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크리스마스 시즌입니다. 어릴 적 성탄 연극을 보러 교회에 간 적 말고는 종교와 무관하게 살아왔지만, 저 역시도 늘 이때쯤이면 괜스레 마음의 온도가 조금은 올라가곤 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곰곰이 생각해 보니 어린 시절 자고 나면 머리맡에 산타 할아버지의 선물이 남겨져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선물을 받았던 행복이 내 뇌리에 깊게 새겨져 있는 거겠지요. 

물론 선물을 받기 얼마 전부터 '과연 올 한 해 착한 아이였는가'란 잣대에서 벗어나지 않으려 애쓰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산타 할아버지는 늘 선물을 주신다는 '안도의 기다림'을 잊지 않았지요. 이 기억이 나이가 들어서도 마음을 따스하게 만들어주는 것 같습니다. 

엄마가 떠났다 

그렇게 기억은 시간이 흘러서도 우리를 기쁘게 혹은 슬프게 만들지요. 샤를로트 문드리크, 올리비에 탈레크의 <무릎 딱지> 역시 그런 '기억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무릎 딱지
 무릎 딱지
ⓒ 한울림

관련사진보기

 
'온 세상에 사랑을' 나눠주는 산타 할아버지를 상징하는 빨간색의 표지를 열면, 안타깝게도 슬픈 이야기가 나옵니다. <무릎 딱지>의 빨간색은 '아픈 상처'의 빨간색으로 읽힙니다. 주인공의 엄마가 죽었기 때문입니다. 

유치원생 쯤으로 보이는 꼬마 남자 아이의 독백으로 이야기는 이어집니다. 심리학자 존 볼비는 인간은 태어나서부터 자신의 가장 가까운 주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한다는 '애착 이론'을 펼칩니다. 어떻게 해서든 애착을 형성하는 상대와 함께 하고자 하며, 그런 욕구가 허용되지 않았을 때 '상실'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지요. 

엄마가 영영 떠나게 될 거라고 말하자 아이는 처음엔 기다릴 거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엄마는 그럴 수 없다고 말하지요. 그러자 아이는 화를 내요.
 
엄마가 자꾸 그러면 엄마 아들이 아니라고, 이렇게 빨리 가버릴 거면 나를 낳지 말지 . 뭐 하러 낳았냐고.

엄마는 그 말을 듣고도 웃었지만 아이는 울어버립니다. 그렇게 엄마가 가버렸습니다. '엄마는 저 세상으로 영원히 떠났어'라고 아빠가 말하자 아이는 '흥 잘 떠났어. 속 시원해'라며 소리칩니다. 아이는 화가 납니다. 엄마가 가버리는 바람에 아침마다 지그재그로 빵에 꿀을 발라줄 사람이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무릎 딱지
 무릎 딱지
ⓒ 한울림

관련사진보기

 
애착은 꼭 아이와 엄마와의 관계만이 아닐 것입니다. 이론을 발표하던 초기에 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던 볼비도, 만년에 이르러서는 인생 전반의 '애착'을 강조합니다. 
 
인간은 평생에 걸쳐 애착 대상인 누군가를 필요로 한다. 살면서 만나는 여러 사건을 경험하고 애착 대상에게 돌아와 안전감을 회복하고자 한다. 마치 인생의 베이스 캠프처럼.

아이는 자신의 베이스 캠프인 엄마를 잃었습니다. 우리도 살아가며 '베이스 캠프'를 만들고 또 그 베이스 캠프를 잃습니다. 내 마음의 베이스 캠프를 잃었을 때 제일 처음 나타나는 반응은 아이처럼 화를 내는 것입니다. 나에게 있던 것이 없어진 상실을 받아들이기 힘드니까요.

매일 아침 먹을 수 있던, 지그재그로 꿀이 발라진 빵처럼 익숙했던 관계와 습관이 더 이상 이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가슴 속에서 불길이 피어오릅니다. 

사랑은 그곳에 있다

며칠 밤이 지나자 아이는 엄마가 그리워집니다. 그래서 엄마의 기억들을 붙잡으려고 합니다. 엄마의 냄새를 잊지 않으려 한여름인데도 집 안의 창문들을 꼭꼭 닫습니다. 내가 기억하는 엄마의 목소리가 지워지지 않게 귀도 막고, 입도 막습니다. 그런데 자꾸만 엄마가 희미해지는 거 같습니다. 그런데 아프면 그 어느 때보다도 선명하게 엄마의 목소리가 들려옵니다. 
 
"괜찮아, 우리 아들. 누가 우리 착한 아들을 아프게 해?"

