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학물질 관리법 시행이후 화학사고 최다 발생기업을 발표했다.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학물질 관리법 시행이후 화학사고 최다 발생기업을 발표했다.
ⓒ 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학사고 최다 발생기업을 발표했다.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한 기업은 'LG그룹(13건)'이었다. 다음으로는 'SK(8건)', '롯데(8건)' 순이었다. 이들을 포함해 3건 이상 사고발생 기업은 16개였고, 2건 이상 사고발생 업체도 26곳에 달했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2015년에 강화된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되며, 화학사고가 추세적으로 줄어들고는 있었다. 그럼에도 상당수 기업에서는 반복적인 사고와 인명피해가 계속되는 게 현실이다. 이는 화학물질안전원 누리집(icis,me.go.kr)과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2014년 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국내발생 화학사고 613건을 분석한 결과이다. 

잇따라 터지는 사고... 산업계의 성찰 필요해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관법 시행 5년 후 화학사고 기업순위를 발표했다.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관법 시행 5년 후 화학사고 기업순위를 발표했다.
ⓒ 강홍구

관련사진보기

 
특히 LG그룹은 지난 5월 7일 LG폴리머스 인도공장의 가스 누출 참사 이후, 국내에서도 연달아 사고를 일으켰다. 인도 공장 가스 누출 참사 한주 뒤인 14일에는 LG디스플레이 구미공장에서 화학물질이 누출되어 직원 1명이 부상을 입었다. 

2주 후에는 LG화학 대산공장에서 화재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대전고용노동청은 해당 사고에 대한 산업안전보건 특별감독을 벌여 83개 규정 위반을 확인했고, 12억 5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하지만 사고는 8월에도 이어졌다.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관법 시행 5년 후 화학사고 기업순위를 발표했다.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관법 시행 5년 후 화학사고 기업순위를 발표했다.
ⓒ 강홍구

관련사진보기

 
SK와 롯데그룹 또한 화학 사고가 이어졌다. 비교적 경미한 폭발과 인명피해가 없는 사고 외에도, 화학물질 유출과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고가 속출했다. 지난 3월 대산단지에서 발생한 롯데케미칼 배관 폭발사고에, 주민들은 다시 마음을 졸여야 했다. 

이 정도면 "학습효과가 없는 것 아니냐"는 주민들의 성토가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누리집을 통해, 화학물질 배출량과 이동량 등을 공개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화학사고 빈도의 관계도 분석해보았다. 배출량과 이동량이 클수록, 사고 발생 또한 많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물질관리법은 국민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고, 사업장의 자발적인 화학물질 배출 저감을 위해 매년 배출량 조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취급량은 2014년 이후 매 2년마다 개략적 범주만 공개하는 정도였다. 기업의 영업비밀을 보호한다는 명분아래, 위험한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에 대한 지역주민의 알 권리가 침해받고 있는 형국이었다.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관법 시행 5년 후 화학사고 기업순위를 발표했다. 화학물질 안전원 누리집에는 배출량과 이동량 정보는 공개되었지만, 취급량의 경우 영업비밀을 이유로 부분적인 범주형만 공개되고 있었다.
 29일 환경운동연합이 화관법 시행 5년 후 화학사고 기업순위를 발표했다. 화학물질 안전원 누리집에는 배출량과 이동량 정보는 공개되었지만, 취급량의 경우 영업비밀을 이유로 부분적인 범주형만 공개되고 있었다.
ⓒ 강홍구

관련사진보기

 
화학안전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화학사고는 감소하는 추세다. 하지만 피부에 잘 와닿지는 않는 면이 있다. 되풀이되는 화학사고로 노동자가 목숨을 잃고, 화학산업단지 인근 주민들은 불안에 떨어야 하기 때문이다. 매번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국회와 언론에서는 반복적인 화학사고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관리 감독과 처벌 강화에 한목소리를 내왔다. 

그럼에도 재계의 화학 안전제도 흔들기는 계속되고 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정부는 화학물질 취급시설 정기검사를 유예했다. 경제단체는 기업부담을 이유로 화학안전 정책의 완화를 주장한다. 핵심적인 제도까지 손보고 싶어 하는 뉘앙스가 느껴진다.

하지만 대기업들도, 반복적인 화학사고를 막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화학물질 안전관리 시스템에 빈틈이 생긴다면, 돌이킬 수 없는 대형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은 명백해 보인다.

2012년 9월 구미 불산누출사고 이후 8년이 지났다. 기업의 규모를 막론하고, 화학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일부 경제단체는 화학물질 안전제도를 기업들에게 해가 되는 악법이라 주장한다. 무수한 인명피해 앞에서, 산업계의 성찰이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태그:#화학기업 사고순위, #화학물질관리법 5년, #환경운동연합, #LGSK롯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실체적 진실이 무엇일까요? 항상 고민하고 묻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