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남구의 이천동(梨泉洞), 달서구의 진천동(辰泉洞), 동구의 숙천동(淑泉洞)은 모두 마을에  '샘[泉]'이 있었다. 이천동의 샘[泉]은 배[梨]밭에 있었다. 진천동의 샘은 아마도 별[辰]처럼 눈부신 '참샘'이었을 것이다. 진(辰)은 흔히 '별 진'으로 알고 있지만, 더 알고 보면 진성(辰星)은 수성(水星)의 다른 이름이니 진(辰)은 곧 물[水]이기 때문이다.

 

숙천동 또한 물이 맑고[淑] 차고 마르는 때가 없는 샘[泉]이 있는 마을이었으니, 본디 '숙새미'라 부르다가 뒷날 한자식으로 이름이 바뀌어 숙천동이라 불리게 된 것이 분명하다. 지금도 숙천초등학교 교정에 가면 옛날에 위용을 떨치던 그 많던 샘들 중의 하나가 아직도 남아서 지난날의 전설을 증언해준다.

 

달서구의 유천동(流川洞), 동구의 신천동(新川洞), 북구의 동천동(東川洞)과 매천동(梅川洞), 수성구의 가천동(佳川洞)은 모두 내[川]가 흐르는 지점에 자리한 마을들이다. 유천동은 말 그대로 비슬산 동북단에서 시작하여 월배의 도원동 사이를 흐르는[流] 11km 길이의 하천(川)을 끼고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고, 동천동은 하천(川)의 동(東)쪽에 위치하는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그런가 하면, 가천동은 금호강변의 아름다운 경치를 누리고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가천동은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당시 '아름다운 가(佳)'와 '내 천(川)'을 조합한 지금의 이름을 부여받았다. 5관구사령부와 금호강 사이에 있는 이 마을은, 지산동에서 반야월로 달리는 고속형 고가도로가 고모역 인근을 가로지르는 바람에 상당히 어수선해지기는 했으나 근본적으로 강물과 3면의 산세에 에워싸인 아늑한 정경을 자랑하고 있어 '비 내리는 고모령'을 넘어 마을 안으로 들어서면 저절로 평화의 점입가경(漸入佳境)이 느껴진다.

 

매천동도 앞으로 팔거천이 흘러 언제나 졸졸 시냇물이 노래를 부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마을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매화가 만발한 경관을 보여주지는 않으니 마을이름에 매(梅)가 들어간 연유는 따로 알아보아야 한다. 본래 이 마을은 송천(松川)이라 불렀으니 팔거천 주위에 소나무가 울창했기 때문이다.

 

송천이 매천으로 변한 것은 광해군 이후로, 폭정을 그만둘 것을 애절히 간하였으나 광해군이 받아들이지 않자 벼슬을 그만두고 송천으로 내려와 매역서원(梅易書院)을 세운 송원기(宋遠器) 덕분이다. 그 이후 사람들은 이 지역을 매남(梅南)이라 불렀다. 그러던 것이 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 매남의 '매'와 송천의 '천'을 따서 매천동이라 이름 매겨졌다.

 

 

신천동은 새로[新] 생긴 하천(川)가의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1778년(정조 3) 대구판관 이서(李漵)는 대구 시내를 흐르는 하천이 홍수 때마다 범람하여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끼치는 것을 염려하여 자신의 개인 재산을 털어 물길을 바꾸었다. 그 후 사람들은 이를 신천이라 불렀고, 신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던 마을은 덩달아 신천동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의 신천이 이서공이 만든 신천과 동일한 물줄기는 아니라는 것이 이 분야 전공 학자들의 견해이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전영권 교수에 따르면(매일신문 2007년 4월 4일자), 이서가 신천의 물줄기를 변경시켰다는 1778년 이전부터 이미 대구에는 신천이라는 지명이 존재했고, 그 이전에 제작된 지도들에 등장하는 신천의 물줄기도 지금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1778년 이전에는 신천이 팔조령에서 발원하여 용두산> 수도산 기슭> 반월당> 신명여고> 달성공원> 달서천으로 흘러들어 금호강과 합류하였는데 이를 이서공이 자신의 개인 재산만으로 지금과 같이 용두산> 수성천변> 금호강으로 물길을 바꾸었다는 주장은 경제규모만 따져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현재도 그같은 대규모 공사를 하려면 대구광역시 재정 수준에서는 엄두를 내지 못할 것이며, 틀림없이 중앙정부가 나설 일인데, 직책상으로는 현재의 대구시장에 해당되지만 예산규모상 대구광역시와는 도무지 견줄 만한 수준이 아닌 과거의 대구판관이 자기 개인의 재산만으로 이를 다 해결하였다니 어찌 가능한 일이었을까. 

