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2.27 09:53최종 업데이트 18.12.27 09:54
서촌의 상징적인 곳 송석원

조선시대 서촌 지역은 산수의 경치가 아름다운 곳인 데다, 시인 묵객들이 많이 살아 예술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전하는 곳이다. 그래서인지 인왕산 골짜기마다 많은 사연들이 있고, 동네마다 개성 있는 역사적 인물과 연관된 이야기들이 남아 있다. 이런 곳들은 세상 사람들 사이에 유명해져 마치 서촌을 대표하는 지명처럼 전해오기도 한다. 이런 상징적인 장소는 여러 곳이다.
 

송석원 터 표식. ⓒ 황정수

 
오래 전부터 유명한 서촌의 지명으로는 안동 김씨의 세거지로 병자호란 때 강화도를 지키다 순절한 김상용의 별장이 있었던 '청풍계(淸風溪)'가 있고, 권율 장군과 그의 사위 이항복의 전설 같은 이야기가 전하는 '필운대(弼雲臺)'도 있다. 또한 안평대군을 떠올리게 하는 '수성동(水聲洞)'이나 서촌 물줄기의 주류를 지칭하는 '옥류동천(玉流洞天)' 같은 지명도 서촌을 대신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근래에는 '옥인동'이나 '효자동' 같은 행정 구역 이름도 서촌을 대신하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이름에 앞서 더 회자된 서촌을 상징하는 말 중에 '송석원(松石園)'이 있다. 조선 후기 이후 이 '송석원'이란 세 글자는 가장 빈번하게 서촌을 대신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만큼 '송석원'이란 이름은 서촌을 떠올리게 하는 중요한 키워드였다.

천재 시인 천수경과 송석원시사

송석원이란 명칭이 유명하게 된 것은 조선후기 중인 출신으로 특출한 시정을 가진 시인으로 불렸던 천수경(千壽慶, ?-1818)의 역할이 컸다. 그는 가난하고 신분이 한미한 집안에 태어나 가난했으나, 글 읽기를 좋아했고 시를 잘 지었다고 한다.


그는 인왕산 자락 옥류동천 근처에 띠 집을 짓고 살았는데, 집 근처 뒤 쪽으로 큰 바위가 있고, 그 아래로 소나무가 많았다. 그래서 이 지역을 '송석원(松石園)'이라 불렀다고 한다. 천수경은 스스로 호를 '송석원도인'이라 할 정도로 이곳을 사랑하였다.

그는 뛰어난 시재를 보여 많은 중인 시인 묵객들이 이곳으로 모여들었다. 그는 이들을 규합하여 모임을 만들고, 이름을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라 하였다. '시사(詩社)'는 시를 짓고 즐기기 위하여 결성된 모임을 말한다. 요즈음의 시동인과 같은 것으로, '시계(詩禊)' 또는 '수계(修禊)'라고도 한다. 중국의 왕희지가 '난정시사(蘭亭詩社)'를 만든 데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고려시대의 기로회·죽림고회 등이 이러한 성격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본래 양반들이 주로 결성했으나 조선중기 이후부터는 중인계층에서 더욱 성행하였다. 시사는 근세에 이르기까지 그 전통이 지속되면서 '위항문학(委巷文學)'이라는 새로운 조류를 형성한 데에 역사적 의의가 있다.
           

송석원시사 일원인 왕태의 필적 ⓒ 황정수

 
조선 후기에는 여러 시사가 있었는데, '송석원시사'는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시사였다. 옥류동 계곡에서 자주 모였다고 해서 일명 '옥계시사(玉溪詩社)'라고도 하였다. 주요 인물은 맹주인 천수경을 비롯하여 장혼(張混)·김낙서(金洛書)·왕태(王太)·조수삼(趙秀三)·차좌일(車佐一)·박윤묵(朴允默) 등 당대 최고 수준의 중인 시인들이었다.

천수경은 송석원시사의 좌장으로 대단한 지도력을 발휘하여 당대 최고의 중인 시인들이 모두 이곳으로 모여들게 하였다. 불우한 환경에서 태어나 사회에 불만이 많았던 중인들은 이곳에서 만나 시인 동인들과 조를 나누어 하루도 시를 짓지 않는 날이 없었다고 한다.

중인 시인들은 매일같이 천수경의 거처인 송석원에 모여 시문으로 즐겼다. 주로 사대부 계층에 비하여 열등한 위치에 있는 자신들의 신분적·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불만과 자포자기적 심사를 읊은 시를 많이 남겼다. 특히 송석원시사의 활동 중에서 유명한 것은 '백전(白戰)'이었는데, 점차 규모가 커져 전국적 규모의 시회가 되었다.

