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당산역 방면에서 바라본 절두산 성지. 뒤로는 멀리 북한산이 보인다.
▲ 절두산 성지 당산역 방면에서 바라본 절두산 성지. 뒤로는 멀리 북한산이 보인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오는 14일부터 266대 교황인 프란치스코 교황이 4박 5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호세 마리오 베르고글리오(Jorge Mario Bergoglio)라는 이름을 가진 아르헨티나 출신 교황의 방문은 그 자체만으로도 천주교 신자들에게 큰 축복일 것이다.

비천주교 신자들도 그의 방문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듯하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미국 <타임>이 선정한 '올해의 인물'로 선정될 정도로 그간 활발한 대외활동을 해왔기 때문이다. 노숙인을 초청하고, 분배의 정의를 역설하는 등 전임 교황들과는 사뭇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나는 천주교 신자가 아니지만 역사 트레킹을 통해 천주교 성지 답사를 꾸준히 해왔다. 천주교 성지 탐방은 사찰 탐방과는 또 다른 맛(?)이 있다. 지금까지 천주교 성지 답사를 하면서 깨달은 점이 하나 있었다. 생각보다 천주교 신자들이 천주교 성지를 잘 모른다는 점이었다.

이 기사는 서울 인근에 있는 천주교 성지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담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에 맞춰, 우리 땅에서 천주교가 어떤 식으로 뿌리를 내렸고 또한 어떤 수난을 겪어 왔는지 공부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머리가 떨어져 나가는' 산, 절두산

절두산 성지 한 쪽 편에 서 있다.
▲ 척화비 절두산 성지 한 쪽 편에 서 있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서울지하철 2호선을 타고 당산철교를 지나다 보면 절두산과 선유도를 볼 수 있다. 절두산은 옛날에는 '잠두봉'이라 불렸는데 선유봉(선유도)과 함께 빼어난 경치를 자랑했던 곳이다. 양천 현감이었던 겸재 정선은 <양화환도>를 통해 화폭에 이 풍광을 담아냈다.

뽕나무가 많다고 해 이름이 붙여진 잠두봉은 그 머리가 불쑥 튀어나와 '용두봉'이라고도 불렸다. 중국 사신들이 조선에 왔을 때 꼭 들렀다는 잠두봉이, 겸재 정선이 화폭으로 담아낼 정도로 비경을 자랑하던 잠두봉이 왜 절두산으로 바뀌어 불렸을까. 그것도 머리가 잘린다는 의미인 절두산(切頭山)으로.

1866년. 흥선대원군의 주도로 이뤄진 병인박해 때문에 수많은 천주교도들이 죽임을 당한다. 이때 주교인 베르뇌를 포함한 아홉 명의 프랑스인들이 처형을 당했는데 그들은 새남터(현재의 용산구 이촌동)와 충남 보령 갈매못 등지에서 형장의 이슬이 됐다.

병인박해가 원인이 돼 병인양요가 발생한다. 자국의 선교사가 처형됐다는 소식에 중국에 주둔하고 있던 로즈 프랑스 제독은 함대를 이끌고 조선을 침략했다(그런데, 당시 로즈 제독의 침공은 자국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그런 의미로 병인양요는 국가 대 국가간의 분쟁이라고 볼 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프랑스 함대는 본격적인 공세에 앞서 정찰선을 파견하는데 그 정찰선이 한강 깊숙한 곳까지 올라왔다. 양화진을 넘어 서강까지 침범을 하고 돌아갔다. 이 소식을 들은 대원군은 격분했다. 그러면서 '사악한 서양 세력의 흔적들을 천주교도들의 피로 씻어내겠다'라면서 잠두봉에 새로운 처형지를 만들었다. 그리하여 뽕나무들이 우거졌던 잠두봉은 '머리가 떨어져 나간다'는 뜻을 가진 절두산으로 바뀌어 불리게 됐다. 병인박해는 1866년을 시점으로 1871년까지 계속 이어졌다.

약 150년 전, 절두산은 수천 명의 천주교인들의 목이 잘려나간 비극의 땅이었다. 또한 흥선대원군이 세운 척화비가 우뚝 서 있던 곳이었다. 하지만 시간은 강물처럼 흘러갔다. 현재 흥선대원군이 세운 척화비는 절두산 한쪽에 서 있지만 절두산은 그 자체가 천주교에서 가장 중시하는 성지 중에 성지가 됐다.

세 프랑스 신부가 운명 달리한 곳, 삼성산 성지

왼쪽부터 앵베르도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 삼성산 성지 왼쪽부터 앵베르도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삼성산은 관악산의 지산이다. 삼성산은 원효·의상·윤필 세 분의 성인이 움막을 짓고 수도에 정진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삼성산에 있는 삼막사(三幕寺)의 유래도 거기에서 나왔다. 그런 삼성산에도 삼성산 성지라는 천주교 성지가 있다. 삼성산 성지는 기해박해(1839년) 때 효수된 세 명의 프랑스 신부들의 무덤이 있던 자리를 성역화한 것이다.

세도 가문이었지만 안동 김씨는 천주교에 대해 관대한 정책을 폈다. 하지만 뒤이어 집권한 풍양 조씨는 천주교 탄압에 앞섰다. 그렇게 해서 발발한 것이 헌종 5년에 있었던 기해박해였다. 이로 인해 권력의 중심은 풍양 조씨로 넘어갔다. 그런 면에서 기해박해는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간의 권력투쟁의 부산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기해박해로 인해 앵베르도 주교(한국명 범세형)와 모방·샤스탕 신부 등이 새남터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들의 주검은 노고산(마포구 노고산동)을 거쳐 삼성산에 묻혔다. 이후 천주교에서는 이곳을 성역화했고, 지금의 삼성산 성지가 조성됐다.

