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도대체 마을교육공동체는 무엇인가요?",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파트너로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요?", "마을교육공동체가 선생님들에게는 또 다른 업무로서 다가올 수 있는데 어떤 혜택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학부모 및 지역주민들 역시 저녁 없는 삶에 지역사회의 여러 활동에 치이는데 참여의 여력이 있을까요?"
 
지난 1월 24일에서 25일 무주에서 열린 첫 번째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워크숍에서 나온 다양한 질문들이다. 작년 12월 15일 창립총회를 연 마을교육공동체포럼은 학교와 지역, 민과 관이 함께 모여 마을교육공동체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공부하며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네트워크와 플랫폼을 제안했다. 그 첫 번째 공론장이 전라북도무주교육지원청과의 공동 주최 속에 열렸다.
 
무주에서 첫번째 마을교육공동체포럼이 열려 전국적으로 180명의 관계자가 모였다.
 무주에서 첫번째 마을교육공동체포럼이 열려 전국적으로 180명의 관계자가 모였다.
ⓒ 마을교육공동체포럼

관련사진보기

 
우수 사례 공유를 넘어 고민과 과제 논의의 장으로

전국 각지에서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해서 배우고 타 지역과 교류하기 위해 180명이 등록해 현장을 꽉 메웠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의장이기도 한 김승환 교육감도 참석하여 "공동체는 학교의 본래적 속성"이라며 마을교육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교육부의 서용선 교육연구사의 '지방자치 시대, 마을교육공동체의 전망'이란 주제의 기조강연으로 시작하여 무주, 완주, 광주, 영광 지역의 사례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완주 소양중의 추창훈 교감은 완주의 로컬푸드처럼 아이들이 타지나 대도시로 나가지 않고 학교와 마을이 힘을 합쳐 키워나갈 수 있는 로컬에듀를 강조했다. 아이들이 있어야 마을도 살고 학교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전의 마을교육공동체 우수 사례 공유에 머물지만은 않았다. 앞서의 질문들처럼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여러 고민과 과제가 제기되고 논의되는 자리였다. 사실 2014년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시작된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이 혁신학교 및 주민자치의 흐름과 맞물려 전국화되며 혁신교육지구, 학교협동조합을 비롯해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아름다운 성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앞서 질문처럼 교사 업무 가중, 참여할 수 있는 주민의 한계, 마을교육공동체가 지향해야할 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민 등이 지적되어 왔다.
 
교육부의 서용선 교육연구사의 ‘지방자치 시대, 마을교육공동체의 전망’이란 주제의 기조강연 모습
 교육부의 서용선 교육연구사의 ‘지방자치 시대, 마을교육공동체의 전망’이란 주제의 기조강연 모습
ⓒ 마을교육공동체포럼

관련사진보기

 
1박 2일간의 문제의식 심화 과정

다만 이러한 고민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과 방향이 제시되기 보다 펼쳐놓고 여러 입장을 들어보는 자리이기도 했다. 전체토론을 진행한 김익록 장학사는 "현재 지역별로 각양각색 펼쳐지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해서 함께 얘기하면서 공동의 상을 찾아가는 자리이다"라고 얘기했다. 저녁 식사 이후에도 10개의 분임으로 나눠서 여러 지역이 섞여 주제별 심화된 얘기를 나눴다.

1박 2일간의 논의의 장에서 원하던 답은 찾았을까? 진주에서 온 이영선 마을교사는 "문제의식이 좀 더 생겼다"며 "다른 지역의 사례를 듣고 나의 지역에 갖다대보니 또 다른 고민을 할 수 있었다"고 했다. 속 시원한 해결책 보다는 타 지역과 연결해서 보다 입체적으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가지게 된 게 이번 포럼의 성과인 셈이다.

이처럼 마을교육공동체포럼은 전국의 마을교육공동체 관계자들의 고민을 모아내며 지속적인 공론의 장을 펼쳐낼 예정이다. 분기별 다른 지역을 순회하며 포럼을 개최하고 함께 고민하고 공부하며 실천해나갈 공동체 리더들을 모아낼 계획이다.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이제 시작이다.
 
마을교육공동체포럼에서 10개의 분임으로 나눠져서 토론하고 있는 모습
 마을교육공동체포럼에서 10개의 분임으로 나눠져서 토론하고 있는 모습
ⓒ 마을교육공동체포럼

관련사진보기

 

태그:#마을교육공동체, #마을교육공동체포럼, #무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협동조합 및 사회적경제 연구자, 청소년 교육 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