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포스터

<반도>포스터 ⓒ NEW

 
한국영화 사상 최초의 좀비 블록버스터였던 <부산행>은 어느덧 한류 키워드로 자리 잡은 'K좀비'의 시작점이었다. 그리고 그 세계관을 이어 받은 <반도>가 15일 4년 만에 스크린에 걸렸다. 연상호 감독이 그대로 메가폰을 잡았지만 아쉽게도 전편의 생존자들은 다시 등장하지 않는다. 영화는 공유로부터 바통을 받은 강동원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4년 전, 안타깝게도 K방역에 실패한 한반도는 좀비 바이러스로인해 전대미문의 재난을 맞이하고 단 하루 만에 나라 전체가 폐허가 되고 만다. 어렵사리 탈출한 정석(강동원)은 홍콩에 정착했지만 가족을 잃어 무기력한 삶에 빠지고 만다. 그러던 어느날 피할 수 없는 제안을 받고 매형 철민(김도윤)과 함께 다시 한 번 죽음의 땅 반도에 들어선다. 하지만 좀비는 물론 631부대 황중사(김민재)일행의 공격을 받으며,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지게 된다. 다행히 민정(이정현) 가족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이들과 함께 반도를 탈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잡기로 한다. 

한국 최초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인 <반도>는 재난 좀비물로 그려진 전작 <부산행>과 비교했을 때 '세계관'을 제외하면 거의 다른 작품이다. 등장인물은 물론, 영화의 톤과 메시지 그리고 액션까지 확연히 다른 색깔을 뿜어낸다. 

제일 눈에 띄는 건 바로 액션이다. 기차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펼쳐지는 액션이 강점이었던 <부산행>과 달리 <반도>는 탁 터진 도심에서 펼쳐지는 카체이싱이 영화의 최대 강점이다. 폐허로 변한 도심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총격 장면과 대규모 카체이싱은 가히 압도적이다. 폭주하는 좀비 떼를 밀어버리며 질주하는 추격 장면은 뛰어난 박진감과 훌륭한 볼거리를 선사한다. 

이 영화의 카체이싱은 좀비영화로서 분명 한 걸음 나아간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앞선 다른 영화들의 영향이 적지 않다. 야간에 좀비떼를 차로 돌파하는 장면은 <나는 전설이다>를 떠오르게 하고 후반부의 추격전은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과 오버랩 되기도 한다.
 
 <반도>의 두 주인공 강동원과 이정현

<반도>의 두 주인공 강동원과 이정현 ⓒ NEW


 
한편 이 영화는 묘하게 현시점 대한민국 혹은 전 세계와 맞닿아 있다. 좀비 바이러스와 코로나 바이러스는 다르지만, 바이러스 감염 공포가 극에 달한 시기에 개봉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또 한 가지 특징은 영화에서 주체적인 여성상이 부각된다는 점이다. 반도에 살아남은 인간 군상들을 그리는 과정에서 그 모습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국가 내 가장 남성적인 조직인 군부대는 영화에선 국민을 수호하는 조직이 아니라 약탈자로 변해있다. 이름도 일본의 731부대를 상기시키는 631부대이다. 이 집단은 오로지 남자들로만 구성되어있다. 여성이 존재하지 않는 이 그룹은 인간성을 상실한 채 광기와 야성으로 채워져 있으며 약육강식과 폭력이 일상화된 사회를 구축했다.

이와 반대로 민정을 중심으로 꾸려진 작은 가족구성체는 인간성과 따스함을 유지하고 있다. 그들은 하나같이 사회적 약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정현이 배역을 맡은 민정은 어린 딸(이예린)을 키우는 싱글맘이며, 사단장이라고 불려지는 노인(권해효)은 누군가의 보살핌이 필요한 존재이다.

10대 소녀 '준'은 민정의 첫째 딸로 등장하지만 정황상 양녀로 보인다. 구성원이 대부분 여성인 이 가족은 좀비가 우글거리는 위험한 환경과 남자들의 공격을 피해 서로를 지켜준다. 

이는 <부산행>과 가장 큰 차이점이기도 하다. <부산행>에선 대다수 여성 캐릭터들이 모두 보호의 대상으로 그려졌지만, <반도>에서는 사뭇 다르다. 뛰어난 사격술을 선보이는 민정은 거의 여전사에 가깝고, '준'은 놀라운 드리프트를 구사하는 레이서로 등장한다. 물론 이런 구성은 <부산행>과의 차별화를 꾀하는 데 꽤 효과적으로 작용하지만, 단점도 있다. 바로 보는 내내 <매드맥스 : 분노의 도로>를 자꾸 소환시킨다는 점이다. 

일단 두 영화 모두 폐허가 되어버린 세상을 배경으로, 지배 세력을 피해 지옥을 탈출하려는 여성들의 사투를 그리고 있다. 그리고 주인공은 외부에서 등장해 그녀들의 탈출을 돕는다는 점까지 매우 유사하다. 여기에 앞서 언급한 후반부 카체이싱 장면에 다다르면 <매드맥스>와 비슷하단 느낌이 더욱 강해진다. 

물론 후반부에 신파로 마구 뿌려대며 연상호표 좀비물임을 증명하긴 하지만, <매드맥스>의 색깔을 지우기엔 다소 부족하다. 게다가 일부 개연성 상실과 늘어지는 드라마 구성은 아쉬움을 가중시킨다. 물론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반도>는 한국형 아포칼립스 영화로써 여름 오락 영화로 즐기기엔 손색이 없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구건우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blog.naver.com/zigm)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반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두 아이의 아빠이자 영화 좋아하는 네이버 파워지식iN이며, 2018년에 중소기업 혁신대전에서 대통령상을 받은 보안쟁이 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