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산업을 장악하고 있는 대기업 CJ, 롯데, 메가박스

영화산업을 장악하고 있는 대기업 CJ, 롯데, 메가박스 ⓒ CJ,롯데,메가박스

 
대기업의 영화산업 독점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관객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작 영화의 스크린독과점에 대해 상당수 관객이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규제하는 것에도 긍정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영화 반독과점 공대위 준비모임이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3월 15~16일 양일간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다. 최근 1년에 영화관에서 영화관람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전국 기준)를 대상으로 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독립예술영화에 관심이 있지만 상영관이 부족해 접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고, 멀티플렉스극장으로 하여금 예술·독립영화 전용관을 지정·상영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도 호의적인 반응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고위공직자를 지낸 인사가 대기업의 사외이사 등 고위직으로 취업하는 것, 그 인사가 부정적 퇴직 후 다시 장관이나 차관으로 임명됐을 때 공정하고 공익에 맞게 일할 수 있다는 질문에도 부정적 시선이 강했다. 최근 문체부 장관 후보로 내정된 박양우에 대한 관객들의 인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화산업 대기업 규제에 절대 다수 공감
 
시간이 안 맞거나 상영 종료로 영화를 못 본 경험 영화 관객의 절반 가까이가 상영시간이 안 맞거나 상영 종료로 영화를 못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시간이 안 맞거나 상영 종료로 영화를 못 본 경험 영화 관객의 절반 가까이가 상영시간이 안 맞거나 상영 종료로 영화를 못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리얼미터

 
2019년 '한국 영화산업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이번 여론조사는 요즘 관객들이 영화산업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1년 평균 관람횟수가 세계 최고 수준(약 6편)인 한국 관객들이 영화산업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있음이 드러난 것. 

우선 영화 소비 실태를 보면 절대다수의 관객은 영화를 보러 가기 전에 관람 영화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응답자 10명 중 9명이 영화관에 가기 전에 영화를 선택한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는데, 50~60대에서는 극장에 가서 영화를 고른다는 답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영화관에 갔을 때 보고자 했던 영화의 상영 시간이 맞지 않거나 상영이 종료되어 해당 영화의 관람을 포기한 경험을 물어본 결과, '없음' 응답이 54.5%, '있음' 응답이 45.5%로 집계됐다. 절반에 가까운 관객들이 보고 싶었던 영화를 못 보고 돌아간 셈이다. 특히 20~30대에서는 절반이 넘는 인원이 '있다'는 응답을 내놔, '없다'는 응답이 절반 이상인 40대 이상과 대비됐다. 연평균 관람횟수가 많고 독립예술영화에 관심 있는 관객들 역시 원하는 영화를 못 본 경우가 다수였다.
 
 
대형 영화들의 스크린 독점에 대한 관객 반응 대형 영화들의 스크린 독점에 대해 관객들 절대 다수가 독점이라고 응답했다.

▲ 대형 영화들의 스크린 독점에 대한 관객 반응 대형 영화들의 스크린 독점에 대해 관객들 절대 다수가 독점이라고 응답했다. ⓒ 리얼미터

 
대형영화 스크린 독점 여부에 대해서는 '독점적'이라는 응답이 81.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독점적이지 않다'는 응답은 18.7%에 그쳤다. 모든 연령, 지역, 성 등에서 '독점적' 응답이 다수이거나 우세했다. 특히 50대 이하,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 여성, 영화관람 횟수가 5번 이상인 경우가 '독점적'이라고 응답했다.

스크린 독과점의 영화선택권 침해 경험에 대해서도 '있다'가 71%로 '없다'로 응답한 29.0%보다 2배 이상 높았다. 60대 이상에서만 '있다'와 '없다'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 때문인 듯 멀티플렉스극장이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도록 스크린 독과점 방지법 등 제도적 규제에 대해 응답자의 75.8%가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6.2%였고, '잘 모름'은8.0%였다.
 
