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윤석이 감독 김윤석이 되었다. 그의 첫 연출 작품이 <미성년>이다. 아마도 김윤석 배우에 대한 관심이 있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배우가 오랫동안 감독에 대한 꿈을 꾸어 왔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미성년>은 반가운 영화다. 누군가의 오랜 꿈이 이루어진 현장이니까. 나이가 들어 퇴색되고 무뎌지지 않음을 보는 것만으로도 미쁘다.

하지만 <미성년>은 그저 배우 김윤석의 첫 감독 데뷔 영화라는 측면에서만 반가운 것이 아니다. 모처럼 우리 인간에 대한 넉넉한 시선을 풀어놓은 영화라는 측면에서 반갑다. 마치 하루 종일 격식에 맞춰 정장을 입고 있다가 집에 돌아와 무릎 툭 튀어나온 낡은 츄리닝을 입고 퍼질러 앉아 기지개를 펴는 느낌이랄까. 이렇게 편하게 나, 우리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를 보는게 참 오랜만이란 생각이 든다. 
 
 영화 <미성년> 포스터

영화 <미성년> 포스터 ⓒ (주)쇼박스

  
어른의 딜레마 

'엄마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다', 흔히 부모님들이 하는 말씀이다. 그 말의 전제는 어른의 말씀은 옳다라는 것이다. 어른은 믿을 만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미성년>은 그 어른에 대해 질문한다. '과연 그들은 늘 옳은가'라고. 

그리고 '옳지 않을 수도 있는 어른'에 대해 영화는 가장 흔하고도 속된 주제 '불륜'을 들고 나온다. 극 중 대원(김윤석 분)은 이 땅 어디에서나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아재'다. 그런데 대원에겐 비밀이 있다. 본인만 비밀이라고 생각하고 남들은 다 알아버린 비밀, 바로 미희(김소진 분)와 불륜에 빠졌다는 것이다. 그 사실을 알아버린 딸 주리(김혜준 분)가 미희의 가게 주변에서 기웃거리다 미희와 미희의 딸 윤아(박세진 분)에게 틀키고, 그 바람에 아내 영주(염정아 분)까지 사실을 알아버렸다.

아니, 어쩌면 타이밍의 차이일 뿐일지도 모른다. 이미 아내와 각 방을 쓴 지 2년이 넘었고, 하루가 다르게 피폐해져가는 아내의 얼굴을 제대로 쳐다보지도 않는 대원의 바람은 그야말로 시간 문제인 듯 보인다. 그것보다 하루가 다르게 불러오는 미희의 배는 어떻고. 게다가 회식 장소를 두고 미희가 운영하는 "오리집으로 할까요" 하며 빙글거리는 직원을 보니 정말 대원의 불륜을 모두가 알고 있던 걸로 보인다. 

'혹' 해서는 안될 '미혹'의 나이에, 아내와 딸이 있는 가장의 바람은 동심원을 그리며 여파가 점점 더 커져만 간다. 세상에서 제일 예쁜 딸도 알고, 아내도 알게 되어버린 대원의 불륜. 심지어 미희가 아이를 조산한 대책없는 상황에서 대원은 그만 멀리 도망가버린다. 그가 미희와 시작했던 '사랑인지 바람인지' 모를 관계에서 고려치 않았던 결과들이다. 미희 말대로 '맘대로 되지 않는 바람'이라서 그런 걸까. '책임'이란 말, 어른이라는 말은 대원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는 듯하다. 

대책없는 대원의 '불장난'. 어쩌자고 남의 집 남편의 아이까지 가졌냐며 다그치는 딸에게 외려 너라도 엄마를 좀 이해해 주면 안되겠냐며 울음을 터트리는 미희. 돈만 쥐면 도박판으로 달려가는 남편 대신 열 일곱에 딸을 키우며 오리집을 운영하면서 살아가는 미희의 삶을 들여다 보니 그녀가 뒤늦게 매달린 사랑이 어쩐지 짠하다. 하지만 그래도 그들의 모습이 어른스럽지는 않다. 
 
 영화 <미성년> 포스터

영화 <미성년> 포스터 ⓒ (주)쇼박스

  
대책없는 두 사람으로 인해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사람은 영주다. 여전히 딸 주리 앞에서 흐트러지지 않은 모습을 보이려고 하지만 그 허울은 얇다. 더구나 미희의 조산 앞에 그녀의 자존심마저 약해진다. 그녀를 더욱 약하게 만드는 건 그녀가 자신의 이름으로 된 통장 하나 없이 지켜왔다고 생각하는 가정, 그리고 남편인지 웬수인지 모를 대원이다.

