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 <그 후>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를 만든 사람이 보여준 행보가 영화적 서사를 넘어섰을 때, 그가 만든 작품에 대한 평가는 어렵다. 특히나, 그 영화가 현실에서 그가 봉착한 질문과 연관된다면 더욱 더. 감독 홍상수의 행보로 인해 영화 <그 후>의 이야기는 평범한 가정의 이야기를 넘어선다.

사랑은 질병과도 같다. 누군가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질병이 예고도 없이 우리 몸을 침공하듯 사랑도 그러하다. 거기엔 '제도'도, '처지'도, '존재'도 무기력하다. 결국 남겨지는 것은 그 '사랑'에 임하는 자의 자세이고 선택이다. 자유로운 싱글들이야 '사랑무한주의'겠지만, 만약에 그 '사랑의 질병'에 걸린 존재가 이미 그 누군가의 파트너로 공인된 사람이라면?

ⓒ 콘텐츠판다


질병과도 같은 사랑에 빠진 남자, <그 후>

일찍이 홍상수 감독의 작품을 보아왔던 사람이라면, 그의 영화 속 유부남들의 '바람기'가 새삼스럽지 않을 것이다. 늘 홍상수 감독 영화 속 남자들은 여자라면 환장을 했고, 그녀와 하룻밤을 보내는 것이 지상 최대의 과제인 듯 갖은 해프닝을 벌이며 구질구질하게 굴었다. 그리고 그걸 홍상수 감독은 '인간'이라 정의하곤 했다.

하지만, 그저 만든 이의 입장에서 바람기 다분한 남자 인간을 정의하는 것과 이제 그 자신이 스스로 그것을 '실천(?)'해보인 상황에서는 그의 주장도 궤를 달리한다. 2016년 김민희를 전면에 내세운 영화 <밤의 해변에서 혼자>가 유부남과 사귄 여성의 이야기를 그려냈다면, 2017년 <그 후>는 그 반대편, 그 '유부남'의 이야기를 다룬다.

영화는 평론가이자 작은 출판사 사장인 봉완(권해효 분)의 뜻하지 않은 사랑, 혹은 바람으로 벌어진 그의 처지로부터 시작된다. 잠도 못 이루고, 입맛도 없으며, 달려도 시원하지 않는 그 '질병'을 그는 그만 아내(조윤희 분)에게 들키고 만다. 그리고 그를 사랑했던 출판사 직원 창숙(김새벽 분)은 그의 '비겁한' 행보에 그를 떠난다. 그런 가운데 새롭게 출판사의 직원으로 등장한 아름(김민희 분). 그녀와의 첫 식사 자리는 뜻하지 않은 '실존적 논쟁'으로 이어진다.

왜 사느냐고 묻는 당돌한 아름. 그런 그녀에게 봉완은 그 질문 자체를 부정한다. 삶이란 실체를 몇 마디의 말로 정의내릴 수 있냐고. 그런 그에게 아름은 그런 정의의 회피가 또 하나의 비겁함 아니겠냐고 반박한다. 장황한 두 사람의 논쟁. 이 장면은 하지만 상징적이다. 삶의 실체에 대한 정의는 곧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결혼이라든지 가정이라든지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을 상징하는 듯 보인다. 우리는 왜 결혼을 하는가. 그리고 왜 가정을 이루고 살아가는가. 결혼을 할 당시에는 분명한 것 같던 결정과 선택이 살아가는 해를 거듭할수록 불명확해지고 모호해진다. 아니, 봉완이 답을 애써 피하듯, 오히려 답을 말하고 나면 낯부끄러워지는 상황이 되는 지경에 이른다. 몇 마디의 정의로 퉁 치기엔 이 사회에서 남자와 여자가 한 가정을 이루고 사는 이유가 너무도 다양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영화 <그 후> 포스터

영화 <그 후> 포스터 ⓒ 콘텐츠판다


그렇게 답을 피해간 봉완. 그는 그가 맞닥뜨린 상황에서도 그렇다. 당신 바람 피워?라는 아내의 질문에 대해서도, 비겁하다며 그의 곁을 떠나간 창숙에 대해서도, 그는 늘 그 상황의 바깥에 서있다. 심지어 돌아온 창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그녀를 다시 안고, 그녀의 뜻대로 아름을 내쫓고, 그녀의 뜻대로 아름을 이용하는 그 상황에 그는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다). 봉완의 태도는 대체로 수동적이고 자기 보호적이며 자기중심적이다. 늘 홍상수 영화 속 남자들이 대부분 그래왔듯이 편의적이다.

뜻밖에도 그런 봉완이 적극적이었던 지점은 오랜 시간이 흘러 다시 찾아온 아름과의 대화 속에서 드러난다. 떠나갔던 창숙이 돌아온 뒤 벌어졌던 일들을 말하는 봉완. 아름은 그런 봉완에게 한결 편해 보인다고 말한다. 그러자 봉완은 마치 보상처럼 상도 받았다고 헛헛하게 말한다. 편해진 남자, 그가 겪은 '사랑'의 질병을 영화는 그렇게 표현한다.

영화 그 이상의 질문, 홍상수

하지만 영화를 보는 이들은 그런 봉완과 달리 생각을 멈출 수 없다. 오히려 영화의 질문은 거기서 시작된다. 감독 홍상수가 내린 결정과 영화 속 주인공 봉완이 내린 결정 사이에서. 영화 속 봉완과 홍상수의 다름에서. 영화 속 봉완처럼 홍상수 감독도 상을 받았지만(물론 여주인공이었던 김민희가 받은 상이지만), 그는 대한민국에서 '욕'을 먹는다. 다른 선택이 낳은 다른 결과다.

ⓒ 콘텐츠판다


영화 속 결말은 어쩌면 홍상수 감독이 그런 편한 종결점으로 가는 여정 속에 있다는 말일 수도 있다. 어쩌면 인생 마지막의 사랑을 위한 장렬한 최후의 헌신이라는 자기변명이 숨어있을 수도 있겠다. 영화 속 봉완의 선택은 젊은 날 홍상수 감독의 모습일 수도 있다. 자신들을 부도덕하다 손가락질하는 세상을 위한 서비스 컷처럼 출판사에 찾아온 아름(으로 분한 김민희)에게 아내가 퍼붓는 통렬한 따귀 세례는 홍상수 감독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린 자기 자신에게 준 '따귀'세례일 수도 있겠다. 그 반대로 제도로서의 결혼, 자신보다는 가정을 위한 희생 대신, 여전히 자신을 놓을 수 없는 감독의 숨겨진 변호일 수도 있겠다. 어쨌든 관객들은 이율배반적인 영화적 서사를 통해 다양한 생각의 갈래를 펼쳐나간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이 영화 <그 후>가 서있는 곳이다.

구구절절 변명 대신, 가능할 수 있는 수많은 질문을 품고 돌아온 홍상수는 그래서, 여전히 그가 해왔던 수많은 작품들처럼 유의미하다. 세상의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실존적으로 터놓고 이야기하고자 하는 희귀한 감독으로서 말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16년부터 오마이뉴스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말하는 몸'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함께 썼어요. 제보는 이메일 (alreadyblues@gmail.com)로 주시면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