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코로나19로 전에 없던 순간을 매일 마주하고 있습니다. 나를 둘러싼 세계를 통제할 수 없다고 느끼는 요즘,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거대한 기후 위기와 예측할 수 없는 전염병 앞에서, 그저 무력하게 손 놓고 있어야 할까요? 그럴 순 없죠! 우리가 살아갈 지구를 위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작은 실천을 찾아나서려고 합니다. 시민기자가 되어 같이 참여해 주세요. [편집자말]
"아직까지 안면 튼 애를 먹은 적은 없었어."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 나오는 대사다. 어느 날 돌풍과 함께 패러글라이딩 사고로 북한에 불시착한 재벌 상속녀이자 최고의 브랜드 세리스 초이스의 윤세리(손예진 역). 그가 우여곡절 끝에 남한으로 돌아가기 전 친해진 북한군들과 이별 소풍을 떠나는 장면이었다. 

삼시세끼 최고급 고기만을 먹어왔다며 북한에 있는 동안 늘 고기를 달라고 졸랐던 그를 위해 친구들이 특별히 '통돼지 구이'를 준비한 것. 문제는 소풍 목적지까지 통돼지 구이의 재료인 살아 있는 새끼 돼지가 동행했다는 거다. 계곡에 도착해 "이제 돼지 목을 따라우"라는 한 북한군의 말에 그는 펄쩍 뛴다.

"따긴 뭘따? 와인이니! 난 못 먹어. 내가 쟤랑 눈을 몇 번을 마주쳤는데 어떻게 먹어."

'안면 튼 애를 먹은 적 없었다'는 대사는, 이 말을 하던 중에 나왔다. 결국 그는 새끼돼지를 끝까지 옆에서 지켜주었고, 북한군들은 할 수 없이 차가운 개울물에 들어가 물고기를 잡는다.  

그 소들과 안면을 트고 말았다 
 
구례 오산(해발 531m) 사성암에 10여 마리의 소가 찾아왔다.
▲ 사성암을 찾은 소들 구례 오산(해발 531m) 사성암에 10여 마리의 소가 찾아왔다.
ⓒ 사성암 제공

관련사진보기


얼마 전 전남 구례에서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다. 섬진강의 홍수로 위험을 느낀 소 떼는 축사를 탈추해 족히 1시간이 넘는 거리를 걸어, 해발 531m의 사성암까지 도피했다고 한다.  

이 소들이 사성암 대웅전 앞에서 조용히 풀을 뜯으며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뉴스를 통해 보도된 후, 큰 화제가 되었다. 주인과 함께 다시 돌아가면 결국 도축이 될 운명임에도 살기 위해 최선을 다한 소들. 세상에 나는 그 소들과 안면을 트고 말았다. 안심, 등심, 갈빗살에서 '소'라는 한 생명체로 무게 중심이 확 옮겨지는 순간이었다. 

어디 그뿐일까? 올해 박쥐 등 동물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통해 '끔찍한 동물 공장'의 실체를 자주 목격하게 되었다. 올 봄 서산으로 여행 갔을 때, 언덕 위에 자유롭게 풀을 뜯어 먹고 있는 소가 생소했던 기억이 난다. 너무나 당연한 것을 생소하게 느끼고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자본주의적 '동물 사육'에 익숙해졌던 것이다.

각종 패스트푸드점 햄버거의 패티가 어떻게 생산되는지, 닭과 소들이 어떻게 사육되는지 어렴풋이 알면서도 똑바로 보려 하지 않았다. 편안함이 좋아 그저 외면하고 있었다. 그런데 코로나19로 사람이 죽어나가고,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일상이 불편해지자 그제서야 동물들이 느꼈을 고통을 직시하기 시작했다.

홍수를 피해 사찰로 향했던 소 떼들... 사찰에는 사물(四物)이 있다. 법고를 두드려 들짐승을 깨우고, 목어를 두드려 물고기를 깨운다. 운판을 두드려 날짐승을 깨우고 마지막으로 범종을 두드려 인간을 깨우는 불교의식이라고 한다. 

