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재필(1864-1951)
 서재필(1864-1951)
ⓒ 독립기념관

관련사진보기

서재필은 한국에서 실행하고자 했던 개화사상(정책)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위생문제ㆍ여성문제ㆍ교육문제ㆍ치도(治道)ㆍ공공의식ㆍ준법정신ㆍ언문일치 등 국정과 사회 전반에 걸쳐 봉건적 유제를 청산하고 근대적 개혁론을 제기하면서 서양의 선진사상과 문물을 소개하였다. 여기서는 한글전용과 관련해 소개한다.

서재필의 글들은 내용이 혁명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통신수단 자체가 혁명적이었다. 즉 국문을 사용함으로써 피통치계급이었던 백성들, 그리고 여성들에게까지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겠다는 의도는 너무나도 큰 도전이었고 혁명적 행위였다. 왜냐하면 서재필이 지적했듯이 한문전용의 문화는 지식층이 자기들의 지위를 보존하기 위한 수단이었고, 집권계급이 백성을 '압제하기 위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주석 14)
 
서울 광화문에는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동상이 있다.
 서울 광화문에는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동상이 있다.
ⓒ Pixabay

관련사진보기

 
『독립신문』의 한글전용은 가히 혁명적이었다.

세종대왕의 숭고한 한글창제(정신)는 기득층 유생들에 의해 언문으로 냉대받았고 연산군 등 폭군시대에는 심하게 탄압을 받아야 했다.

"『독립신문』의 한글전용은 마르틴 루터가 귀족이나 성직자들의 고급언어인 라틴어로만 읽을 수 있었던 성서를 평민들의 저속한 언어였던 독일어로 번역한 사건에 비유될 수 있다. 실제로 『독립신문』은 한자가 아무나 배울 수 없는 양반과 기득권층의 독점물이며, 새로운 사회는 '상하귀천'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불문하고 모든 국민이 쉽게 소통할 수 있는 하나의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굳은 마음에서 출발했다." (주석 15)

『독립신문』의 한글전용에 대한 인식의 일단을 소개한다.

지금 소위 공부하였다는 사람은 국문을 숭상하기를 좋아 아니할 것이 한문을 공부하였은 즉 그 배운 것을 가지고 남보다 유식한 채 할라니까 만일 국문으로 책과 문적을 만들어 전국 인민이 다 학문있게 되거드면 자기의 유식한 표가 드러나지 아니할까 두려워하고…. (주석 16)
 
독립신문
▲ 서재필 독립신문
ⓒ 송유미

관련사진보기

 
서재필의 한글전용에 대한 의지는 창간호 논설에서 잘 나타난다.

"우리 신문이 한문은 아니 쓰고 다만 국문으로만 쓰는 것은 상하귀천이 다보게 함이라."가 바로 그것이다.

서재필은 국제정세에도 예리한 관찰력을 보여주었다. 일본과 러시아는 1896년 5월 막부의정서의 비밀조약을 조인했다. 조선의 남북분할과 조선을 양국이 갈라서 보호한다는 비밀조약이었다. 서재필은 『독립신문』에서 이를 폭로했다.

서재필이 『독립신문』에서 가장 관심을 갖고 여러 차례 논설을 쓴 부문은 국민의 계몽과 민권의식이었다. 열강들의 침략행위를 규탄하고 이를 국민에게 널리 알림으로써 국민 스스로가 자각하고, 서구 나라들처럼 국민의 선택에 의해 집권자가 결정되는, 민주공화주의를 배양코자 하였다.

"우리가 바라건대 정부에 계신 이들은 몸조심도 하고, 나라가 잘되기를 바라거든 관찰사와 군수들을 자기들이 천거 말고 각 지방 인민으로 하여금 그 지방에서 뽑게 하면 국민간에 유익한 일이 있는 것을 불과 1, 2년 동안이면 가히 알리라." (주석 17) 라고 국민의 직선제를 제창하였다.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발행하고 있을 때 한국을 자주 방문했던 영국 왕립 지질학회 이사벨 버드 비숍은 그의 여행기에 『독립신문』과 관련 내용을 담았다.

관련 신문이 나와 사회의 진상을 가리킴 받자 국민들은 미몽에서 벗어나 관리의 악정과 재판의 부당함에 엄정한 비판을 해서 여론을 일으킬 수 있게 되었다. 신문이 나오자 뒤 컴컴한 부정을 태양 앞에 내세워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합리적인 교육과 정당한 개혁을 장려하며, 인지의 개발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에 부정한 관리와 불량한 관원들은 모두 혀를 내두르면서 놀라며 두려워하였다.

발행자 제이슨(서재필) 박사는 미국에서 교육받은 한국인 신사로 진심ㆍ성의로 그의 조국을 번영시키고자 애쓰고 있다. 신문배달원들이 이 국문신문을 한 아름씩 옆에 끼고 거리를 지나가는 광경과 상점마다 그 신문을 읽고 있는 여러 사람들의 모습은 실로 1896년 이래의 새로운 현상이었다. (주석 18)


주석
14> 이정식, 앞의 책, 204쪽.
15> 서울대 정치학과 독립신문 강독회, 『독립신문 다시 읽기』, 17~18쪽, 푸른역사, 2004.
16> 『독립신문』, 2권 92호.
17> 『독립신문』, 1896년 4월 14일치, 논설.
18> 송건호, 『서재필과 이승만』, 157~158쪽 재인용.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한글운동의 선구자 한힌샘 주시경선생‘]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한힌샘, #한힌샘_주시경, #한글, #서재필, #독립신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