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세걸 선생의 트레이드 마크는 '카메라'였다. 늘 묵직한 카메라를 들고 다니며 행사사진 촬영을 도맡았다.
 김세걸 선생의 트레이드 마크는 "카메라"였다. 늘 묵직한 카메라를 들고 다니며 행사사진 촬영을 도맡았다.
ⓒ 김경준

관련사진보기

 
7일 오후 독립운동가 김진성(1914~1961) 선생의 장남 김세걸 선생(72)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다는 비보를 접했다.

믿기 어려운 소식이었다. 어쩌다 독립운동 관련 행사장에서 마주칠 때면 늘 건강한 모습으로 손을 내미는 선생이었다.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젊은이들과 SNS로 소통하고 영문과 중문으로 된 해외 원서들의 번역 작업에 몰두하는 등 최근까지도 왕성하게 활동했던 선생이기에 급작스러운 별세 소식에 황망할 따름이었다.

2년 전 가을 선생을 인터뷰하면서 처음 인연을 맺었다. 당시 선생은 국립서울현충원에 잠든 가짜 독립운동가 집안(김낙용·김병식·김관보·김정수)의 실체를 고발해 그들의 서훈 취소를 끌어냈다. 무려 20년에 걸쳐 국가보훈처와 줄다리기 한 끝에 이뤄낸 쾌거였다(관련기사: 20년 만에 밝혀진 가짜 독립운동가 집안의 진실 http://omn.kr/180fq).

감정이 북받쳐올랐던 선생과의 첫 만남

독립운동가였던 부친에 대한 기억, 어느 날 노래방에 갔다가 반주 화면에 등장한 현충원 묘역 영상에서 부친의 이름을 새긴 묘비명을 발견하고 느꼈던 황당함, 한국으로 건너와 문제의 무덤이 가짜라는 것을 밝혀내기까지의 과정은 한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 같았다.

그동안의 일을 회고하는 선생의 목소리는 담담했지만 정작 선생의 목소리를 기록하던 나는 북받치는 감정을 자제하기가 어려웠다. 선생이 20년 동안 겪은 고초를 감히 다 헤아릴 수가 없었다.

선생은 중국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대령까지 진급하는 등 편안한 삶이 보장된 신분이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명예를 회복하겠다는 신념 하나로 1997년 조국 대한민국으로 귀화했다.

그러나 돌아온 선생에게 조국은 너무나도 가혹했다. 가짜 독립운동가 문제를 제기하는 선생에게 보훈처 공무원들은 '독립운동가 후손으로 인정해주고 귀화시켜줬으면 됐지 뭘 더 요구하느냐'며 핀잔했다고 한다.

기초생활수급비를 받아야 할 정도로 넉넉하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진실을 밝혀내기 위한 투쟁을 멈추지 않은 선생의 이야기를 듣고 이러한 일을 몰랐던 내가 너무 부끄럽게 느껴질 정도였다. 인터뷰 말미에 선생은 힘주어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이 더이상 안 통하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잖아요. 가짜 독립유공자 문제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올바른 해결을 해주었으면 합니다. 현재 현충원에 가짜 독립유공자로 밝혀진 이들이 66기나 된다고 하는데 언제까지 방치할 겁니까. 이런 건 정부가 의지를 갖고 나서야 합니다."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위치한 가짜 독립운동가 김정수의 묘(181번 묘)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위치한 가짜 독립운동가 김정수의 묘(181번 묘)
ⓒ 김경준

관련사진보기

 
선생의 뜻을 이어가겠습니다

인터뷰 당시 선생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라고 수없이 강조했다. 무엇보다 가짜 독립운동가로 밝혀진 김정수의 묘역을 강제 이장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러나 선생은 보훈처로부터 "유족들이 지시를 따르지 않는다고 해서 강제로 파묘할 법적 권한은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기사가 나간 지 2년이 흐른 지금도 김정수는 여전히 애국지사 묘역에 잠들어 있다. 선생은 눈을 감는 순간까지도 가짜 독립운동가가 현충원에서 파헤쳐지는 것을 끝내 보지 못한 것이다.

더욱 아쉽고 원통한 것은 이제야말로 선생의 꿈이 실현될 순간이 머지않았다는 사실이다. 최근 광복회와 민족문제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현충원에 안장된 친일파들을 강제 이장하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광복회에서 제21대 국회의원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친일파 강제이장에 대한 찬·반 설문'에서도 선거에 출마해 당선된 지역구 후보자 73.1%가 찬성의 뜻을 밝혔다고 한다. 이에 따라 새로 구성되는 21대 국회에서 강제 이장을 허용하는 '국립묘지법' 개정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친일파뿐만 아니라 가짜 독립운동가로 판명 난 묘역의 강제 이장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 결실을 보지 못하고 떠난 선생을 생각하면 마음이 무겁고 애달프다. 빈소를 찾아 선생의 영정 앞에 향을 사르며 다짐했다. 선생의 뜻을 이어받아 반드시 현충원에서 친일파와 가짜 독립운동가들을 끌어내겠다고.

빈소를 나오면서 헛헛한 마음에 차영조 선생(독립운동가 차리석 선생 후손)께 전화를 드렸다. '영원한 동지'를 잃은 선생의 목소리에도 슬픔이 짙게 배어있었다. "얼마나 상심이 크시냐"는 나의 위로에 선생께서는 내게 이렇게 당부했다.

"가신 분은 가신 분이고 남은 우리가 뜻을 잘 이어받아 나갑시다."

선생의 영면을 기원하며, 남은 우리의 역할을 생각해본다.
 
'영원한 동지' 차영조 선생(차리석 선생 후손)과 김세걸 선생(김진성 선생 후손)
 "영원한 동지" 차영조 선생(차리석 선생 후손)과 김세걸 선생(김진성 선생 후손)
ⓒ 김경준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고인: 김세걸 (향년 72세 / 독립유공자유족회 상임이사)
빈소: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0호실
발인: 2020년 5월 10일 오전 9시
장지: 서울시립승화원
상주: 처 안보의, 아들 김해남, 김해응


태그:#김세걸, #부고, #독립운동가, #김진성, #현충원
댓글1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한양대 사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한국근대사 전공) / 취미로 전통활쏘기를 수련하고 있습니다. / <어느 대학생의 일본 내 독립운동사적지 탐방기>, <다시 걷는 임정로드>, <무강 문일민 평전>, <활 배웁니다> 등 연재 / 기사 제보는 heigun@naver.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