나의 삶만큼이나 소중한 어떤 삶
 
들짐승을 먼저 깨우고, 최상위 포식자 인간을 가장 마지막에 깨우는 감수성에 주목하자… 사물과 관련된 의례적 절차에는 '일체개고'나 '자비'와 관련된 싯다르타의 가르침과, 모든 존재에 대한 발원이 녹아있다. 토끼를 깨우면서 스님은 무의식적으로 발원을 한다. '오늘은 싱싱한 풀을 많이 먹고 독수리를 조심하렴!' 배고픔도 고통이지만, 포식자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도 고통이라는 감수성이다. 그다음에 운판을 두드려 독수리를 깨우며 스님은 발원한다. '오늘을 배곯지 말고, 인간에게 잡히지 않도록 주의하렴!' 독수리도 배고픔과 포획의 고통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자비의 마음이다. 

강신주 작가의 <한 공기의 사랑, 아낌의 인문학>에 나오는 글이다. 결국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생을 유지하기 위해 먹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잡아 먹히지 않았으면 하는 애절함이 느껴진다.  

사찰에서의 식사는 '공양'이라고 한다. 공양을 할 때 중요한 것은 음식을 남기지 않는 것이다. 식사를 모두 마친 후, 물을 부어 김치 등을 이용해 그릇을 깨끗이 설거지하듯 닦은 후 그 물을 모조리 마셔야 한다. 비위가 약한 나는 그 행위가 싫어서 '왜 그럴까'에 대해서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아마도 음식물을 버린 만큼 배고픔의 고통이 빨리 찾아올 것이고, 그만큼 다른 생명체를 죽여야 하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내 아랫배를 한참을 쳐다보았다. 불룩하게 나온 배. 살기 위해 먹은 날보다 쾌락을 위해 먹은 날이 훨씬 많았던 것 같다.  
 
간헐적 채식을 시작했다.
 간헐적 채식을 시작했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SNS를 통해, 초연결된 시대를 살고 있음을 온몸으로 깨닫는 중이다. 우리는 기후의 변화로 얼음이 빠르게 녹아내려 삶의 터전을 잃은 북극곰과 안면을 트기 시작했고, 코로나19 이후 야생동물과도 안면을 텄다. 50일이 넘는 긴 장마를 통해 지구와도 안면을 트게 되었다. 

모든 것이 무상(無常)했다. 꽃이 시들 듯, 언제가 나도 죽는다. 모든 사람이 죽음을 언젠가 맞이하듯, 소도 죽고, 닭도 죽고, 지구도 최후의 날을 맞이할 것이다. 나의 삶만큼이나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이렇게 감상적인 글을 써대고 있지만, 막상 누군가 내가 좋아하는 '한우 물회'를 눈앞에 딱 가져다준다면 나는 조금의 망설임 없이 글을 멈추고 먹을 것이다. 사실 고백하면 몇 달 전 10일에 한 번 '간헐적 육식'을 선포한 적이 있었다. 평소에는 채식을 하다 10일에 한 번만 육식을 먹겠다는 것인데, 당연히 평소에 풀떼기만 먹고 산다고 큰 착각을 해서 쉬울 줄 알았다.

하루, 이틀, 나흘... 불편했다. 내가 먹는 대부분의 음식에는 각종 육식 가공품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제대로 하려면 귀찮고 신경 쓰였다. 그날 이후 나는 바로 '간헐적 채식'으로 바꾸고 실천 중이다. 하나 더, 음식을 남기지 않는다. 최대한 음식물 쓰레기가 나오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다 먹는 중이다. 

마스크 쓴 아이들을 보면 마음이 편치 않다. 일회용품을 줄이려고 노력하지만, 여전히 재활용품 버리는 날이면 플라스틱이 가득하다. 동물과 안면을 트게 되었지만, 삼겹살이나 치킨이 문득문득 먹고 싶다.

그럼에도 '음식물 남기지 않기'와 '간헐적 채식'을 시작으로 조금씩 하나둘씩 불편함을 감수하며 늘려가는 중이다. 세상에 많은 것들과 안면을 틀수록 소중한 것들을 위해 하나둘 익숙했던 몸의 편안함을, 불편한 일상을 통해 마음의 편안함으로 바꾸어 나가는 중이다. 

태그:#코로나19, #기상이후, #작은실천
댓글3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글.그림 .영상 창작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