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끝나면 전쟁의 경험담을 들려준 알프레드 H. 멘데스에게 바치는 헌사의 자막이 등장한다. < 1917 > 샘 맨데스 감독의 할아버지다. 어린 시절 샘 멘데스가 본 할아버지는 몇 분에 한 번씩 손을 씻는 강박증을 가지고 계셨다고 한다. 왜 그러실까 의아해 하는 샘에게, 아버지는 전쟁 중 피가 스민 참호의 진흙이 닿았던 그 기억을 평생 씻어내지 못해 그러시는 것이라고 전해준다. 이제 막 성년의 문턱에 들어선 19세 청년이 할아버지가 될 때까지, 평생 씻어내지 못한 전쟁의 기억은 무엇이었을까?

손자 샘 멘데스는 < 1917 >을 통해 인간이 일으키고 그 희생자가 된 전쟁의 참상을 영화로 풀어낸다. 병사들에게 주어진 단 8시간 만을 다뤘지만 장대한 서사였다. 지난 10일(한국 시각) 열린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촬영상과 시각효과상, 음향믹스상 등 3관왕을 수상했으며 제77회 골든글로브에서 작품상과 감독상, 제73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등 7관왕, 제31회 미국프로듀서조합상(PGA) 작품상 수상, 제72회 미국감독조합상(DGA) 감독상 등 유수 영화제에서 상을 휩쓸었다.
 
 영화 < 1917 > 포스터

영화 < 1917 > 포스터 ⓒ CJ엔터테인먼트

 
시신으로 가득찬 전쟁터 

영화는 스코필드와 블레이크 두 병사의 '미션 임파서블' 스토리다. 샘 멘데스 감독이 할아버지에게서 들은 전쟁담에 크리스티 윌슨-케언즈 작가가 살을 붙였다. 그 시작은 나른하게 기대서 졸던 병사 블레이크를 호출한 에린 무어 장군의 명령이다. 

1차 세계대전은 전차, 전투기, 화학무기 등 현대식 무기를 통해 대량의 인명 살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첫 전쟁이었다. 존 키건은 저서 <1차 세계대전사>에서 '인명을 살상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효과적으로 발전한, 그러나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기엔 미흡했던 과학 기술'이라고 표현했다. 뉴욕타임스와 인터뷰한 샘 멘데스 감독의 말처럼 "기관총으로 1000야드(914m)에서 사람을 죽일 수 있지만 불과 20야드(18.288m)에 떨어진 군인과는 교신할 수 없었던" 아이러니한 기술 진보의 상황이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퇴각하는 적군이 그나마 존재하던 통신망을 끊어버렸다. 적군은 퇴각했고, 적군을 쫓던 아군 부대는 이를 틈타 대규모 공습으로 적군의 섬멸을 노린다. 하지만 그 퇴각이 작전 상 의도한 퇴각이라면 어떻게 할까. 그런데 그 사실을 우리 아군 부대에 알릴 방법이 없다. 그 상황에 에린 무어 장군은 '지도를 잘 보고, 동시에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적진을 돌파할 의지'를 가진 병사로 블레이크(딘 찰스 채프먼 분)를 선택한다.

장군의 비밀 메시지를 단 8시간 내에 2대대에 전달하지 않으면, 외려 독일군의 공습에 꼼짝없이 대대 전원이 '몰살'될 수도 있는 상황. 형이 그곳에 있는 블레이크는 장군의 메시지를 들고 달리기 시작한다. 블레이크의 동료라는 이유만으로 함께 차출된 스코필드(조지 맥케이 분)도 함께.

단 한 장면에서도 OST를 넣지 않아, 전장에서 고립된 상황을 실감하게 만든 <덩케르크>와 달리 < 1917 >은 장중한 토마스 뉴먼의 오케스트라 OST와 음향으로 귀를 채운다. 독일군은 떠났다고 하지만 그 정보의 진위조차 의심스러운 상황이다. 두 병사는 어디서 적의 총알이 날라올지 모르는 전장 한가운데서 그저 목적지를 향해 달려야 한다. 이때 음향효과는 관객들을 스릴러나 공포 영화 못지 않은 긴박감으로 몰아넣는다.

