대하지 않고 싶다. 그냥 사람으로 대했다. 그래서 오히려 빨리 친해질 수 있었다. 난 동등한 인간관계를 원한다. 어려서 서먹한 건 없었다. 내 조카에게도 그렇게 대한다. 막 어리광을 피우면 내가 힘들 땐 '싫어! 네가 해!' 이런 말도 막 한다(웃음). 본래 가족들이 더 안 친근하게 서로를 대하지 않나?"

- 그래서 그간 가족 연기가 그렇게 현실감 있게 다가왔던 것 같다.
"드라마 볼 때마다 친근한 가족에 이질감을 느끼거든. 가족은 친절하지 않다는 생각으로 해서 제가 더 리얼하게 보이나 보다. 내 가족과 연락도 잘 안 하는데. 아 이런 말은 할 필요 없나?(웃음)"

박한 자기 평가

 영화 <장산범.>으로 첫 공포 영화 주연에 도전한 배우 박혁권.

ⓒ NEW


1993년 극단 산울림으로 연기를 시작한 그는 햇수로 치면 25년 차 중견 배우다. 나름 자신만의 특기와 노하우가 있을 법한데 늘 자신의 연기에 대해선 "생각보다 못했다", "많이 아쉽다"며 박한 평가를 하기 일쑤였다. 대중의 호평에 스스로 당근을 줄 수도 있을 텐데 그는 대부분 채찍을 본인에게 들었다.

- 너무 자신에게 냉정한 것 아닌가. <하얀거탑>도 그렇고 박혁권 인생작으로 꼽을 만한 작품이 많은데. 스스로도 좀 점수를 줄 작품이 있지 않을까.
"음, 있긴 있는데 많진 않다. 작품 전체라기 보단 어떤 장면에서 이 대사 한 마디는 잘했다 싶은 거지. 로버트 드 니로 연기를 내가 봤는데 어찌 후한 평가를 내게 줄까. 호날두가 볼 차는 걸 봤는데 내 스스로 실력이 좋다고 할 수 있을까. 진짜 맛있는 짬뽕을 맛봤는데 어떻게 다른 일반 짬뽕에 만족하겠나." (이 대화 중 박혁권이 자주 가는 중국집 이야기로 잠시 샜다-기자 주)

- 너무 기준이 높다. 평소엔 괜찮을지 몰라도 자기를 갉아먹을 수도 있을 텐데. 그 힘듦을 어떻게 견디나.
"실력은 안 돼도 꿈을 꿀 수 있잖나. 어떻게 행복감을 느끼냐고? 아, 그건 또 내가 알아서 하는 게 있다(웃음). 예전엔 눈높이만 올라가니 죽고 싶을 정도로 힘들긴 했다. 특히 드라마 할 땐 준비시간도 부족해서 더 힘들었다. <하얀거탑>이 처음 출연한 드라마인데 촬영이 없는 날이면 자주 가는 술집에 가서 술 먹고 많이 울었다. 이게 반복되니까 눈높이는 그대로 두되 나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게 되더라. 나도 살아야 하니까! (웃음)"

- 대중들이 배우 박혁권을 가장 많이 기억하는 모습이 그때일 거다. 시청자 중 하나로 그땐 배우가 아니라 실제 의사를 섭외한 줄 알았다.
"얼굴이 알려지며 내 스스로 속상한 부분이 그 점이다. 이젠 그런 평을 못 받지 않나. '진짜 의사 아냐?', '진짜 깡패 아냐?' 이런 평이 제일 좋은데 아무리 잘해도 그건 힘들겠지. <하얀거탑> 찍을 땐 그냥 대학병원 의자에 앉아서 의사와 환자들을 쭉 봤다. 의사들 머리가 다 떡이 져 있더라. 머리 하시는 분께 내 머린 하지 말아달라고 하고 촬영에 들어갔다. 주연 배우들 보다 보조 출연자 분들이 더 의사 같았거든.

