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안타깝게도 현재 유튜브를 통해선 2000년대 방영된 '해피타임 명작극장'에서 축약된 일부 내용만 시청이 가능하다.

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안타깝게도 현재 유튜브를 통해선 2000년대 방영된 '해피타임 명작극장'에서 축약된 일부 내용만 시청이 가능하다. ⓒ MBC

 
1990년대만 하더라도 KBS, MBC, SBS 등 지방송 3사에 코미디-개그 프로그램은 예능의 핵심 역할을 담당했다. 주중과 주말에 걸쳐 두 개 정도의 코미디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건 기본처럼 받아들여졌고 각 사에서 매년 연 공채개그맨 선발대회는 엄청난 경쟁률을 자랑하며 차세대 스타 발굴의 장이 되었다.

이제는 까마득한 옛일이 되고 말았지만 그 무렵 MBC 코미디는 남부럽잖은 인기를 누린 존재였다. 특히 <오늘은 좋은 날>(1992~1999)과 더불어 <테마게임>(1995~1999)는 그 시절 코미디 황금기를 상장한 추억의 프로그램이다.

​매주 토요일 밤 방영된 <테마게임>은 김국진, 서경석, 김진수, 홍기훈, 김효진 등을 주역으로 내세운 코미디물이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보통 개그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스튜디오에 세트 설치하고 촬영하는 형식이었는데, 10분 이내 코너들을 모아 1시간 정도를 채우는 게 일반적이었다. 

KBS <쇼!비디오자키>(1988~1991)처럼 고교생들을 단체 관람 형태로 불러모은 대형 공개 코미디도 없진 않았지만 <한바탕 웃음으로>, <코미디 세상만사>(이상 KBS), <코미디 전망대>, <웃으며 삽시다>(이상 SBS) 등 1990년대 코미디 프로들은 대개 비슷한 구성의 형식으로 시청자들과 만났다. 

드라마 형식으로 차별화...삶의 애환 녹여내며 큰 사랑 받아
 
 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정극 형식을 도입하면서 김국진, 김효진 등은 기성 배우 못잖은 연기력을 과시했다.

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정극 형식을 도입하면서 김국진, 김효진 등은 기성 배우 못잖은 연기력을 과시했다. ⓒ MBC

 
​그런데 <테마게임>은 기존 코미디-개그 프로와는 다른 특징을 지녔다. 바로 매주 두 편식 드라마 형식의 새로운 이야기를 담아 방영한 것. 개그 코너와 단편 드라마의 중간 정도 호흡으로 진행된 <테마게임>은 하나의 주제를 다른 시각으로 접근, 인생의 지혜와 희로애락을 녹여냈다. 이때 방영된 소재들은 단순히 코미디로만 치부하게엔 제법 깊이 있는 내용들이어서 '코미디 프로는 애들이나 보는 방송'이란 선입견도 타파했다. 

첫 사랑 혹은 노년의 사랑을 다룬 로맨스 소재부터 신분 상승을 노리던 악마와의 거래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성공을 얻었지만 더 큰 욕심을 부리다 파멸한다는 줄거리를 담은 에피소드 등은 20여년이 지난 지금 기준에서도 제법 흥미롭다. 때론 SF, 공포물, 성전환 등의 소재도 거침없이 소개될 만큼, 드라마 이상의 파격적인 접근도 이뤄지면서 <테마게임>은 오랜 기간 토요일 시간의 강자로 자리잡았다.  

PC통신세대로 불리던 20대 젊은 시청자들의 지지 속에 코미디 프로로선 이례적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선정 <시청자가 뽑은 좋은 프로그램>(1998년)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작품성도 인정받았다. 

김국진 등 개그맨들의 탁월한 연기...유망주 등용문 역할도 
 
 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차인표, 이요원 등 당시 젊은 배우들도 등장해 눈길은 모았다.

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차인표, 이요원 등 당시 젊은 배우들도 등장해 눈길은 모았다. ⓒ MBC

 
<테마게임>의 주인공 자리는 대개 그 시절을 대표하던 인기 개그맨들의 차지였다. KBS 출신 김국진을 중심으로 MBC 공채였던 서경석, 김진수, 김효진 등은 매주 각 에피소드의 주연을 담당하면서 배일집 등 고참 개그맨들과 좋은 호흡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끌어갔다. 

짧은 분량이라고 해도 <테마게임>은 정극에 가까운 내용들을 다루었기에 개그맨들이 연기하기 어려운 부분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들은 기성 배우들과 견줘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배역을 잘 소화했다. 특히 김국진은 진지함과 능청스러움을 오가는 캐릭터를 자연스럽게 연기하며 1990년대 후반 연예계 최고의 스타 반열에 올라서기도 했다.

이 무렵 <테마게임>은 연예계 젊은 유망주들의 등용문으로도 각광받기도 했다. 차인표처럼 이미 인기 스타로 자리 잡은 인물 뿐만 아니라 최지우, 이정현, 김선아, 이요원 등 이제 배우로서 막 성장하던 이들이 주연 혹은 상대역으로 출연해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박진영, 김윤아(자우림), 장호일(O15B) 등 가수들도 부담 없이 연기 도전에 나설 만큼 그 시절 누구나 출연을 탐내던 예능 프로였다. 

소재 고갈, 반복된 이야기 답습 속 1999년 종영
 
 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김창완, 장호일 등 가수들과 신동진 아나운서 등 다양한 인물들이 이 프로그램에 출연해 눈길을 모았다.

1990년대 인기 프로그램이던 MBC '테마게임'의 한 장면. 김창완, 장호일 등 가수들과 신동진 아나운서 등 다양한 인물들이 이 프로그램에 출연해 눈길을 모았다. ⓒ MBC

 
​하지만 빛이 있다면 그림자도 있는 법. 김영현(육룡이 나르샤), 박혜련(당신이 잠든 사이) 등 훗날 유명 드라마 작가가 되는 인물들이 이곳을 거쳐갔을 만큼 탁월한 이야깃거리를 매주 만들어낸 <테마게임>이었지만, 지금 기준으로 살펴보면 표절, 도용 논란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는 약점도 드러냈다.  

<마지막 잎새>, <파우스트> 같은 고전 작품 오마주를 넘어 <환상특급>(미국), <기묘한 이야기>(일본) 등 해외 TV 시리즈의 내용을 고스란히 차용한 방영분도 등장하다보니 이는 훗날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저작권 개념이 희박했던 당시 방송가의 상황도 원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 한정된 제작 인력만으로 새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이 계속 반복되면서 <테마게임>은 어느 순간 한계에 부딪히고 만다. 소재는 고갈되고 매너리즘으로 지적될 만큼 큰 변화 없는 구성에 시청자들은 조금씩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특히 프로그램의 주역 김국진이 1999년 하차하면서 큰 타격을 받았다. 

​최고 인기 사극 <용의 눈물>(1996~1998)과의 동시간대 경쟁에서도 결코 밀리지 않았지만 정작 자신과의 싸움은 이겨내지 못한 채 1999년 11월 <테마게임>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비록 4년여의 짧지도 길지도 않은 방영 기간이었지만 <테마게임>은 기존 코미디 또는 드라마와 차별되는 자신만의 것을 만들면서 유행을 주도한 프로그램으로 기억될 만하다. 개그맨들이 방송가 흐름을 주도했던 황금시대의 끝자락에는 그렇게 <테마게임>이 자리 잡고 있다.  
덧붙이는 글 필자의 블로그 https://blog.naver.com/jazzkid 에도 수록되는 글 입니다.
1990년대예능 테마게임 MBC코미디 김국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