1년에 두 차례씩 개최되었다. 남북 두 패로 나누어 서로 다른 '운자(韻字)'를 사용하여 시를 짓는데 매우 공정하였던 큰 모임이었다. 얼마 후에는 그 명성이 높아져 세상의 시 좀 할 줄 아는 사람이 송석원의 모임에 끼지 못하면 부끄럽게 생각할 정도가 되었다.
                   

풍요속선 ⓒ 한국학중앙연구원

 
송석원시사는 사대부에 비하여 신분이나 경제력에서 열등한 위치에 있던 위항인들이 같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자기 권익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채택한 문학적 모임의 시사로도 볼 수 있다. 이 점은 그들의 시사 결성 취지에서도 확인된다. 송석원시사의 취지문인 '서옥계사수계첩후(書玉溪社修禊帖後)'에서 장혼은 같은 중인 계층이면서 비슷한 나이에 서로 가까이 거처하는 친한 사람들끼리 시사를 결성하고 문학적 교유를 표방하였음을 밝혔다.

이 시사는 당대 위항문인들의 집결체였다. 이들의 활동은 책으로도 발간되어 전하는데, 1797년에 <풍요속선>이 대표적이다. <풍요속선>은 천수경이 편집하고 장혼이 교열을 한 책이다. 이 책은 <소대풍요>와 같은 중인들 시집의 뒤를 이어 위항인들이 정기적으로 그들의 시선집을 간행하는 전통을 수립하는데 큰 구실을 하였다. 위항문학의 큰 축을 이루었던 송석원시사는 그 구성원의 활발한 작품 활동으로 융성하여, 정조 연간에 전성기를 구가하며 1818년까지 꽤 오랫동안 이어졌다.

천수경은 중인이었던 탓에 기록이 많지 않아 행적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그의 자식들 이야기만은 유명하다. 그는 아들을 다섯 두었는데 첫째는 '송(松)', 둘째는 '석(石)', 셋째는 '족 (足)', 넷째는 '과(過)' 다섯째는 '하(何)'라 이름자를 지었다고 한다. '송'과 '석'은 그가 사는 송석원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고, '족'은 아들 셋이면 족하다는 뜻이었다. '과'는 넷이면 너무 많다는 뜻이요, '하'는 아들이 다섯씩이나 되니 어찌하면 좋으냐?라는 뜻이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전해가며 웃음거리로 삼았다. 그만큼 천수경의 이름이 높아 그에 대한 이야기는 당대 사람들의 화제가 되었다.

송석원시사의 모습을 그린 '옥계청유첩'

천수경을 중심으로 시회를 열었던 송석원시사의 활동 모습을 그린 귀중한 그림이 전한다. 보통 시회의 결과는 참여한 사람 중의 한 명이 글을 거두어 다시 곱게 필사를 하여 첩으로 만들어 보존한다. 그런데 시회의 구성원 중에 그림을 잘 그리는 이가 있으면 그에게 행사 장면을 그림으로 남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조선시대 시사 모임의 기록 중에는 작가 미상의 시회 그림이 붙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바로 회원 중에 그림 솜씨 좋은 이가 있어 그린 것이다. 만일 시회 모임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여 좋은 첩으로 만들고 싶을 경우에는 유명한 화사에게 부탁하여 시회의 모습을 그려 받는다. 이런 경우 화가는 시회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참석자에게 당시 상황을 설명을 듣거나 현장을 답사하여 그린다.

1791년 유두절(음력 유월 보름날)에 열린 송석원시사의 시회 모습은 이날 지은 글들을 모아 두었던 시사 회원인 김의현(金義鉉)에 의해 '옥계청유첩(玉溪淸遊帖)'이란 제목의 시첩으로 만들어진다. 김의현은 평생 인왕산 자락에서 서화와 음악을 즐기며 살았던 위항시인 시한재(是閒齋) 김순간(金順侃)의 아들이다.

그는 대대로 경아전 생활을 한 중인이었으나 집안이 넉넉했기에 당대 최고의 화원이었던 이인문과 김홍도 두 사람에게 그림을 부탁해 시첩을 장식한다. 이때의 이야기는 행사가 있었던 6년 후인 1797년에 김홍도와 친분이 깊었던 서예가 미산(眉山) 마성린(馬聖麟:1727~1798 이후)이 이 자료들을 보고 쓴 다음 기록에서 짐작된다.
 
