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목동 CBS에서 대담을 가진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의 진행자인 희극인 김미화(위)와 오마이스타 김대오 국장.

16일 서울 목동 CBS에서 대담을 가진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의 진행자인 희극인 김미화(위)와 오마이스타 김대오 국장. ⓒ 이정민


[연예인 김미화씨와 연예기자 김대오의 이 특집대담은 한겨레 신문사의 월간지 <나들>과 오마이뉴스의 연예매체 <오마이스타>가 공동기획한 기사임을 밝힙니다]

'현시창'(현실이 시궁창)이라도 가만히 있을 수만은 없다. 보다 더 나은 내일을, 미래를 바라봐야 하는 것이 '그 세계' 속 사람들의 숙명이 아닐까. '꿀렁꿀렁'하다는 연예계 속 삶을 짧게는 20여년, 길게는 30여년 살아온 코미디언 김미화와 오마이뉴스의 연예매체 오마이스타의 김대오 팀장도 그랬다. 이들이 나눈 이야기의 마지막은 '조금씩이라도 바뀌어가야 한다'는 결론으로 수렴됐다.

"'어떠한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았다'는 것으로 평가받길 원한다"

일단 이들은 '연예인=공인'이라는 개념이 바뀌었으면 한다는 소망을 전했다. 김대오 팀장은 "사회적으로 얼마나 받아들여질지는 모르겠지만 연예인이 '공인'이라는 타이틀을 내려놨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공인이라는 게 연예인이 쓴 가시면류관이라 생각해요. 명예이기도 하지만요."

또 하나, 이들의 바람은 '연예인의 사회 참여가 칭찬받는 기사'를 보게 되는 것. 김미화는 "외국서 가장 부러운 건 대중예술인들이 어려운 이웃을 돕거나 사회에 참여하지 않으면 비난받는 문화"라며 "기자들의 생각이 그렇게 바뀌면, 문화도 바뀔 수 있을 것 같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미화(이하 화): 사실 '소셜테이너'라는 말이 나쁘다고는 생각 안 해요. 사회참여적인 연예인이니까요. 근데 그걸 바라보는 문화를 바꿔주는 책임도, 일부분은 연예 언론에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해요. 나는 칭찬받고 싶거든요. 나는 30년간 그런 사회참여를 하면서 살아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갈 건데…. 아니, 10년 동안을 해도 칭찬을 받아야 되는데. 30년 동안 했으면 칭찬도 받고 코미디언으로서 아낌을 받으며 살아야 하는 거 아니에요?

  16일 서울 목동 CBS에서 오마이스타 김대오 국장과 대담을 가진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의 진행자인 희극인 김미화.

16일 서울 목동 CBS에서 오마이스타 김대오 국장과 대담을 가진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의 진행자인 희극인 김미화. ⓒ 이정민


김대오(이하 오): 맞아요. 예전에 한 번 어떤 여자 연예인이 법률위반으로 사회봉사명령을 받은 적이 있어요. 아주 작은 장애아동 보호시설이었는데 거기에서 함께 설거지하고 빨래하고 해 봤거든요. 그러면서 이게 괜찮다 싶어서…. 이게 무슨 우리 자랑인 것 같은데…(웃음). 저희(오마이스타)는 부정기적이지만 봉사를 하고 있어요. 연예인의 선행 취재를 할 때 두 명이 가서 교대로 취재하고 봉사하고, 명절 때도 뜻 맞는 분들과 선물 나눠드리러 가고요. 또 선행에 관해서는 <오마이스타>는 최대한 많이 알리려고 하고 있어요. 선행 기사가 최고의 가치를 갖고 있는 거죠.

화: 한 번 행동으로 옮기는 게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그런데 요즘엔 '내가 잘못 살아온 건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내가 소신을 가지고 오랫동안 그런 일을 해온 건데, 한꺼번에 싸잡아서 정치적인 걸로 재단되고…. 내가 살아왔던 인생이 다 허물어지고 없어지는 것 같아요. 내가 좋아했던 코미디도 못하고, 남을 도우면서 살겠다는 것도 다 폄하되어 버리고. '야, 이게 웃긴다' 싶어서, 그런 문화가 좀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김미화' 하면 한국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잖아요. 이런 인지도를 가지려면 정치인들이 얼마나 애를 써야겠어요. 그러면 정치권에서 손은 안 뻗었겠습니까. 발도 뻗지. 다 해요. 여야 상관없이 자신들에게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단 말이에요. 그런데 그걸 다 뿌리치고 그냥 이 자리에, 코미디언으로서 있는 나는 스스로도 자랑스럽거든요. '어떠한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았다'는 것으로 평가받길 원해요. 그렇게 좀 해 주세요.

