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구슬말의 형태
 구슬말의 형태
ⓒ 환경부

관련사진보기

 
지난해 여름 국립대전현충원 묘역에서 대량으로 발생한 생물체는 희귀 남조류인 '구슬말'로 확인됐다. 이 구슬말은 최근 몇 년간 대전현충원 일부 묘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다가 지난해 여름 크게 증가했으며, 유족들로부터 황녹색의 덩어리를 이루는 정체 불명의 생물체를 없애 달라는 민원이 제기됐었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구슬말은 물속에 사는 일반적인 남조류와는 달리 땅 위에 서식하며, 끈적하게 보이는 황녹색의 군체(다당체)를 형성한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지난해 9월부터 김승영 선문대 교수진과 공동으로 관련 연구를 진행하여 이 생물체의 정체가 국내에서 보기 힘든 구슬말이고, 인체에 특별한 해가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했다.

또, 친환경 방제 방법을 찾기 위한 실험을 통해 국내 토양에서 찾은 저농도의 일부 방선균(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가 구슬말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구슬말의 성장 억제 균주를 찾기 위해 80여 균주를 실험했고, 최적의 친환경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총 300여 균주를 추가로 실험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연구진이 친환경 방제 연구 과정에서 구슬말이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도 확인했다"면서 "구슬말 추출물을 실험쥐의 염증세포에 처리했을 때, 대표적인 염증 지표물질인 산화질소가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구슬말 추출물을 제주도 재래콩 간장에서 분리한 자생미생물을 이용(생물전환)하여 여드름균이나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 능력을 실험한 결과, 구슬말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항균 능력이 최소 65배 이상 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연구진은 구슬말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 예방을 위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 이달 말에 관련 특허를 출원할 예정이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는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제기된 민원 생물의 정체를 파악하고 이를 친환경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찾다가 생물자원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한 보기 드문 사례"라고 말했다.

태그:#구슬말, #국립생물자원관, #현충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