이 성지는 산 중에 있어서 그런지 조용히 사색하기 좋은 곳이기도 하다. 삼성산 성지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 삼성산 숲이라는 소나무 군락지도 있는데 이곳도 사색하거나 시집을 꺼내 읽기 좋은 곳이다.

다산 정약용 생가와 함께 둘러보는 마재성지

마재성지 한옥성당
▲ 마재성지 마재성지 한옥성당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다산 정약용 선생 동상. 다산 생가.
▲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 선생 동상. 다산 생가.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이제는 서울을 조금 벗어나 중앙선 전철을 타고 이동해 보자. 목적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에 위치한 마재성지.

마재성지는 다산 선생의 셋째 형인 정약종의 생가다. 앞서 언급한 절두산을 비롯해 새남터, 해미읍성, 황새울(충남 공주) 등 일반적인 천주교 성지는 거의가 순교, 즉 신자들의 죽음과 관련된 곳이 대다수다. 하지만 마재성지는 한 집안의 살림집이 성지가 된 독특한 사례다.

일단 정약종에 대해서 알아보자. 정약종은 정약용의 바로 윗형이었다. 도교에 심취해 있던 정약종은 다른 형제들보다 늦게 천주교에 입문했다. 하지만 그는 진산사건으로 인해 다른 형제들이 천주교를 멀리할 때도 강건하게 신앙을 지켜냈다.

1791년(신해년)에 발생한 진산사건은 윤지충이란 사람이 제례를 거부하고 위폐를 불사른 사건을 말한다. 이 사건의 파장으로 다산 선생도 벽파세력에 의해 공격을 받게 된다. 신유박해(1801년) 이후 또다시 피바람을 몰고 왔던, 황사영의 백서(帛書)에도 '정약종만 홀로 조금도 동요되지 않았다'라는 기록이 나올 정도였다.

이 곳 뒤편에 한복 입은 예수상이 있다. 이 사진에서는 가운데 부분에 작게 나타나 있다.
▲ 마재성지 이 곳 뒤편에 한복 입은 예수상이 있다. 이 사진에서는 가운데 부분에 작게 나타나 있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안타깝게도 형제들조차 정약종의 강건한 신앙을 환영하지 않았다. 당시 조선의 천주교는 외국인 선교사에 의해 포교된 것이 아니라 남인 계열의 선비들이 서학을 토대로 자생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그래서 기존의 유교적 가치관을 전복 시키는 혁명적 도구로 천주신앙을 이용한 것이 아니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조상의 위폐를 불태운 진산사건에 반발해 천주교를 떠난 이들이 많았다.

그렇게 배교를 한 이들은 조상의 제사도 지내지 않는 천주교 교리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 그래서 정약종이 계속 굳건하게 신앙을 지키면 지킬수록 집안 형제들과의 사이는 멀어져갔다. 그래서 나중에는 정약종만 홀로 강 건너 분원리(현 광주시 남종면)에 살게 될 정도였다.

마재성지에 있는 한옥 성당은 가톨릭과 한옥이 어떻게 어울릴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한옥 성당 옆으로 산책을 할 수 있는 작은 공원이 있는데, 그 공원에는 한복을 입은 예수상이 서 있다. 한복을 입은 예수상은 다른 곳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동상이다.

마재성지에서 다산 정약용 생가까지는 걸어서 10분 정도 걸린다. 마재성지 그리고 정약용 생가까지 연결해서 탐방할 수 있다. 마재성지와 정약용 생가 일대는 수도권 일대에서도 손꼽히는 역사트레킹 코스다.

낮은 데로 임하소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한국 방문이 기대되는 것은 '그가 지금까지 보여왔던 낮은 데로 임하소서라는 가르침을 한국에서 어떻게 실천할까'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에서의 '낮은 곳'은 어디일까. 당장 십자가를 둘러메고 순례를 떠났던 세월호 유가족들이 떠오른다. 또 단식을 하고 있는 세월호 유가족들도 떠오른다.

어찌 그들뿐이겠는가! 다른 낮은 곳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는 이들도 '파파'의 손길을 기다릴 것이다. 당장 '젖과 꿀'이 흐르게 해주지는 않을지라도 그가 내미는 손길을 따뜻하게 받고자 하는 사람이 아주 많을 것이다.       

수도권 천주교 성지, 어떻게 가나요?
1. 절두산 성지 : 지하철 2호선, 6호선 합정역에서 하차. 합정역에서 절두산까지는 도보로 약 10분 정도 소요됨. 절두산 성지 탐방 후 양화대교를 건너 선유도 탐방을 해보는 것도 좋음.

2. 삼성산 성지 : 삼성산 성지는 관악산둘레길 2코스를 통해 탐방하는 방법이 좋음. 관악산둘레길은 서울대입구에서 시작됨. 산길을 약 1시간 30분 정도 이동을 하면 삼성산 성지에 도착할 수 있음. 서울대입구까지는 지하철 2호선 신림역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함.

3. 마재성지 : 마재성지는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중앙선 전철을 이용함. 중앙선 팔당역에서 하차하여 능내 1리행 버스에 탑승. 능내 1리가 능내역임.

덧붙이는 글 | 안녕하세요? 역사트레킹 마스터 곽작가입니다. http://blog.daum.net/artpunk



태그:#교황, #프란치스코, #절두산성지, #삼성산성지, #마재성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