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바른지역언론연대

관련사진보기


지역사회 "문화재청 할 일 지방에 떠넘기기" 비난여론 거세
'남한강 유역 폐사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에도 '빨간 불'


'흥법사지(興法寺址)'의 국가사적 지정이 또 다시 미뤄졌다. 법천사지, 거돈사지와 함께 강원도 원주시 3대 폐사지 중 하나인 흥법사지의 국가사적 지정이 유보되면서 현재 잠정 중단 상태인 '남한강 유역 폐사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에도 '빨간 불'이 켜졌다.

문화재청은 원주시가 지난 2016년 문화재(사적) 지정을 신청한 흥법사지에 대해 지난 24일 공문을 통해 보완을 요구했다. 현지조사 의견을 들어 '발굴에 의해 조사된 지역을 중심으로 지정구역을 조정하고, 강원도 기념물로 우선 지정해 토지매입과 조사, 학술적 검토를 선행하라'는 주문이다.

보다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한 만큼 일단 강원도기념물로 지정한 후 발굴 조사를 마치고 다시 신청하라는 것이지만 지역 내에서의 반응은 그리 곱지 않다. 2016년 문화재 지정 신청 이후 문화재청이 계속 보완을 요구하며 심의회에 상정조차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강원도기념물로 지정해 토지매입과 조사, 학술적 검토를 선행하라'는 주문에는 지역 향토사학자들을 중심으로 "문화재청이 자신들이 할 일을 지역에 떠넘기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까지 높아지고 있다.

박순조 원주문화원장은 "강원도기념물로 지정해 토지매입과 발굴조사를 하라고 하는데 그럼 문화재청은 도대체 무엇을 하겠다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박 원장은 "지정구역 대부분이 사유지인 상황에서 주민들을 설득해 토지를 매입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수십억 원으로 추산되는 토지매입 및 발굴조사 비용을 강원도와 원주시가 부담하라는 것 역시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흥법사지를 지키고 있는 보물 제463호 ‘진공대사탑비 귀부 및 이수’.
 ▲ 흥법사지를 지키고 있는 보물 제463호 ‘진공대사탑비 귀부 및 이수’.
ⓒ 바른지역언론연대

관련사진보기


박종수 원주역사박물관장은 "국보나 보물 등 건조물의 문화재 지정은 역사성과 더불어 양식과 형식미가 중요하지만 사적은 그 자체가 역사의 현장"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박 관장은 "흥법사지는 고려 태조 왕건과 밀접한 사원으로 문헌자료와 현지에 남아있는 진공대사탑비의 기록으로 역사적 사실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면서 "중심사역 전면에 석축과 중문터가 온전하게 남아있고 2018년 발굴조사를 통해 목탑지 또는, 금당지로 추정되는 유구까지 발견됐는데 더 이상의 근거가 필요한지 의문"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지정면 안창리에 위치한 흥법사지는 신라시대 창건돼 고려시대 융성한 사찰로 남한강 수계에 있는 사적 제168호 거돈사지 및 사적 제466호 법천사지와 함께 원주를 대표하는 3대 폐사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가사적인 거돈사지나 법천사지와는 달리 도 문화재자료 제45호로 지정되어 있어 흥법사지의 역사적 의미나 유존 석조물 등을 고려할 때 격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특히 흥법사지는 국보 제104호인 '전(傳) 흥법사 염거화상탑'을 비롯해 보물 제365호 '진공대사탑 및 부석관', 보물 제463호 '진공대사탑비 귀부 및 이수', 보물 제464호 '흥법사지 삼층석탑' 등 유존 석조물 4점이 모두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곳이다.

이중 전(傳) 흥법사 염거화상탑과 진공대사탑 및 부석관은 1931년 일본인들에 의해 강제로 반출됐다가 경복궁으로 옮겨졌으며, 2005년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이 개소하면서 지금은 경내에 보관하고 있다. 현재 흥법사지 삼층석탑과 진공대사탑비 귀부 및 이수만이 옛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미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거돈사지와 법천사지의 유존 석조물 중 각각 3점과 2점만이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것과 비교해도 흥법사지를 당연히 국가사적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은 이유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원주투데이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원주투데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지역언론연대는 전국 34개 시군구 지역에서 발행되는 풀뿌리 언론 연대모임입니다. 바른 언론을 통한 지방자치, 분권 강화, 지역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활동합니다. 소속사 보기 http://www.bjynews.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