한번 연기하는 거 진짜 같이 보이고픈 욕심이 있다. 연기하는 이유가 진짜처럼 하기 위해서다. 안 그러면 내겐 연기가 의미 없다. 그게 아니면 음악이든 행위예술을 했겠지. 다른 예술과 연기의 차이는 진짜처럼 보이려 하는지 아닌지 같다. 그걸 위해 세트도 만들고, 사람도 쓰는데 정작 연기하는 본인이 가짜면 안 되지 않나? 대구탕을 끓였는데 야채랑 다른 재료는 진짠데 대구가 가짜야. 이건 쓰레기도 아니고 뭘까."

철저한 노력파

 영화 <장산범.>으로 첫 공포 영화 주연에 도전한 배우 박혁권.

25년차 배우 박혁권의 매력은 꾸준함과 노력 아닐까. ⓒ NEW


"특별히 배우를 꿈꿨다기 보단 고등학생 때 연극반을 했고, 이후 우연히 극단 시험에 응시하면서" 시작했다지만 점차 인생의 전부로 자리잡아갔다. 공부는 곧잘 했지만 뒤늦게 들어간 대학과 연극 무대에서 그는 당찬 신인이기 보단 목소리가 벌벌 떨리는 소심한 배우였다. 그 당시부터 써온 그만의 공연일지는 그의 소중한 자산이다. 연극 <지하철 1호선> <밥퍼랩퍼>, 뮤지컬 <불 카르멘>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등으로 저변을 넓혔던 그는 뮤지컬계에서 인정받기 시작하던 직후 돌연 영화로 발을 옮긴다.

- 무대 연기에서 승승장구 할 수 있었을 텐데, 영화를 택했다. 배우를 직업으로 생각하면서부터였나.
"1993년 연극 무대로 첫 발을 내디딘 건 맞지만 학교에 늦게 입학했고, 군대도 늦게 갔다. 직업이라고 생각한 시점이 데뷔라고 할 텐데, 그 기준은 연기로 돈을 받기 시작한 때 아닐까. 그러면 1998년 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다. 예수를 드는 역할로 난생 처음 돈을 받았다.

뮤지컬은 근데 애초에 포기했다. 술 한잔 먹고 노래방 갈 정도는 되는데 이걸로 돈을 받는 거는 스스로 사기라고 생각했다. 뮤지컬을 빨리 포기하고 정극을 해야겠다고 결심했다가 좀 더 다양하게 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영화 오디션을 보러 다녔다."

- 그러다 <시실리 2km>로 영화계에 데뷔한다. 당시 서른셋이었는데 스스로 조급하진 않았나. 그 이후 꾸준했다는 게 신기하다.
"조급했지. 서른 중반이라 올해까지만 해보고 앞이 보이지 않으면 그만 두자는 생각을 매년 했다. 그러다가 나이를 더 먹으니 다른 일을 아예 못하겠더라. 경력 안 따진다는 일을 구한다 해도 사장이라면 자기보다 나이 많은 사람을 뽑겠나? '큰일 났다! 연기로 승부하자'고 결심했지."

- 다시 그 고등학생 때로 돌아간다 해도 연기를 택할 건가?
"하긴 할 건데 주변 조건이 좀 부드러운 상태에서 하면 좋겠다. 이를 테면 우리 집에 돈이 좀 많다거나? 농담이다! (웃음)"

충무로의 미친 존재감 

- 예전부터 담배 한 보루에 독립영화에 출연하기도 하고, 어지간하면 맞춰서 작품에 힘을 실어주는 편이었다. 본인만의 선택 기준이 뭔가.
"일단 중요한 건 대본을 보고 내가 표현할 수 있을 지다. 대본도 안 보고 출연한 경우도 있다. 신뢰하는 감독님일 때 그렇다.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 만나서 얘기해보니 지향점이 달라 출연 안 한 것도 있지. 윤성호 감독(<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등)이나 안판석 감독님(<하얀거탑> <밀회>), 신정원 감독님(<시실리 2km>)은 대본을 보지 않고 출연해왔다."