스크린독과점 규제 동의 여부  스크린독과점을 제도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데 대해 여론조사 응답자의 절대다수가 동의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 스크린독과점 규제 동의 여부 스크린독과점을 제도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데 대해 여론조사 응답자의 절대다수가 동의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 리얼미터

 
CJ, 롯데, 메가박스 등 3대 대기업 계열 영화관이 전체 스크린의 92%를 차지하고, 한국영화 배급의 60% 안팎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는 응답도 71%에 달했다. 특히 20~30대와 영화 관람횟수가 10번 이상인 경우는 80%가 '알고 있다'로 답했다. 60대 이상에서도 '알고 있다'가 절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인식이 바탕인 듯 대기업 3사 상영·배급 겸업 금지에는 '찬성'이 68%로, '반대' 인 15%보다 크게 앞섰다. '잘 모름'은 16.3%였다. 영화 관람횟수가 5~9번 이하인 경우와 독립·예술영화에 관심 있는 응답자의 70% 이상이 규제에 찬성하는 쪽이었다.

대기업 출신 고위공직자 중립적 업무 못할 것

독립·예술영화 관심 유무에 대해서는 응답자 83%가 '관심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응답자 71%는 독립·예술영화를 관람하고 싶으나 가까운 곳에 상영하는 영화관이 없어 불편을 겪었다고 답해 독립·예술영화의 접근성 문제를 지적했다.

이 때문인 듯 멀티플렉스극장으로 하여금 독립·예술영화 전용관을 지정·상영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의 81.2%가 '찬성한다'는 응답을 나타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객들도 독립·예술영화를 볼 수 있는 조건이 개선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기업 상영관의 '상영 취소·변경 또는 광고상영'의 불편 경험 여부에 대해서도 불편함을 느꼈다는 응답이 약간 우세했다. '불편함이 있었다'는 응답이 54.6%였고 '없었다'는 응답은 45.4%로 큰 차이는 없었지만, 오차범위 밖이었다.
   
 CJ 사외이사를 지내다가 최근 문체부 장관 후보가 된 박양우 내정자에 대해 관객들 상당수는 부적절하다는 의사를 표했다.

CJ 사외이사를 지내다가 최근 문체부 장관 후보가 된 박양우 내정자에 대해 관객들 상당수는 부적절하다는 의사를 표했다. ⓒ 리얼미터

 
또한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은 대기업 3사의 영화관람료 인상이 담합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합이 아니다'는 응답은 8.9%로 낮게 나타났고 '잘 모름'은 10.6%였다.

고위공직자가 공직을 마친 후 재직 시에 관리·감독하던 기업에 취업하여 사외이사나 고위직을 맡는 것에 대해선 부정적 의견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설문지엔 'CJ 사외이사를 맡고 있는 고위공직자 출신이 최근 신임 문화체육부 장관으로 내정되어 청문회를 앞두고 있다'며 사실상 박양우 내정자에 대한 생각을 묻는 식이었다. 이에 응답자의 82.8%가 '문제 있다'고 답했고, '문제 없다'는 답은 9.4%였으며, '잘 모르겠다'는 답은 7.8%였다.

고위공직자가 퇴직 후 대기업에서 근무하고 다시 장관이나 차관으로 임명될 경우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역시 '불가능'이라는 응답이 66.3%로 다수를 차지했다. 중립적 업무가 '가능'하다는 응답은 25.0%였고, '잘 모름'은 8.7%였다. 모든 연령과 지역, 성별에 관계 없이 '불가능' 응답이 대다수거나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고, 20대와 40대, 영화 관람횟수가 10번 이상인 경우에는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70% 이상으로 높게 조사됐다.

   
박양우 문체부 장관 내정자 문체부 차관을 지낸후 CJ 사외이사를 맡고 있다가 문체부 장관에 내정됐다.

▲ 박양우 문체부 장관 내정자 문체부 차관을 지낸후 CJ 사외이사를 맡고 있다가 문체부 장관에 내정됐다. ⓒ 문체부


이번 여론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 ±3.0%p이며, 응답률 8.7% (총 통화 1만 1895명 중 1035명 응답 완료) 표본 구성은 무선 80%, 유선 20%로 인구비례 할당 후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이뤄졌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방식을 조사했고, 2019년 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가 부여됐다.
여론조사 영화산업 대기업 규제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