 

이서는 대구 시내 중심가를 흐르는 샛강의 물길을 바꾸고 제방을 정비하여 백성들의 고통을 해소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대구 사람들은 신천을 축조한 이서의 공덕에 힘입어 홍수의 피해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당연히 사람들은 이서를 크게 기려 마지않았다. 사람들은 공덕비를 세웠고, 이름을 딴 공원까지 만들었다. 수성구 상동의 '이서공원'이 바로 그 곳이다.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 이서(李漵)공원

 

대구에는 앞산공원, 달성공원, 두류공원……이 있다. 어린이대공원도 있고, 비록 공원이라고 불리지는 않지만 수성못과 동촌유원지도 있다. 화원동산, 팔공산, 강창나루터 등도 시민들의 눈과 귀에는 공원이나 다름이 없다. 물론 시내 한복판의 경상감영공원, 국채보상공원도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한 가지, 망우공원도 시민들이 아끼는 휴식공간이다.

 

많은 휴식공간들 중에서 사람의 이름을 딴 특별한 곳이 바로 망우공원이다. '망우'란 임진왜란 당시의 혁혁한 의병장 곽재우 장군을 일컫는다. 붉은옷[紅衣]을 입고 용맹을 떨쳐 '홍의장군'이라는 별칭을 얻었던 망우당 곽재우 장군을 기리기 위해 당신의 이름 석자를 공원에 붙인 것이다. 본관이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이고, 그의 무덤 또한 달성군 구지면 신당리에 있으니 그를 추모하여 대구사람들이 '망우공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나무랄 이는 없을 터이다.

 

 

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지만, 대구에는 개인의 이름을 딴 공원이 또 있다. 그는 태어난 시대가 달라 의병장이 되지는 못했지만, 가난하고 못 배운 백성들을 위해 선정을 펼쳐 당대의 큰 추앙을 받았던 훌륭한 행정가이다. 그 이름은 이서(李漵). 1732년에 태어나 1794년에 세상을 뜬 그는 1776년(정조 원년) 대구판관으로 부임한다.

 

대구에 온 이서는 홍수 때마다 시내 중심부의 하천이 범람하여 모두들 큰 고통을 겪는 것을 보고 너무나 가슴 아파한 나머지, 마침내 자신의 재산을 털어 물길을 바꾸고 제방을 축조하여 백성들의 살림을 평온하게 만들었다. 자신의 이름자 서(漵)가 '물가, 강, 갯벌' 등을 뜻하는 한자이니, 어쩌면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대구백성들의 물 때문에 겪는 어려움을 해결해주라는 천운을 타고 났는지도 모를 일이다.

 

백성들은 이서의 가없는 선정을 잊지 않겠다는 뜻에서 그가 축조한 제방에 이공제(李公堤)라는 이름을 붙였다. 중국 송(宋)나라의 소식(蘇軾)이 항주자사로 있을 때 축조한 제방의 이름이 소공제(蘇公堤)인 것을 본뜬 것이었다. 또한 백성들은 이서가 사망한 3년 뒤인 1797년 1월 이공제비(李公堤碑)를 세워 더욱 강렬히 그 공덕을 기렸다.