또한 여러 번 나눠 찍었지만 원테이크처럼 보이게 만드는 '원 컨티뉴어스 컷(one continuous shot)이란 기술도 8시간 안에 목적지에 도착해야 하는 두 병사의 상황을 실감나게 표현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적, 음향적 성취를 통해 불가능한 작전에 내몰린 두 병사들을 그리는 < 1917 >이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건 바로 '전쟁' 그 자체다. 

당시 참호에는 블레이크처럼 신부가 되고 싶었지만 끼니 걱정 때문에 혹은 국가의 부름으로 자원한 병사들이 넘쳐났다. 1차 대전 당시 민족주의 등의 영향으로 자원군 열풍이 불었다. 심지어 전쟁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린치를 당하기도 하는 사회적 분위기였기에, 젊은 청년들이라면 당연히 군대에 자원하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그렇게 자원한 병사들로 조달된 전장은 우리 영화 <고지전>에서 처럼 한 치의 땅을 빼앗기 위한 연합군과 독일군의 공방으로 이어졌다. "마지막 한 사람이 죽을 때까지 이어질 것만 같은" 길고 지리한 교전과 상대 측의 참호를 빼앗기 위한 일전일퇴가 지속됐다.

<덩케르크>는 내가 전장의 군인이 돼 싸우는 듯한 체감으로 그 무시무시함을 알렸다면, < 1917 >은 목숨을 내놓고 달리는 두 병사들이 길 위에서 만난 무수한 시신들을 통해 전쟁의 상흔을 보여준다. 이 전쟁이 얼마나 많은 목숨을 희생시키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 것을 파괴하고 있는지 말이다.

한때는 싱그러웠을 그들이 철망에 걸려, 발에 치일 정도로 바닥에 널브러져, 퉁퉁 불어 물에 둥둥 떠다니며 죽어 있다. 이는 젊은 목숨을 제물로 삼는 전쟁터의 참상을 그대로 드러내 보인다. 아직도 어머니 농장의 체리를 기억하는 블레이크와 달리, 공을 세워 훈장을 받은 스코필드는 돌아갈 길조차 두려워 한다. 그 태도에서 전장에서 세운 '공'의 허상이 엿보인다.

전쟁이란 이름으로 인간의 문명이 인간을 어떻게 낭비하고 소모하는지, 영화는 러닝 타임 내내 진득하게 화면 가득히 채운다. 
 
 영화 < 1917 >의 한 장면

영화 < 1917 >의 한 장면 ⓒ CJ엔터테인먼트

 
병사는 누구를 위하여 달리나

발에 채이는 시신들, 독일군이 남긴 부비 트랩 혹은 함께 퇴각하지 못한 독일 패잔병들의 총구​​, 지도조차 무력해져 버린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병사들은 자신의 목숨을 걸고 계속 뛴다. 시작은 명령이었고, 그 명령의 당위는 내 피붙이와 피붙이같은 1600명(공교롭게도 1차 세계대전 전사자를 연상케 하는) 대대원들의 목숨이다. 그들이 이 길에 나뒹구는 시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병사들은 달린다. 보급품이나 받을 줄 알고, 동료가 불러서 아무 생각 없이 시작된 행보는 목숨을 던진 고행길이 된다.

하지만 < 1917 >은 그들의 헌신을 전쟁 영웅담 대신 휴머니즘이라는 갈래로 끌어들인다. 인간이 인간을 위하는 행위의 그 본원을 짚는 것이다. 막연한 애국심이나, 민족주의라는 추상적 명제 대신, '내 혈육과 혈육같은 사람들을 위해서'라는 손에 잡힐 듯한 구체적인 이유로 구현된다. 그리고 이는 절박하게 내달렸으나 완수하지 못한 동료의 의지마저 사명감으로 부여안으며 절박함에 박차를 가한다.

전쟁터의 '휴머니즘'이란 결국 죽지 않는 것이다. 병사들을 죽지 않도록 하는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들이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아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내 혈육이, 우리 병사들이 죽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군은 퇴각을 명령했다. 그리고 중령은 공습을 감행하고자 했고, 병사는 목숨을 던져 달려 내 혈육과 동료 병사들의 목숨을 구했다. 하지만 그 전쟁은 1600만 명 젊은이들의 목숨을 제물로 바치고서야 끝났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1917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