- 그런 선택 기준으로 좀 당황했던 적도 있지 않나.
"있지. <육룡이 나르샤> 때 길태미는 이게 진짜…. 의상과 분장 콘셉트를 잡는 분들도 고민이 많더라. 그 상황에 덜컥 겁이 났다. 제작진도 명확한 그림이 없구나. 감독님 나름 구체적 생각이 있겠지만 그게 실체화 되지 않았던 때다. 그래서 자신감 없이 임해서 나중에 재촬영 한 부분이 꽤 많다. 다행히 인기가 있었다는데 워낙 독특한 캐릭터니까. 죽기 전까지 그런 캐릭터는 못할 것 같다."

- 그런 위기의 순간을 모면하는 노하우가 있다면?
"하아! 어쩔 수 없이 물 타기 해야지. 나도 살아야 하니까. 내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최대한 안전한 지점을 택한다. 이래서 점점 작품을 택하는 게 조심스러워진다. 열심히 했는데 너무 못했다면 욕먹으면 되는데 제작과정에서 서로 다른 지점을 보고 있다면 고역이지. 저 스스로 창피한 일이 많다."

- 대중들은 꾸준히 호평하고 있다. 충무로의 미친 존재감이라고도 하잖나. 
"감사하다. 근데 그런 평에 영향 안 받으려 노력하는 편이다. 나쁜 말도 좋은 말에도 말이다. 내 생각보다 더 칭찬하는 누군가를 만나면 '그러지마~ 나도 다 내 기준이 있어~' 이러고 만다."

- 벌써 40대 중반을 지나고 있다. 누군가의 아빠나 남편 역 말고 새로운 역할을 더 원하진 않나.
"음. 엄마 역을 하는 것보단 낫지! (웃음) 제 나이 대 충분히 할 수 있는 거니까 괜찮다. 아빠 역할이라기 보단 가정이 있는 캐릭터는 당분간은 피하고 싶은 생각이다. 30대에도 그런 농담하잖나. '20대와 달라~' 근데 40대는 몸으로 확 느낀다. 1년, 2년 사이 느낄 정도로 꺾이고 있다. 더 꺾이기 전에 진짜 센 액션을 해보고 싶기도 하고…."

- 철저한 노력파로 알려져 있다. 무대 공연 당시 쓰던 일지를 여전히 쓰고 있는지.
"그 작업을 몰아서 해야 할 거 같다. 2007년? 2008년까지 쓰긴 했다. 요즘에 좀 쉬어야 할 때인 거 같아서 고민 중이다. 그러다 내 인생작이 오면 어떡하지? 생각이 좀 복잡한데 빠른 시일 내에 결정할 것 같다. 안식년을 써야 할 때다. 근데 또 통장잔고가 바닥나면….(웃음)"

그리고 남은 이야기... <택시운전사>의 특별한 경험
인터뷰에 다 싣지 못했지만 그에게 현재 상영 중인 <택시운전사>에 대해 물었다. 극중 박혁권은 진실 보도를 위해 노력하지만 끝내 상부에 의해 보도 통제를 당하는 지방지 기자로 분했다. "사투리와 외국어를 둘 다 하는 게 어렵더라. 다음엔 피해야겠다"며 재치 있게 운을 뗀 그는 영화에 얽힌 일화를 하나 소개했다.

"당시 사건에 대해 검색 좀 하고 들어가긴 했다. 감독님이 준 자료에 <전남매일신문>인가. 그 소속 기자 분들이 '진실을 알리지도 못하고 할 수 있는 게 없어 붓을 놓겠다'는 성명을 발표한 게 있더라. 제가 연기한 그 기자 캐릭터도 그 성명에 참여한 인물이라 상상하고 임했다. 군 생활을 완도에서 해서 광주를 많이 지나다녔다. 개인적으로 자주 가서 선후배들도 만나고 5‧18 묘역을 참배하기도 했다. 광주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음, 내 연기엔 만족스럽지 않다. 그 실존인물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한 걸까? 차라리 사투리를 빨리 포기할 걸 그랬다. 발음엔 자신 있었는데 내 억양이 꽝이더라." 


박혁권 장산범 택시운전사 염정아 공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