눈을 감으면 엄마가 팔을 활짝 벌리고 아이를 안아주는 거 같습니다. 엄마의 목소리가 듣고 싶은 아이는 뛰다가 넘어진 상처의 딱지를 손톱 끝으로 긁어서 뜯어냅니다. 아파서 눈물이 찔끔 나오려 하지만 엄마의 목소리를 다시 들을 수 있으니까요. 자신의 몸에 피를 내서라도 '기억'을 되살리려는 아이의 모습이 그려진 붉은 톤의 그림은 아픈 아이의 마음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합니다. 

사랑이 가고 간 시간에 비례해서 기억은 흐릿해집니다. 아이가 붙잡으려는 '냄새'만큼 휘발성이 큰 게 있을까요. 아이처럼 자신을 상처내서라도 붙잡으려 하지만 그럴 수록 마음은 더 아픕니다. 그런데 엄마의 엄마, 할머니가 오셨습니다. 오자마자 창문부터 여는 할머니, 아이는 꾹꾹 닫아눌렀던 마음을 터트려버립니다. '안돼, 안돼, 엄마가 빠져나간단 말이야.'

그러자 할머니가 말씀하십니다. 아이의 손을 가슴에 올려주고는,
 
여기, 쏙 들어간 데 있지? 엄마는 바로 여기에 있어. 엄마는 절대로 여길 떠나지 않아.

아이는 달려봅니다. 심장이 쿵쿵 뛰어서 숨쉬는 게 아플 때까지. 그러면 엄마가 가슴 속에서 아주 세게 북을 치고 있는 것만 같습니다. 아이는 이제 더 이상 눈물을 흘리며 무릎의 딱지를 떼지 않아도 됩니다. 가슴 속에 엄마가 있으니까요.

가슴 위 쏙 들어간 곳에 손을 올려놓고 편하게 잠이 들 수 있습니다. 그림책의 초반 '상실'을 뜻했던 빨간색의 의미도 변화합니다. 이제 아이가 편안하게 잠든 마지막 장이 되면 엄마의 사랑을 나타내는 색처럼 보여집니다. 
 
무릎 딱지
 무릎 딱지
ⓒ 한울림

관련사진보기

 
누구에게나 상실의 시간은 고통스럽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많은 '관계'들을 떠나보냅니다. 특히 올해처럼 '사회적 격리'의 시간을 겪으며 이런 상실들은 도처에서 우리를 울적하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그 시간을 지내고 보면 알게 됩니다. 어린 시절 산타 할아버지에게서 선물을 받았던 아름다운 기억이 나이가 들어서도 여전히 그 시절이 되면 가슴을 설레게 하는 것처럼, 관계로 비롯된 '마음'이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아이의 가슴 속 오목한 곳에 있는 엄마처럼 우리 마음 속에 켜켜히 쌓여있다는 것을.

사랑은 때로는 피로 범벅이 된 무릎 딱지 같은 붉은색으로 우리를 아프게도 하지만 그 아픈 상처 속에서도 여전히 사랑의 붉은 마음은 남아있습니다. 사람이 간다고 해서 사랑마저 간 건 아닙니다. 

얼마 전 <방긋 아기씨>, <우주로 간 김땅콩> 등 그림책의 작가 윤지회 작가님이 영면하셨습니다. 인스타그램으로 그 분의 씩씩했던 투병 생활을 지켜봤던 터라 남의 일 같지가 않았습니다. 돌아가시기 얼마 전까지 아들을 위해 무엇이라도 남겨주고 싶다는 마음으로 작업을 하셨던 이모티콘이 재출시되었습니다.

윤지회 작가의 이모티콘을 쓸 때마다 그분은 가셨지만 떠나는 그 순간까지 의연하던 그분의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져 오는 듯합니다. 사랑하는 아들과 꼭 안고서 '사랑해'라고 말하는 이모티콘을 볼 때마다 아이의 가슴 속 오목한 그곳의 엄마처럼 윤 작가님이 떠오릅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고립'된 마음으로 힘들었던 한 해, 그리고 고즈넉하다 못해 쓸쓸하기까지 한 크리스마스, 외롭다고 하며 힘들어하기보다 자신의 가슴 오목한 곳에 숨어있는 '사랑'을 확인해보는 시간이 되면 어떨까요.

저 역시도 올 한 해 많이 힘들었지만, 그 외롭고 힘들었던 시절의 제 마음 속에는 사랑이 충만하더라고요. 모두가 사랑이 충만한 크리스마스와 연말이 되셨으면 하는 마음에서 <무릎 딱지>를 권해봅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개인 블로그 https://blog.naver.com/cucumberjh에도 실립니다.


무릎딱지

샤를로트 문드리크 (지은이), 올리비에 탈레크 (그림), 이경혜 (옮긴이), 한울림어린이(한울림)(2010)


태그:#무릎 딱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