 

 

그런데 이서가 새로 물길을 내고 제방을 축조한 새[新] 물길[川]은 그 이후 한자음으로 '신천'이라 불려지기 시작했다. 본디 대구부(현대식으로는 '대구시'의 중심부)와 대구부의 속현인 수성현(현대식으로는 '달성군'.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당시만 해도 대구의 수성구는 달성군 수성면이었음) 사이('새')를 흐르는 '내'라는 뜻에서 "샛강"을 의미하는 '새내'(사이내)였던 이름이 한자화되면서 '새(사이)천'이 되었다가 엉겁결에 신천(新川)이 되지 않았을까 추측되는 것이다.

 

이는 달서구 감삼동의 동명이 그 마을을 지나다가 단[甘] 감[柿] 셋[三]을 얻어먹은 원님이 붙여준 이름이라는 사실과 대동소이한 작명과정을 보여준다. 감은 한자로 시(柿)이지만 '달[甘]'지 않으면 감으로 대접받지 못하니, '감'은 시(柿)도 되고 감(甘)도 되는 이치이다. 원님이 시삼동(柿三洞)이라 하지 않고 감삼동(甘三洞)이라 작명한 데에는 어려운 한자를 잘 알지 못하는 백성들에 대한 배려가 깃들어 있다는 추론이다.

 

마찬가지로, '샛강'을 뜻하는 '새내'는 한자로 지천(支川) 정도이겠지만 백성들은 '새'를 익숙하게 아는 한자 신(新)으로 적어 '신천(新川)'이라는 이름을 만들었으니, 결과적으로는 대구판관 이서공이 물길과 제방을 새로 만들었다는 사실을 적시한 훌륭한 작명이 되었다. 세월이 흘러 2000년에는 그의 이름을 기린 '이서 공원'이 수성구 상동의 신천변에 조성되었으니,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속담의 진정성이 재삼 확인되는 듯하다.

 

* 참고 : 이서공원 안의 이공제비각 앞에 세워져 있는 안내판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이공제비 및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

李公堤碑     郡守李侯範善永世不忘碑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3호

 

여기 있는 3기의 비석은 조선시대 신천(新川)의 치수에 공이 컸던 목민관 두 분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당시 백성들이 뜻을 모아 세운 송덕비(頌德碑)이다.

 

예로부터 대구 분지는, 용두산에서 건들바위를 돌아 반월당과 달성공원 앞을 지나 금호강으로 흘러드는 신천의 범람으로 인해 큰 비가 올 때마다 그 피해가 막심하였다. 이에 따라 1778년(정조 2년) 당시 대구판관이던 이서(李漵)공이 사재를 털어 지금의 신천을 따라 물길을 돌리는 대규모 치수 사업을 시행하여 홍수로 인한 백성들의 피해를 막았다.

 

이러한 이서공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백성들은 이공제비를 세우고 중국 송나라 소식(蘇軾)이 항주자사로 있을 때 축조한 제방을 소공제라 명명한 것을 본따 신천제방을 이공제라 칭하였다.

 

비각의 왼쪽에 있는 비는 1797년(정조 21년) 세운 것이며, 가운데 비는 왼쪽의 비가 초라하다고 하여 1808년(순조 8년)에 다시 세운 것으로 모두 수성교 서편에서 옮겨 왔다. 오른편의 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는 대구군수 이범선(李範善) 공이 1898년(광무 2년)에 큰 홍수로 인해 이공제 하류 부분이 훼손되어 대구읍성이 위험하게 된 것을 단시일 내에 보수하여 대구를 구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듬해 백성들이 세운 송덕비로 이공제비와 함께 문화재로 보호해 오고 있다.

 

대구광역시장


태그:#이서, #신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장편소설 <한인애국단><의열단><대한광복회><딸아, 울지 마라><백령도> 등과 역사기행서 <전국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총서(전 10권)>, <대구 독립운동유적 100곳 답사여행(2019 대구시 선정 '올해의 책')>, <삼국사기로 떠나는 경주여행>,<김유신과 떠나는 삼국여행> 등을 저술했고, 대구시 교육위원, 중고교 교사와 대학강사로 일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