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 수정 : 29일 오전 8시 14분]
 
전설의 통로 모습
 전설의 통로 모습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학창 시절 제주를 대표하는 세 가지는 돌, 바람, 여자라고 배웠다. 옛날과는 세상이 달라진 지금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다. 3월 31일 현재 제주도청에 등록된 총인구 677218명 중 남자는 339320명 이고 여자는 337898명이기 때문이다.

제주를 대표하는 것 중 변하지 않는 두 가지는 돌과 바람이다. 하지만 제주를 찾는 관광객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오는 것은 까맣고 구멍이 숭숭 뚫린 이색적인 돌이다. 화산이 폭발해 마그마가 흘러나와 빠른 속도로 식으면서 빠져 나가지 못한 기체들이 크고 작은 구멍이 되어 만들어진 현무암은 제주의 상징이다.

제주다움을 가장 크게 느낄 수 있는 제주 돌문화공원
  
전설 속 오백장군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석상들
 전설 속 오백장군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석상들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제주도는 일만 팔천의 신들이 존재하는 신들의 고향이라고 일컫는다. 제주도 민간신앙 속에서 돌은 신앙의 성소, 제단이며 신성한 공간이다
 제주도는 일만 팔천의 신들이 존재하는 신들의 고향이라고 일컫는다. 제주도 민간신앙 속에서 돌은 신앙의 성소, 제단이며 신성한 공간이다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023에 가면 제주돌문화공원이 있다. 남조로 곶자왈 지대에 2006년 6월 3일 개원한 돌문화공원은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을 테마로 한 역사문화공원이다. 탐라목석원에서 기증한 자료 1만4441점을 기초로 약 100만평 공간에 제주의 정체성과 향토문화 생활상을 전시하였다.

외지에서 돌문화공원을 방문한 관광객들은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설화를 알아야만 제주의 형성과정과 제주민의 삶속에 녹아있는 돌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은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에 얽힌 설화 내용이다.

한라산 서남쪽 산 중턱에 '영실'이라는 명승지가 있는데 이곳에는 기암절벽이 하늘 높이 솟아 있다. 이 바위들을 가리켜 오백나한 또는 오백장군이라고 부른다.

설문대할망이 아들 오백 형제를 거느리고 살았는데 어느 해 지독한 흉년이 들어 오백 형제 모두가 양식을 구하러 나간 사이 어머니는 아들들이 돌아와 먹을 수 있는 죽을 끓이다가 그만 발을 잘못 디뎌 죽솥에 빠져 죽고 말았다. 아들들은 그런 줄도 모르고 돌아오자 마자 죽을 먹었다. 나중에 돌아온 막내가 죽을 먹으려고 솥을 젓다가 큰 뼈다귀를 발견하고 어머니가 빠져 죽은 것을 알게 되었다.
 
어머니의 방 속에 전시된 돌로 설문대할망이 사랑하는 아들을 안고 서있는 모습이다.
 어머니의 방 속에 전시된 돌로 설문대할망이 사랑하는 아들을 안고 서있는 모습이다.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돌하르방 모습. 몽골 수흐바타르 지방 다리강가 솜에 있는 석인상과 비슷하다. 제주는 13세기 말부터 몽골족이 들어와 몽골국립목장을 설치해 몽골의 다양한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하르방의 어원이 몽골어 "하라"(망보다, 파수보다)와 "바라칸"(신, 왕)의 합성어로 "하르방"은 수호신의 성격을 갖는다.
 돌하르방 모습. 몽골 수흐바타르 지방 다리강가 솜에 있는 석인상과 비슷하다. 제주는 13세기 말부터 몽골족이 들어와 몽골국립목장을 설치해 몽골의 다양한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하르방의 어원이 몽골어 "하라"(망보다, 파수보다)와 "바라칸"(신, 왕)의 합성어로 "하르방"은 수호신의 성격을 갖는다.
ⓒ 고순옥 제공

관련사진보기

 
막내는 어머니가 희생된 죽을 먹은 형들과는 더 이상 못 살겠다며 어머니를 애타게 외쳐 부르며 차귀도로 달려가서 바위가 되어버렸다. 이것을 본 형들도 날이면 날마다 어머니를 부르며 통탄하다가 모두 바위로 굳어져 버렸는데 이것이 오백장군 이야기다.

제주도는 일만 팔천의 신들이 존재하는 신들의 고향이라고 말한다. 바다로 둘러싸인 해양환경과 화산섬지대, 기후 등의 자연조건 하에서 풍요로운 수확과 집단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제주민의 삶 속에는 다양한 신앙 행위가 존재한다.
 
