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여행 연수/자전거 국토순례

88km 달려도 2시간 휴식이면 재충전 완료 !

by 이윤기 2014. 8. 8.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한국YMCA 청소년 자전거 국토순례 셋째 날 기록입니다. 셋째 날은 전북 김제 모악산 유스호스텔을 출발하여 부여군청소년수련관까지 약 88km를 달렸습니다. 이날은 김제를 출발하여 군산 - 익산을 거쳐서 서천군을 지나 부여군청소년수련관에 도착하였습니다. 


88km를 달렸지만 코스는 비교적 무난하였습니다. 아침에 모악산 청소년 수련원을 출발 할 때 언덕길을 올라가면서 출발하였지만, 대신 전날 저녁 때 올라온 내리막까지 시원하게 달릴 수 있었습니다. 이날 가장 높은 고개길은 웅포문화체육센터로 넘어가는 고개 길이었습니다. 


그래봐야 해발 100여미터에 불과한 고갯 길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큰 어려움 없이 오르막 구간을 올라갔습니다. 첫째 날, 둘째 날에 비하여 변속기 사용에 익숙해지고, 오르막 구간을 오르는 요령이 생기면서 전체적으로 오르막 구간에서 뒤쳐지는 아이들이 크게 줄어들기 시작하였습니다. 


가장 고마운 휴식과 식사 장소...웅포문화체육센터 


셋째 날 점심은 전북 익산시에 있는 <웅포문화체육센터>마당에서 먹었습니다. <웅포문화체육센터>는 자전거 국토순례 6박 7일의 휴식지 중에서 가장 시설 사용 협조를 잘 해준 곳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웅포문화체육센터 마당에 있는 그늘을 찾아가서 점심을 먹었는데, 관장님이 나오셔서 에어컨을 켜놓은 식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셨습니다. 


참가자와 스텝을 포함하여 350여명이 넘는 인원이 다들어갈 수는 없었지만, 적당한 그늘을 찾지 못해 배회하던 150여 명은 에어컨을 시원하게 켜놓은 식당에서 점심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점심 식사 후에는 에어컨을 시원하게 켜놓은 체육관을 개방해 주었습니다.


점심을 먹고 아이들과 신발을 벗고 체육관에 들어가서 1시간 가량 뒹굴면서 낮잠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대규모 인원이 자전거 국토순례를 하다보니 식사와 휴식을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300대가 넘는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하고, 또 350여명이 밥을 먹고 쉴 수 있는 공간도 있어야 하며 350여명이 용변을 해결할 수 있는 화장실도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휴식장소와 식사장소를 정하는 것도 보통일이 아닙니다. 여러 차례 답사를 하면서 마땅한 장소를 물색한 후에 공문을 보내 협조를 구하면 선뜻 시설이나 공간 사용을 허락해주는 곳도 있고, 끝내 거절하는 곳도 있습니다. 또 공간이나 시설 사용을 허락하면서도 '화장실'이외에는 협조해주지 않는 곳도 많이 있습니다. 


<웅포문화체육센터>는 정말 파격(?)적인 협력과 지원을 해 준 셈입니다. 오전내내 라이딩에 지친 아이들이 점심을 먹고 에어컨이 나오는 실내체육관에서 1시간 가량 쉴 수 있었던 것은 정말 큰 호사(?)를 누린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오후 일정을 위해 출발할 때는 관장님과 직원들이 나오셔서 손을 흔들며 격려도 해주셨답니다. 



YMCA운동의 지도자 월남 이상재 선생


오후에는 웅포문화체육센터를 출발하여 웅포대교를 건너 <월남 이상재 선생 생가>를 방문하였습니다. 올해 자전거 국토순례는 자전거 국토순례 10주년과 함께 한국YMCA전국연맹 결성 100년을 기념하는 행사입니다. 월남 이상재 선생은 한국YMCA 운동의 중요한 지도자 중 한 분입니다. 


