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역사의 기록이 중요한 것은 정확한 기록이 있어야지만 당시의 시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사의 아이러니는 하나의 역사적 사건을 자신들의 입장에 맞춰 해석하려는 사람들이 있으므로 발생한다. 잘못된 해석으로 잘못된 역사가 사실처럼 받아들여지고 굳어지면 역사가 자연스럽게 변질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전통주에 있어서 이러한 역사 변질은 여러 곳에 존재하고 있으며 그중에 하나가 '수수보리(須須保利)'라는 단어일지 모른다. 
 
수수보리가 언급된 전통주 방송
▲ 한국의 전통주 수수보리가 언급된 전통주 방송
ⓒ MBC

관련사진보기


전통주를 좀 마셨다는 사람이나, 공부를 했던 사람이라면 '수수보리'라는 이름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백제인 인번(仁番)이라는 사람이 일본에 넘어와 술의 씨앗이 되는 누룩 또는 술 제조법을 알려주었다고 이야기를 한다. 이 '인번'이 '수수보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일본의 주신(酒神)이 되었다고 하며 교토의 사가신사(佐牙神社)라는 곳에서 수수보리를 일본 사케의 신으로 모셔졌다고 이야기한다. 

'수수보리'라는 이름은 백제 사람이 일본의 술 제조법을 알려주었다는 의미로 문화 우월성을 이야기할 때 거론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우리에게 잘못 알려진 이름이다. 일본의 술을 알려준 사람의 이름은 '수수보리(須須保利)'가 아니라 '수수허리(須須許理)'이다.

실제 수수허리(須須許理, 스즈코리)가 나오는 기록을 살펴보면 일본의 역사서인 <고사기(古事記)>에서 처음 언급된다. 응신천황(應神天皇, 재위 270~310년)대에 인번(仁番)이라는 백제인이 건너와 천황에게 술을 진상 했으면 그 술맛이 좋아 천황이 만취해 버리고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 노래가 고사기에 실려있다.

"수수허리가 만든 술에 / 나는 취해버렸다. / 재난을 없애주는 술, / 웃음 짓게 하는 술에 / 나는 취해버렸다."

수수허리가 고사기에 쓰인 단어이며 술을 왕에서 진상했으나 누룩을 만드는 기술을 가르쳤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당시 일본도 일본 나름의 술 빚기가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술을 진상했다는 것으로 보아 백제의 전체적인 술 빚기에 대한 기술을 전수해준 것으로 보인다.

탁재형의 <우리술 익스프레스>에서는 수수허리와 수수보리가 같은 의미로 쓰이게 된 것이 일본 왕실의 각종 규범 등을 적은 연희식(延喜式)이라는 책에서 '수수보리'라는 단어가 등장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책의 음식 만드는 법에 절임채소(漬物, 쯔게모노)의 이름으로 '수수보리'가 등장을 하는데 아마도 술과 함께 절임 음식을 전해준 백제인의 이름으로 사용한 것이 아닐까 설명을 하고 있다.

이것을 뒷받침 하는 내용으로 이성우 교수의 논문 '중·한·일에서의 김치류의 변천과 교류에 관한 연구'이 있다. 이 논문에 의하면 일본에서의 수수보리는 수수보리지(須須保利漬)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 수수보리지는 쌀이나 콩을 발효 기질로 삼는 절임채소(지물, 漬物)로서 후세에는 그 이름이 남아있지 않으나 오늘날의 일본의 쌀겨 된장지(漬)나 국지(麴漬-고오지츠케, 누룩에 소금을 섞은 것에 재워두는 누룩절임)의 근본적인 형태를 이룬다고 했다. 이 논문에서도 절임채소를 가리키는 '수수보리지'라는 단어가 중국으로부터 백제를 거쳐 일본으로 넘어간 것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접시에 진열되어 있는 일본 쓰케모노
▲ 일본 절인음식(쓰케모노) 접시에 진열되어 있는 일본 쓰케모노
ⓒ 위키백과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발효 음식 중 하나인 절임채소가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으로 갔다면 비슷한 발효 음식이었던 술 역시 같은 루트를 통해 동일한 시기에 넘어 갔다고 보는 것이 적절한 추론일 듯하다. 그러기에 수수보리지 또는 수수보리는 발효를 잘 하는 백제인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수수허리와 비슷하기에 수수허리나 수수보리를 혼용해서 사용한 것은 아닐까 생각할 수 있다.

이후 수수허리와 유사한 단어가 일본의 역사책에 다시 등장을 한다. 815년 편찬된 일본의 <신찬성씨녹(新撰姓氏錄)>라는 책이다. 이 책에는 응신천황의 다음 왕인 인덕천황(仁徳天皇, 재위 313-399) 때 한반도에서 건너온 술 만드는 재주를 가져 사람이 천황의 술을 만드는 일을 했다고 한다. 이 술만드는 일을 했던 사람의 이름이 '증증보리(曽曽保利, 소소호리)'라는 이름을 쓰는 '형증증보리(兄曽曽保利)'과 '여동생증증보리(妹曽曽保利)'이다.

이처럼 2대에 걸친 천황에게 술을 바쳤던 백제인들의 이름이 비슷한 "○○보리"라는 또는"○○허리"로 불린 것은 우연히 하기는 어려울 듯하다. 오히려 "○○보리" 또는"○○허리"라는 단어가 당시 술을 잘 빚는 사람 또는 발효를 잘하는 사람의 직업이나 관직을 나타낸 백제 또는 일본의 명칭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하게 한다. 아니면 동일 단어를 일본식 고대 언어를 한자의 훈독과 음독 표기를 섞어 적으면서 옮겨진 차이가 아닐까 싶다.
 
증증보리가 기록되어 있는 신찬성씨녹
▲ 신찬성씨녹 표지 증증보리가 기록되어 있는 신찬성씨녹
ⓒ 일본 국립 국회 도서관

관련사진보기


어떤 사람들은 응신천황의 수수허리(須須許理)와 인덕천황 증증보리(曽曽保利)를 동일인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나 고사기와 신찬성씨록의 두 일본기록에 나온 술을 잘 만드는 백제인들 사이에는 100~120년의 시간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둘이 동일인이어도 일본으로 술을 전해준 백제의 인번이 수수허리(須須許理)이며 이것은 수수보리지(須須保利漬)와 관련이 있다는 추론은 지금까지 나온 기록들을 바탕으로 조합 아닌 조합이 가능한 내용인 듯하다.

이러한 내용은 일본의 술 역사이기도 하면서 우리 술의 역사이기도 하다. 한중일의 술 관련 연구가 단독이 아닌 서로 교류를 통해 연구되어야 하는 부분이 이러한 이유이다. 한중일 술 역사에 대한 정확한 연구야 말로 동북아 술의 흐름이나 우리 술의 발전과정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브런치에 동시 게재합니다.


태그:#전통주, #수수허리, #수수보리, #백제인, #일본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통주 연구를 하는 농업연구사/ 경기도농업기술원 근무 / 전통주 연구로 대통령상(15년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 진흥) 및 행정자치부 "전통주의 달인" 수상(16년)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