제주도 무덤의 특징은 무덤 주위를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장방형으로 돌담을 쌓아 죽은 자의 영혼의 울타리로 인식된다
 제주도 무덤의 특징은 무덤 주위를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장방형으로 돌담을 쌓아 죽은 자의 영혼의 울타리로 인식된다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제주도 민가에는 마을에서 집안으로 들어가는 길목인 올레가 있다. 올레 양 어귀에는 구멍이 뚫려있는 나무기둥이나 돌기둥을 세워놓았다. 나무로 되어 있는 것을 정주목, 돌로 되어있는 것을 정주석이라 불렀다. 정주석에는 1~5개의 구멍이 뚫려있고 이 구멍에 걸쳐 놓는 나무 막대기를  정낭이라고 부른다. 정주석에는 경계표시, 소와 말의 출입방지, 주인이 있고 없음을 알리는 수단 등의 기능이 있다.
 제주도 민가에는 마을에서 집안으로 들어가는 길목인 올레가 있다. 올레 양 어귀에는 구멍이 뚫려있는 나무기둥이나 돌기둥을 세워놓았다. 나무로 되어 있는 것을 정주목, 돌로 되어있는 것을 정주석이라 불렀다. 정주석에는 1~5개의 구멍이 뚫려있고 이 구멍에 걸쳐 놓는 나무 막대기를 정낭이라고 부른다. 정주석에는 경계표시, 소와 말의 출입방지, 주인이 있고 없음을 알리는 수단 등의 기능이 있다.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제주도 민간 신앙 속에서 돌은 신앙의 성소, 제단, 신성한 공간과 세속적인 공간을 구분하는 울타리다. 풍수지리적으로는 마을의 허한 곳을 보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용되며 돌 자체가 신체(神體)시 되어 신앙의 대상이 된다. 제주돌문화공원은 돌의 거장인 설문대할망을 핵심 주제로 하고 있다. 제주돌문화공원은 총 3코스로 관람 소요 시간은 약 2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제1코스: 돌박물관→오백장군갤러리→어머니의 방

전설의 통로와 숲길을 지나면 주변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면서 하늘연못과 돌박물관, 야외무대, 돌하르방 등을 지나 오백장군 갤러리와 어머니의 방을 관람할 수 있다. 동선거리는 1300m에 소요시간은 약 1시간쯤 걸린다.

제2코스: 제주돌문화전시관→돌문화야외전시장(숲길)
  
돌민속품 야외전시장 모습
 돌민속품 야외전시장 모습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제주돌문화를 기능별로 전시하고 있는 초기형 제주 돌문화전시관과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돌문화를 전시한 야외 전시장이 배치되어 숲길을 거닐며 관람할 수 있다. 동선거리는 970m로 소요 시간은 약 50분이다.

제3코스: 돌한마을(제주 전통 초가마을 재현)

지금은 거의 사라져버린 제주의 옛 마을을 본떠서 세거리집, 두거리집, 말방앗간 등을 배치하여 옛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동선거리는 1080m로 소요 시간은 약 50분이다.

다리가 불편한 사람은 순환용 전기셔틀을 타고 돌문화공원을 돌아볼 수 있다. 하지만 웬만하면 셔틀카를 타지 않는 게 좋다. 숲속 오솔길을 걸으며 청량감을 느끼고 차가 다닐 수 없는 곳에 숨어있는 아기자기한 제주의 옛 전통가옥을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제주 전통초가가 있는 '돌한마을'에 유채꽃이 피어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하고 있다
 제주 전통초가가 있는 "돌한마을"에 유채꽃이 피어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하고 있다
ⓒ 오문수

관련사진보기

 
한라산을 배경으로 노란 유채꽃이 핀 제주 전통가옥은 환상의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세계 7대 자연경관(New 7Wonders of Nature)' 재단 설립자인 '버나드 웨버'는 제주돌문화공원을 다음과 같이 평했다.

"세계적 수준의 문화공원입니다.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이와 같이 자연을 예술로 승화시킨 곳은 보지 못했습니다. 환상적입니다."

덧붙이는 글 | 여수넷통뉴스에도 송고합니다


태그:#제주돌문화공원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육과 인권, 여행에 관심이 많다. 가진자들의 횡포에 놀랐을까? 인권을 무시하는 자들을 보면 속이 뒤틀린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