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에는 영화 <굿 라이어>의 주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굿 라이어

굿 라이어 ⓒ 워너브라더스 코리아

 
헬렌 미렌과 이안 맥켈런, 이 노익장 배우 두 사람이 주연으로 만났다는 사실만으로도 <굿 라이어>는 봐야할 가치가 있다. 그런데 감독이 다름 아닌 빌 콘돈이라면?
 
빌 콘돈 감독과 헬렌 미렌, 이안 맥켈런이 함께 했다고 하니, 과연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도무지 예측이 안 된다. 그도 그럴 것이 그에게 골든 라즈베리 최악의 작품상을 안긴 <브레이킹 던(2012)>에서부터 골든 글로브 작품상을 안긴 <드림걸즈(2007)>, 그리고 <미녀와 야수(2017)>까지 빌 콘돈의 작품 세계는 그간 종횡무진했기 때문. 그 중에는 이안 맥켈런과 노년의 홈즈를 그려낸 <미스터 홈즈(2016)>도 있다.
 
한 사람이 '평생에 걸쳐 씻을 수 없는 죄를 지었다'고 이야기할 때, 과연 그건 어떤 일일까? 아니 그 반대로 한 사람이 평생에 걸쳐 포기할 수 없는 복수란? 80대 노익장 두 배우의 깊이 있는 열연이 담긴 영화 <굿 라이어>를 보고 나면 도달하게 되는 질문이다. 그리고 그 질문은 이제는 주름이 자글자글한 노인들이 아직 세상을 모르던 10대의 시절로 관객을 이끈다. 
 
2차 대전 시기의 독일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흔히 나치와 홀로코스트를 주제로 삼는 것과 달리 <굿 라이어>는 전쟁에 휩쓸린 독일에서 살아가던 10대의 소년과 소녀의 비극적 삶을 조명했다.
 
<폭풍의 언덕> 속 히스클리프는 자신을 '모멸'하는 주인의 아들 힌들리에게 2대에 걸쳐 처절한 보복을 한다. 이제 막 '자아'를 형성해 가는 성장기의 청소년에게 '인격적 모욕'은 평생의 '트라우마'와도 같다. <폭풍의 언덕>만이 아니라 많은 소설들이 그런 '소년'의 엇나간 자존심을 문학적 주제로 삼았다. 그리고 여기, 또 한 명의 소년이 있다. 
 
 굿 라이어

굿 라이어 ⓒ 워너브라더스 코리아


겨우 15살 나이에 부유한 사업가 집안의 딸에게 영어를 가르칠 만큼 똑똑했던 한스지만, 그는 가진 것이 없다. 예쁜 옷을 입어도 전쟁통이라 갈 무도회가 없는 사업가의 딸들은 자신들의 눈에 띈 한스를 상대로 춤판을 벌이지만 '하인' 같은 한스의 도발적인 키스는 감히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상처받은 소년의 치기는 자신을 흠모하는 제자이자 막내 딸 릴리에 대한 '잊을 수 없는' 생채기를 낸다. 그리고 그날로 소년의 밥줄은 끊긴다.  
 
그게 시작이었다. 자신의 영어 선생님이었던 소년을 흠모했지만, 그 흠모의 대가로 씻을 수 없는 성폭력과 그에 이은 상처 입은 자존심을 끝내 참지 못한 소년의 '밀고'로 인해 부유했던 가정이 한 순간에 무너져 내리며 한 소녀의 삶이 땅바닥에 처박힌 것은. 그래서 온통 흰 머리가 된 2009년에 이르기까지 한 사람을 용서할 수 없게 된 것이. 소녀는 '내가 먼저 나가서 선생님을 맞이했다면 어땠을까'라고 오랜 시간동안 되물었지만, 더는 하얀 백합과 같은 소녀의 순결함도, 고결함도 지켜낼 수 없었다. 
 
동시에 그건 흔히 영어에서 '상습적인 거짓말쟁이'를 지칭하는 '라이어(liar)'의 시작이기도 했다. 자신이 가질 수 없는 것을 어떻게 무너뜨려야 하는지를 배운 소년은 이후 자신을 영국인으로 거뜬히 '위조'했다. 15살 소년이 영국인 '로이'가 되어 쌓아간 삶의 방식은 해를 거듭할수록 '업그레이드'됐다. 노년이 된 그는 30억이 넘는 재산을 모은 '프로페셔널한 라이어'가 되어 있었다. 영화는 명확하게 그려내지 않았지만 한스라는 인물이 사기꾼 로이로 살아내기 위해 자신의 고국 독일에서 '전범'의 역할 마다하지 않았음을 드러내 보인다. 굳이 '홀로코스트'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전쟁통에서 사람이 자신의 생존과 편의를 위해 어떻게 '악'과 손을 잡게 되는가를 설득력 있게 그려낸다. 
  
 굿 라이어

굿 라이어 ⓒ 워너브라더스 코리아

 
그는 그렇게 살아왔다. 15살 자신에게 '모멸감'을 안겨주었던 릴리네 집안을 파멸시키듯이, 노인이 되어서도 자신이 하는 일에 걸림돌이 된다면 그 누구라도 짓이겨버리고, 머리통을 낚아채 달려오는 지하철로 던져버리는 등 장애물을 없애며 살아왔다.
 
영화 이끌어가는 건 남편과 사별한 전직 스포드 교수 베티를 상대로 한 로이의 사기 한 판이다. 동시에 로이는 부동산 사기 한 판을 벌이고 있다. 로이를 비롯해 총 4명의 사기꾼들은  러시아 투자자를 상대로 한 '투자사기'를 준비한다. 엎어질 뻔 한 판이 우여곡절 끝에 가까스로 수습되고, 일이 순조롭게 끝날 것이란 기쁨에 러시아 투자자를 덥석 안았는데, 그의 등에서 도청장치가 발견된다. 동시에 경찰이 들이닥치고 로이는 순간 심장마비가 온 듯 쓰러지고 만다. 이렇게 이야기가 끝나는가 싶었는데, 이후 '반전'이라 볼 만한 상황이 전개된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속고 다시 속이는 이야기는 이 사건 이후 로이와 베티의 관계에서도 고스란히 되풀이된다. 단지 그 '설계자'가 '로이'가 아니라는 것만 빼면. 아니 애초에 가장 결정적인 '스포'는 제목 <굿 라이어>이다. '라이어'라는 말이 그냥 우리나라의 '거짓말쟁이' 정도가 아니라 queen의 노래 'liar' 가사  내용처럼 밥먹듯이 거짓말을 하는 욕에 가까운 명칭이다. 그런데 그런 'liar'가 Good하다니... 언뜻 보면 노회한 사기꾼인 로이를 지칭하는 단어 같지만, 영화를 다 보고 나올 때쯤에는 그런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영화는 마치 게임처럼 두 주인공의 '거짓말'을 둘러싼 치명적인 스릴러같지만, 그 '거짓말' 게임의 궁극에서 만나게 되는 건 '전쟁' 속에서 피폐해지고 상흔에 너덜너덜해진 '인간성 말살'의 표상들이다. 두 배우의 무게감만큼 이야기가 전해주는 역사적 울림이 깊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굿 라이어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