<미성년> 속 어른들은 각자 무얼 어쩌지 못하는 처지에 놓인다. 어른답지 못한 일을 저지르고, 그 저지른 일에 대해 책임지는 대신 주춤주춤 뒤로 물러서거나 방임한다. 책임조차도 어쩌면 상대방에 대한 배려보다는 내 마음이 먼저일지도 모른다.

그런데도 이들은 그 와중에 자신이 어른이라며 아이들을 자신들이 저지른 일에서 저만치 밀어낸다. 즉 <미성년> 속 어른들의 상태는 바로 어른 그 자체의 '딜레마'다. 책임질 수도, 책임 지지도 못할 상황에 놓여버린 어른의 삶. 그건 어쩌면 도덕이라는 교집합으로는 쉬이 메꿀 수 없는 비합리적이고 모순적인 삶 자체일지도 모른다. 

어른이라고 하기엔 깜냥 자체가 미달인 어른들의 이야기. 이를 통해 영화는 어른이라는 우리의 고정 관념에 질문을 던진다. 당신들이 짊어지고 사는 어른이라는 게 정말 어른스러운 것 맞느냐고. 우리가 만들어 놓은 어른이라는 것의 정체가 허상이 아니었냐고. 
 
 영화 <미성년> 포스터

영화 <미성년> 포스터 ⓒ (주)쇼박스

 
어른보다 책임감 보이는 아이들

어른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맞은 편에 정작 자신들의 문제에 대해 '대략 난감'인 아이들이 있다. <미성년>은 극 중 어른들보다 더 어른스러운 아이들을 내세운다. 공부의 세상 속에 밀어넣으며 아이들의 문제조차도 해결해 주겠다는 어른들의 세계에 기꺼이 책임감을 가지고 발을 밀어넣는 아이들. 

어찌어찌해서 아빠의 불륜 사실을 알게 된 딸 주리는 흔히 드라마가 설정하듯 철부지 딸의 캐릭터 대신에 어른스럽게 그 사실을 알게 돼 충격을 받을 엄마를 걱정하고 수습하려 애쓴다. 미희의 딸 윤아는 어떤가. 대책 없는 엄마를 다그치면서도 어떻게든 그 사태로 인해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자신의 주머니를 털고 파탄난 가정을 봉합해보려 아버지를 찾아나선다. 심지어 그 사태로 인해 등장한 동생을 들여다 보며 책임지려 하며.
 
 영화 <미성년> 스틸컷

영화 <미성년> 스틸컷 ⓒ (주)쇼박스

  
구멍난 가족의 틈을 메우려 애쓰는 아이들. 어른들이 방기한 책임의 세계에 자신을 기꺼이 들이미는 아이들. 그렇게 <미성년>은 우리 사회가 가진 또 다른 고정 관념, '철없고 대책없는 아이들'이란 세계에 다른 해석을 제시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어른의 세계를 책임지기에 아이들은 아직 역부족이다. 영화의 엔딩처럼 아이들은 어른스러우려 하지만 아직 아이들일 뿐이다. 어쩌면 아이들이기에 어른들의 그 심각한 사태에 웃을 수 있고, 엉뚱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건지도 모른다. 

<미성년>은 그렇게 어른스럽지 못한 어른들과 어른스러운 아이들을 통해 '어른'의 경계를 해체한다. 어른됨의 버거움을 피력하고, 어른됨의 난센스를 드러내며, 애초에 우리 사회가 불문율처럼 정의한 '어른'이라는 존재 자체에 의문을 표한다.

반면 아이들은 어른들이 생각하듯 그렇게 철딱서니 없지도 않고 생각이 없지도 않다. 결국 <미성년>을 통해 알 수 있는 건 어른스럽지 못한 어른과 어른다운 아이 그 흐트러진 경계를 통해 이 사회가 강력하게 선을 그어 놓은 '어른'과 아이'라는 선이 어쩌면 불분명하다는 것을 드러낸다. 
 
 영화 <미성년> 스틸컷

영화 <미성년> 스틸컷 ⓒ (주)쇼박스

  
찌질하고 대책없는 대원과 미희는 자신의 감정조차 추스리기 힘들어 보인다. 이들을 보다 보면 한참 모자란 찌질이들을 마주하듯 실소가 흘러나온다. 미희와 대원이 해맑게 웃으며 사진을 찍었던 낡은 놀이 공원을 찾은 아이들의 미소처럼.

결국 <미성년>이 도달한 곳은 기성세대의 모자람에 대한 인정이요, 이미 늘어진 고무줄 같은 어른의 세계에 대한 '관용적 이해'다. 그리고 그건 지금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괴물 같은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여유'의 틈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미성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