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겨레> "체르노빌 25주년 교훈 삼아야"

<동아> "체르노빌 관광지로 변했다"

 

26일은 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로 꼽히는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난 지 25주년이 되는 날이다. 1986년 체르노빌 원전 4호기가 폭발한 뒤 당시 소련 당국은 원전 30km 이내에 거주하던 체르노빌 주변 도시와 마을 주민 35만 명을 강제 이주시켰으며, 방사성 물질이 다량 누출돼 수십명이 목숨을 잃고 지금까지도 수십만명이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급이 체르노빌 원전 사고 등급과 같이 '국제원자력 사고등급(INES)' 중 최악인 7등급으로 격상되면서,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재조명으로 원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바로 옆 일본에서 원전 사고로 인한 방사능 유출 피해가 진행되고 있는데도 '국내 원전은 안전하다'는 등 한가한 소리를 하며 2024년까지 원전을 35기까지 늘리겠다는 정책을 강행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이 국내 원전의 안전성 재검토와 원전 확대 위주의 에너지 정책 전면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다. 지금은 원전을 늘려갈 때가 아니라 점차 원전을 줄이고 재생가능에너지를 늘려가며 '핵 의존 사회'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세계 각국에서는 이미 비용과 위험성, 폐기물 문제 등의 이유로 원전 위주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재검토 및 폐기를 진행하고 있다.

 

26일 한겨레신문과 체르노빌 원전 사고 25주년을 맞아 관련 기사를 싣고 원전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했다.

 

한겨레신문은 원전 사고 후 '죽음의 땅'이 된 체르노빌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체르노빌의 '원자력 불'에서는 지금도 치명적인 방사성 물질이 나온다"고 전했다. 사설에서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교훈은 자명하다면서, "정부는 원전 증설 계획을 재검토하고 사고가 잦아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노후 원전에 대한 근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간이 멈춰선 땅 체르노빌 "인류는 핵재앙서 뭘 배웠나">(한겨레, 1면)

<'원전 반대' 손 들어준 도쿄 표심>(한겨레, 5면)

<'죽음의 땅'된 고향… 250명엔 여전히 '삶터'>(한겨레, 6면)

<원자로 출력 낮추는 실험중 비상정지 버튼 눌렀다 '꽝'>(한겨레, 6면)

<꺼지지 않는 '원자력 불'>(한겨레, 6면)

<"당시 군인들이 생체로봇… 삽으로 방사능 오염물질 퍼내">(한겨레, 7면)

<'불멸의 핵쓰레기'>(한겨레, 7면)

<지진 때문에…일 지역정당 지방선거 '희비'>(한겨레, 21면)

<아직도 불 꺼지지 않은 체르노빌 사고의 교훈>(한겨레, 사설)

 

한겨레신문은 1면 <시간이 멈춰선 땅 체르노빌 "인류는 핵재앙서 뭘 배웠나">를 통해 "체르노빌은 가만히 있는 것만으로도 건강이 나빠질 수 있는 지구에서 유일한 곳"이 됐다면서, 복구작업이 한창인 체르노빌 시내와 주변 도시의 모습을 전했다. 기사는 바람이 불자 방사능 계측기 바늘이 눈금의 최고치를 넘었다면서, "1년동안 이런 바람을 맞는다면 35밀리시버트, 즉 일반인의 연간 한도치의 35배에 이르는 방사능에 노출"된다고 설명했다.

 

6면 <'죽음의 땅'된 고향… 250명엔 여전히 '삶터'>에서는 "방사능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지만, 사람들은 감자를 캐고 우물물을 길어 저녁을 준비"한다면서, 체르노빌 원전에서 17km 떨어진 마을의 재정착자에 대해 다뤘다. 기사는 "이 마을에서 측정되는 방사능은 인체에 당장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지만, "방사능이 축적된 일부 토양에선 7~10마이크로시버트까지 측정되기도 했다"는 우크라이나 비상사태부 산하 체르노빌 정보센터의 예브게니 곤차렌코의 말을 전했다.

 

같은 면 <꺼지지 않는 '원자력 불'>은 "체르노빌 발전소는 여전히 위험"에 빠져 있다면서, 사고 후 여섯달 만에 완성한 "석관 틈새로 빗물이 들어가면 중성자 수치가 높아지면서, 매우 낮지만 핵분열 연쇄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1983년 핵분열을 일으켜 켠 체르노빌의 '원자력 불'에서는 지금도 치명적인 방사성 물질이 나온다"면서, "원자력 불을 켠 것은 인간이지만 정작 인간은 방사능 방출을 막거나 제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사설 <아직도 불 꺼지지 않은 체르노빌 사고의 교훈>에서는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사반세기 전에 일어났지만 현재 진행형"이라면서, "핵붕괴가 끝나 원전이 안정된 상태가 되려면 100년이 걸린다고 하니 아찔할 따름"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체르노빌 사고의 실상이 주목받았고, 우리는 인재든 천재든 원전 사고가 시공과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면서, 체르노빌 사고의 교훈은 "신규 원전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노후 원전의 가동을 중단하고, 원자력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탈피"하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설은 "우리 정부는 세계적 흐름과 거꾸로" 가고 있다면서, "정부는 원전 증설 계획을 재검토하고 사고가 잦아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노후 원전에 대한 근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26일 경향신문은 토론회와 특별기고를 통해 원전 위주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경고를 전하면서, "경주 월성 1호기의 수명연장 결정이 늦춰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28년 된 월성 1호기 '수명연장' 결정 1년 늦추나>(경향, 8면)

<"원자력만 믿다간 2030년 이후 에너지 파산 직면">(경향, 8면)

<[특별기고]아시아에 원전은 답이 아니다>(경향, 8면)

 

반면 동아일보는 앞서 25일 체르노빌 원전 사고 후유증을 앓고 있는 현장을 전하면서도, 원전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동아일보는 "요즘 체르노빌은 관광지로 변했다"면서, "체류 3일을 넘기지 않으면 괜찮다", "반바지를 입거나 손으로 직접 만지지만 않으면 모두가 안전하다"는 등 체르노빌이 안전하다는 식의 보도를 했다. 또 당시 사태를 수습한 군인들의 원전 자체에 대한 반대 목소리는 작았다면서, "원전 자체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실수였다", "원전은 필요하다"는 등의 주장을 전했다.

 

이러한 동아일보의 보도는 방사능 노출 위험을 감수하며 살고 있는 체르노빌 재정착자에 대해 다룬 한겨레신문과 대조적이다.

 

 

 

조선일보는 체르노빌 참사 25주년을 맞아 프랑스 시민단체가 벌인 '원전 반대' 집회를 사진기사로 다뤘을 뿐 별다른 기사를 싣지 않았다. 중앙일보는 관련기사를 싣지 않았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민주언론시민연합 홈페이지(www.ccdm.or.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체르노빌, #원자력, #원전, #후쿠시마, #피폭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