"내 어느 날 김의현의 집 유죽헌(有竹軒)에 들러 보니 책상에 <옥계청유첩> 한 권이 있었다. 펼쳐 보니, 단원 김홍도가 맨 앞의 그림을 그렸고 고송유수관 이인문이 이어서 그렸으며, 그 다음은 여러 군자가 각기 시를 짓고 썼는데, 무릇 그 화법의 신묘함과 시와 글씨의 맑고 참됨이 '난정수계'나 '서원아집'에 비길 만한 것이었다… 71세 미산옹 마성린이 쓰다."

이 기록을 보면 마성린이 이 작품들을 보았을 때에는 이미 첩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그는 서문을 추가하고 이인문과 김홍도의 그림에 화제를 추가하여 쓴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김의현이 당대 최고의 화가인 이인문과 김홍도에게 그림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김의현의 신분과 연결시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당시 김의현은 규장각 서리(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이속)로 있었는데, 마침 이인문도 규장각에 화사로 있어 부탁이 용이했을 것이다. 더욱이 이인문과 김홍도는 동갑내기 친한 친구라 쉽게 소통하여 부탁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송석원시사 회원 중의 한 명인 서화가 임득명(林得明·1767∼?)이 규장각 서리로 있었던 것도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이인문의 <송석원시사아회도>
           

이인문의 <송석원시사아회도> ⓒ 한독의약박물관

 
이인문과 김홍도 두 사람의 그림은 시첩 앞에 차례로 실려 있다. 이인문의 그림은 낮 풍경을 그린 것이고, 김홍도의 작품은 밤 풍경을 그린 것이다. 첫 장에 실린 이인문의 그림 <송석원시사아회도(松石園詩社雅會圖)>는 송석원시사 회원 9인이 낮에 모여 시회를 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암산으로 유명한 인왕산 큰 바위 앞 너럭바위에 아홉 명의 시인들이 두세 명씩 따로 편하게 앉아 시를 구상하고 있다. 이인문의 간결하면서도 감각적인 필치가 유려하다. 수성동에서 흘러내려 옥류동천으로 흐르는 계곡물의 흐름도 자연스럽고, 산자락에 자리 잡은 바위와 소나무의 모습이 '송석원'의 이름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오른쪽 위에 쓴 화제를 보면 "고송유수관도인 이인문이 단원의 집에서 그린다(古松流水館道人 李寅文文郁 寫於檀園所)"라는 글이 씌어 있어 이인문이 김홍도의 집에서 함께 그림을 그린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림 속의 장소가 김홍도의 집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그림을 그리고 있는 곳이 김홍도의 집이라는 뜻이다. 이인문과 김홍도는 같은 시회의 회원이 아니었는데, 나중에 김의현의 부탁을 받고 두 사람이 김홍도의 집에 모여 그렸다는 뜻이다.

김홍도가 그린 <송석원시사야연도>
          

김홍도 <송석원시사야연도> ⓒ 한독의약박물관

 
이인문의 그림에 뒤이어 김홍도가 그린 <송석원시사야연도(松石園詩社夜宴圖)>가 실려 있다. 낮에 시를 지으며 한 아회 모임이 이어진 밤 풍경의 모습이다. 당시 아회는 보통 낮부터 밤까지 이어졌다. 낮에는 시를 짓고, 저녁에는 술과 좋은 음식을 차려 놓고 즐기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낮에 지은 시나 그림에 대하여 품평을 하는 경우도 있다. 품평은 회원들끼리 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별한 경우엔 당대의 저명한 시인묵객을 초청하는 경우도 있었다. 추사 김정희도 세상에 글로 이름이 난 뒤에 송석원시사의 품평인으로 초청받아 간 적이 있었다.

우측에 마성린이 1797년에 추가한 화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6월 더위 찌는 밤에 구름과 달이 아스라하니, 붓끝의 조화가 사람을 놀라게 해 아찔하게 하는구나"라며 김홍도의 그림에 호평을 하고 있다. 실제 그림을 보면 하늘에 달이 떠 있어 밤 풍경임을 알 수 있고, 아홉 사람은 취흥이 고조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왼쪽 아래에는 '김씨운림서소(金氏雲林書所)'라고 적혀 있다.

한때 김홍도 자신의 집이라는 설도 있으나 김홍도는 그림을 부탁받아 그리는 것일 뿐 아회와는 관계없는 사람이므로 해당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아회의 참석자이자 이 시첩의 주인인 김의현의 집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좀 더 치밀한 연구가 필요한 대목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