"아프리카서 찾은 인생의 의미...연예 언론에서 실천하겠다"

'소망'과 '민원'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야기를 뒤로 하면서, 두 사람의 대담은 끝을 향해 나아가고 있었다. 김미화는 "마음속에 사람이 있는 사람을 만나 좋다"며 "그동안 이렇게 길게 이야기해보지 못했던 게 한"이라는 말로 인사를 건넸다. 그러자 빙그레 웃던 김 팀장은 "인생에서 한 번 퍽 맞은 적이 있다"며 가슴 속 이야기를 꺼내 놓았다.

 16일 서울 목동 CBS에서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의 진행자인 희극인 김미화와 대담을 가진 오마이스타 김대오 국장.

16일 서울 목동 CBS에서 CBS 라디오 <김미화의 여러분>의 진행자인 희극인 김미화와 대담을 가진 오마이스타 김대오 국장. ⓒ 이정민


오: 최진실이 죽기 전 날 제가 같이 있었거든요. 충격이 컸어요. 그때 최진실이 너무 힘든 상황이었는데도 '오빠, 나 연예계 은퇴하고 아프리카 같은 데에서 오드리 헵번처럼 봉사하며 살까?' 하더라고요. 그 말을 듣고 '야이, 미쳤냐. 너 지금 다시 뜨고 있는데, 애들도 커야 하는데…인기 다시 올라가서 잘 해야지' 했죠. '너무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최진실이 죽고 많이 힘들었는데, 기회가 주어져 우연히 아프리카 차드에 봉사를 겸한 취재를 갔어요.

그 곳이 또 하필이면 대학교 후배인 박용하가 갔다 온 곳이에요. 박용하는 거기 갔다 와서 15일 만에 죽었고…. 용하가 세운 학교(기자 주-'요나스쿨'. 박용하가 전한 기부금과 그의 팬들이 모은 기금으로 지은 학교다) 개교식을 하는 자리인데, (박용하가) '죽었다'고 했더니 부족장이 '왜?'라고 묻더라고요. '전쟁이 났냐, 전염병이 돌았냐'고. 그러면서 벼락 맞은 고목나무 하나를 가리키더니 '우리의 삶이란 다리가 찢겨지고 눈이 멀고 저 나무처럼 날갯죽지가 찢겨져도 살아가는 것이다, 그게 인생이다' 하더라고요. 그때 '아…' 싶었죠.

희망수명이 44세에 불과한, '자살'이라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나라. 객관적인 지표로는 절대 부유하지 않은 그 곳에서 김대오 팀장은 희망을 봤다고 했다. 벼락을 맞아 온전함을 잃었지만, 묵묵히 주어진 삶의 무게를 감당하고 있는 고목나무에서 인생의 의미를 배웠다고 했다. 이후 '그럼에도 살아가는 것, 삶을 삶으로 살아가는 것', 연예 언론에서 그 의미를 실천하는 일이 그의 소명이 됐다. 묵묵히 이를 듣던 김미화도 눈을 빛내고 있었다.

오: 그래서 올해의 모토를 '속도를 낮추자'로 잡았어요. 슬로 뉴스를 지향해볼까 싶어요. 어떤 사건이 터졌을 때 속도전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좀 정리된 다음에 기사를 쓰는 일을 해 볼까 해요. 그게 (연예 언론에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겠습니까만은…그래도 내가 안 하면 안 되니까요.

===[특별기획-연예인 김미화, 연예기자 김대오를 인터뷰하다] 관련 기사===

①'소셜테이너' 김미화의 고백…"이 칭호, 부담된다!"
②도합 '연예 경력 50년'…이들의 '연예언론에 대한 앞담화'
③최진실을 비롯한 '나쁜 그들'…'그럼에도 삶은 살아가는 것'


김미화 김대오 최진실 박용하 연예언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