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독도문화심기운동'에 매진해온 이종상 화백
 "독도문화심기운동"에 매진해온 이종상 화백
ⓒ 종로구청

관련사진보기

 
(1편에서 이어집니다)(http://omn.kr/1k6ix)

그는 고구려문화지키기 운동 본부장으로 활약하며 40여 년이 넘도록 고구려벽화를 연구해왔고, 1977년 화가로서는 최초로 '독도진경 개인전'을 갖고, '독도문화심기운동'에 매진해왔다. 독도에 대해 사람들이 관심을 갖기 훨씬 이전부터 독도가 가진 문화적 상징성을 깨닫고, 그림을 통해 이를 세계인에게 전하고 싶었던 까닭이다. 그가 그려낸 독도 그림만 해도 600여 점이 넘을 정도이니, 독도를 향한 그의 지고지순한 사랑이 일시에 읽혀지는 대목이라 하겠다.

그는 강인한 붓의 힘으로 우리의 역사의 가치와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그것이 전 세계에 확실한 메시지로 전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그의 작품이 예술적 가치 이상의 것을 지닐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우리 민족이 과거부터 이어온 혼과 얼은 그의 작품 속에서 현재성을 획득한다. 도쿄의 신주쿠 화랑에서 '독도 수묵화'를 담은 최고급 실크 스카프를 판매해 일본 여성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은 데 이어, 독도 작품을 넣어 만든 기념품이 국제행사 시에 국빈들에게 선물하는 주요 문화상품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이유와 맥을 같이 한다.
 
지난 2011년 서울 서초동 한전안트센터 갤러리에서 열린 '독도를 그리다' 전에 출품한 이종상 화백의 <풍우독도>.
 지난 2011년 서울 서초동 한전안트센터 갤러리에서 열린 "독도를 그리다" 전에 출품한 이종상 화백의 <풍우독도>.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세계로 메시지를 전해온 그의 활동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1997년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카루젤 샤를르 5세홀에서 외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초대개인전을 연 것이다. 세로 6m에, 가로 71m의 대형 벽화인 <마리산>이란 작품에 프랑스 함대가 쳐들어왔던 병인양요의 장소인 강화도를 그려 한국과 프랑스 간의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를 담아내 많은 찬사를 받았다.

이 작품은 세 차례나 해를 넘기며 앙코르 요청은 받은 것은 물론이고, 총 127만여  명이 관람하면서 폭발적인 화제를 모았다. 이에 루브르 박물관 측은 그의 설치벽화를 영구전시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그는 '외규장각 도서를 돌려 달라'는 조건을 걸면서 팽팽히 맞섰다. 그렇지 않고서는 억만금을 줘도 작품을 팔지 않고 철수하겠노라는 그의 말을 결국 지켰다. 한국 작가의 문화적 자존심을 사수하겠다는 그의 결연한 결심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일화라 할 수 있다. 

화폐영정 안에 영혼을 담다
  
이종상 화백
 이종상 화백
ⓒ 종로구청

관련사진보기


고구려 문화에 대한 오랜 연구와 남다른 집념은 그가 국내를 대표하는 영정화가로서 우뚝 선 기반이 되어 주었다. 1977년에 맡아 그린 광개토대왕의 국가 표준영정도 그의 오랜 노력이 빛을 발한 결과물이었다.

그 이후로 신라의 승려인 원효대사의 표준영정을 그려내기 위해 동국대 대학원에 들어가, 그의 대표 사상인 기신론을 공부해 철학박사 학위를 받기도 했다. 그의 그림에 인물의 혼이 담겨 있다는 평가가 따르는 것은 본질과 깊이를 담고자 하는 그의 세계관이 그림 안에서 읽혀지기 때문이다. 그렇게 영정화의 전문가로 일컬어지면서 1977년 5000원권 지폐의 도안이 바뀌는 시기에 처음으로 화폐영정 제작을 담당하게 된다.

본래는 순종 어진을 그린 조선의 마지막 화원 이당(以堂) 김은호(1892~1979) 선생이 그리기로 되어 있었으나, 김 선생이 병환으로 그릴 수 없게 되면서 그를 추천한 덕분이었다. 통상 원로들이 맡았던 화폐영정 제작을 불과 서른일곱 살의 청년 작가가 맡았으니, 당시에는 일대 사건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 이후 꼭 31년이 지난 뒤에는 5만 원권 지폐의 신사임당 화폐영정 제작을 맡으면서 모자(母子)를 그린 화가로 다시금 유명세를 치른다.

"신사임당을 그리면서 어머니를 생각했어요. 귀하게 자라신 분이 저희를 위해서 광주리장사를 하시며 고생하셨던 그때를 떠올렸죠. 우리나라 최고액 권에 신사임당이 들어갔다는 사실을 자랑스러워해야 해요. 보통 화폐에 여자가 들어가려면, 엘리자베스 여왕이나 열사 잔다르크 같은 인물이 아니면 힘들거든요. 외국에서는 존경스럽다고들 해요. 얼마나 문화적인 국민이기에 자식들을 잘 기르고, 자기 세계를 잘 이뤄낸 여류화가를 고액권에 넣느냐고요. 신사임당의 영정을 넣기로 결정했다는 걸 듣고, '우리가 진정 문화민족이구나!' 하는 긍지를 느꼈죠."

화폐작가는 단순히 그림만 잘 그려서 되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 살아온 이력과 금전관계, 친인척 재산까지 모두 조사하는 까다로운 심사 기준을 거친 뒤에 선정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록 화폐영정을 그렸지만, 그가 청빈한 생활을 추구하는 것도 화폐작가로서의 책임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1000원권을 그리신 운보 김기창 선생님이 그러셨어요. 너의 마음이 곧 돈의 마음이라고요. 사람들은 돈에 마음이 없는 줄 알지만, 돈에도 마음이 있고, 천리안이 있어 아무나 따라가지 않는다셨죠. 무생물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는 거예요. 인물이 그려져 있고, 그걸 그린 화가가 있거든요. 그러니까 영혼이 있다고 생각해야 해요. 물욕만 앞선 사람에게는 절대 돈이 따라가지 않아요."

이 화백은 '일랑(一浪)'이라는 호처럼, 작품을 통해 우리 사회에 큰 물결을 일으키면서, 한국 현대미술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고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여해왔다. 그의 작품에 담겨 있는 깊이 있는 가치와 세계관이 많은 이들에게 전해져 우리의 역사와 미래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태그:#종로의 기록, 우리동네 예술가, #이종상 화백, #종로문화재단, #종로구청, #종로예술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예술 프로그램 및 문화예술인에 관련된 글을 기고합니다. 취재, 인터뷰, 리뷰기사 관련해서는 koreatheatre@naver.com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사람'이 '좋은 기자'가 된다고 믿습니다. 오마이뉴스 정치부에디터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