선생은 1903년 옥중에서 기독교를 접하게 되었으며이듬해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국사범들과 함께 풀려났으며, 황성 기독교 청년회(YMCA)에 가입하게 됩니다.1905년에는 YMCA 교육부위원장을 맡아 YMCA 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선생은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고종이 일제에 의해 강제 퇴위 당하자 일본의 만행을 규탄하는 민중 시위를전개하기도 하였으며 YMCA(황성기독교청년회)의 총무가 되었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선생이 배후 인물로 지목되어 3개월간 옥살이를 합니다. 


1927년 2월에는 이념을 초월해 민족적 단결을 목표로 하는 민족단일 전선인 신간회가 결성되자회장으로 추대되었습니다. 선생은 이미 고령과 노환으로 병석에 누워 있었으나 걸절하지 못하였습니다. 그해 3월 29일 월남 선생이 소천하자4월7일 그를 추모하는 장례가 처음으로 ‘사회장’으로 치러졌습니다.당시 경성 인구를 30만 명 정도로 추산하는데, 선생의 사회장에 운집한 추모객은10만을 헤아렸다고 합니다.



부여군 청소년 수련관...최고의 시설


오후에는 30여km를 달렸기 때문에 <월남 이상재 선생 생가>에서 한 차례 휴식을 하고 나서 곧장 부여군 청소년수련관에 도착하였습니다. 부여군 청소년수련관은 올해 자전거 국토순례 숙박지 중에서 가장 시설이 좋은 곳이었습니다. 


아이들은 "날마다 시설이 더 좋은 곳으로 간다"고 좋아하였습니다. 깨끗하고 크고 넓직한 방과 물이 콸콸 나오는 샤워시설 그리고 넓은 인조잔디 운동장과 전원이 동시에 식사를 할 수 있는 쾌적한 식당까지...정말 최고의 시설이었습니다. 


저녁을 먹고 아이들과 야간 조명을 켜고 잔디 운동장에서 팀별로 나누어 발야구 시합과 족구 시합을 하였습니다. 저녁을 먹고 짧은 휴식 시간을 보낸 아이들은 발야구와 족구 시합이 시작되자 낮에 하루 종일 자전거를 타고 온 피곤한 모습은 사라졌습니다. 


경기에서 이긴 아이들의 사기는 하늘을 찌를 듯 하더군요. 아이들은 피자와 콜라로 저녁 간식을 먹고 밤늦게까지 샤워와 세탁을 하고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하루 종일 자전거를 타고도 불과 2~3시간만에 재충전이 끝난 아이들은 목이 터져라 응원하고, 선수로 참여한 아이들은 혼신의 힘을 다하여 뛰어 다녔습니다. 아이들의 회복력은 정말 놀랍습니다. 마치 몸속에 초고속 충전기가 달린 것 같습니다. 


오르막 길을 오를 때 기진맥진 하면서 자전거를 타던 아이들도 휴식지에 도착해서 불과 15~20만 휴식을 하고나며 금새 충전이 됩니다. 휴식 장소에서 뛰어다니며 장난을 치고, 철봉에 매달려 턱걸이 시합을 하기도 합니다. 


국토순례를 진행하다보면 날짜가 지날 수록 아이들은 쌩쌩해지고 어른들은 지쳐가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자전거를 잘 타는 실무자들이 쌩쌩한 것철럼 보이지만, 피로가 누적될 수록 회복이 더딘 어른들은 날이 갈 수록 몸이 축축처집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매일 매일 자전거 타는 실력이 좋아지는데다가 피로가 누적되지도 않습니다. 몇 분만 쉬고나면 금새 활기가 생기고 몇 시간만 쉬고나면 운동장을 뛰어다닐 만큼 회복이 되면, 하루 밤을 자고나면 어제의 피로는 남아 있지 않습니다. 


이런 아이들과 일주일을 버티고 나면 실무자들의 체력은 완전히 고갈되어 탈진에 점점 가까워집니다. 자전거 국토순례를 마치면 놀라운 회복력을 자랑하는 아이들을 부러워하면 2~3일씩 비몽사몽하면서 회복기를 거쳐야 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