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S스페셜 >은 창사특집으로 2018년을 살아가는 청년들의 문제를 다룬다. 운인가 능력인가라는 화두를 통한 '공정성 경쟁'이 그것이다.
 
다큐의 시작은 지난 촛불항쟁의 마중물이 된, 정유라 입학 특혜를 제보한 이대 여학생이다. 김수경(27)씨를 통해 우리 사회는 그저 엄마를 잘 둔 덕에 이대 학생이 되고, 국가 대표로 메달까지 딴 정유라를 알게 됐다. 그녀의 '능력 없으면 니네 부모를 원망해. 돈도 실력이야', '이대 딱 한번 갔다. 학점은 나도 의아해', '누가 이대를 가고 싶댔나' 등의 말은 청년들의 공분을 샀다. 죽어라 공부해서 대학 가고, 다시 또 죽어라 공부해서 취업 준비를 해야 하는 청년들에게 그녀의 말은 '뼈를 때리는' 것이었다.
 
 SBS스페셜-분노한 자들의 도시

SBS스페셜-분노한 자들의 도시 ⓒ SBS

  
공정성의 딜레마
 
< SBS스페셜 >은 바로 이 청년들의 분노, 그 근원이 된 '공정성'을 헤집는다. 지난 대선, 비정규직을 정규직을 전환하겠다는 문재인 후보의 공약은 열화와 같은 지지를 받았다. 그 공약에 따라 일선 학교와 각 공사들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서울교통공사 역시 지난 3월 무기 계약직을 대거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그런데 그 '환영 받던 공약'의 결과는 달랐다.
 
역차별 논란이 벌어진 것이다. 1250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교통공사. 그곳에 다니는 정규직 김성희(31)씨는 억울함을 호소한다. 고시촌에서 2년 동안 세상과 담을 쌓은 채 노력했던 시간을 통해 얻은 능력이 부정당하는 것 같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자신이 '노오력'을 해서 얻은 결실을 누군가는 쉽게 얻는 것 같아 '화병'이 날 것 같다고 했다.
 
김성희씨만이 아니다. 다른 이는 중소기업을 다니며 어렵사리 주경야독으로 공채를 통해 정직원이 된 자신의 노력이 허무하고, 심지어 배신감을 느낀다고 토로한다. 이런 교통공사 정직원들의 억울함은 결국 헌법소원과 행정소송으로 이어졌다. 이들이 내세우는 건 '공정성'이다. 자신들은 노력을 통해 금메달만큼 값진 사원증을 목에 걸었는데, 왜 거기에 '무임승차'를 하냐는 것. 이들은 정규직으로 전환할 거라면 '시험'이라도 치라며 과정의 공정성을 요구한다.
 
이런 절차상·과정상의 공정성 문제는 뜻밖에도 12년 만에 복직한 KTX 해고 승무원들에게 까지 불똥이 튄다. 이들의 복직 기사에는 청년들의 불만이 폭주한다. '떼를 쓰면 복직이 되는 구나'라는 비아냥거림이 가득하다. '다시 시험을 치라'며 야유한다.
 
그런데 그 '비아냥거림'과 분노의 대상이 된 사람들도 억울하긴 마찬가지다. 교통공사의 정규직 전환에는 2016년에 벌어진 구의역 사고라는 계기가 있다. 구의역 지하철 9-4 승차장에서 끼니로 준비한 컵라면도 먹지 못한 채 스크린 도어 수리를 하다 사망한 김군 사건. 이후 같은 억울한 죽음이 없게 하자는 여론이 조성됐고, 스크린 도어 안전 관리를 하던 외주 용역업체 직원이던 박창수(30)씨는 정직원이 되었다.
 
하청업체에서 최저 임금보다 못한 임금과 대우를 받던 창수씨는 정직원이 된 이후 책임감이 한층 더해졌다고 답한다. 그의 말처럼 용역업체 비정규직들의 정규직 전환 이후 사고가 줄었다. 그러나, 창수씨의 마음은 어쩐지 불편하다. 주변의 시선이 따갑다. 12년 만에 복직하는 KTX 해고 승무원 오미선(39)씨 역시 떼를 써서 얻어낸 복직이 아니라고 항변한다. 12년 전 시험을 치고 인턴 근무를 하고 1년 후 정규직으로 채용하겠다는 약속이 비로소 지켜진 것임에도 억울하다는 것이다.
 
결국 선의에서 비롯된 정규직 전환과, 해고자 복직은 우리 사회 '을 vs. 을'의 불편한 동거를 낳았다.
  
 SBS스페셜-분노한 자들의 도시

SBS스페셜-분노한 자들의 도시 ⓒ SBS

 
시험은 공정한 것인가?
 
이 불편한 동거의 문제를 풀기 위해 다큐는 최후통첩 게임을 예를 든다. 무작위로 뽑힌 사람들, 그들은 제안자와 응답자로 나뉘어 게임을 한다. 제안자에게 주어진 10만원, 제안자는 임의대로 이를 응답자와 나눈다.
 
대부분의 제안자들은 응답자와 5만원씩 공평하게 나눈다. 제안자들은 그게 안전하고 공평하다 입을 모은다. 이어서 단 5분간 공공기관 입사시험 문제로 시험을 거친 후 다시 게임을 한다. 그런데 시험 결과 성적순으로 나뉜 제안자와 응답자 그룹의 금액 배분율이 달라진다. 줄어든 응답자의 몫. 제안자도 응답자도 이런 불평등한 배분이 공정하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다큐는 반문한다. 겨우 5분의 시험만으로 달라지는 '시험'이 공정한 것이냐고. 즉 지금 우리 사회에서 공정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혹은 역차별의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는 청년들이 내세우는 '시험'을 통한 자격이라는 게 '의미'가 있는 것이냐는 것이다.
 
이어 '시험'의 무용론을 설득하기 위해 우리 사회 시험의 역사를 논한다. 한국 전쟁 이후 각자의 노력으로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장치로서 등장한 시험, 그 시험은 한국 사회에서 '출세와 보상의 공정한 장치로 자리 잡아 왔다. 더구나 고도 성장기 평균 이상의 제너럴리스트를 배출해야 하는 산업 사회에서 '시험'은 그 중요성이 컸다.
 
하지만 문제는 현실이다. 노량진 고시촌에서 7년째 공시에 매달리는 33살 박승현씨처럼 시험에 몰려드는 사람들은 많은데 합격률은 낮아져 대부분의 사람들이 '패배자'가 된다는 것이다. 수능 시험자의 3/4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공시에 매달리는 현실, 1.8%만이 합격 통지서를 받아든 결과는 점점 더 청년들을 무한 노력 경쟁의 늪으로 빠져들게 한다고 다큐는 말한다.
 
더구나 그런 가운데 공기업이나 대기업에서는 그 촘촘하다는 그물 사이로 채용 비리가 빈번하게 벌어진다. 그래서 등장한 국가직무 능력 표준인 NCS는 업무 능력과 연관이 있는지 의심되는 시험이다. 핀란드 학생들이 '바보 같다'고 말한 이 시험을 우리 청년들은 50분에 50문항을 풀어야 한다. 시험의 문제를 또 다른 시험으로 풀어내는 악순환이다.
 

ⓒ SBS

  
시험이 문제가 아니다
 
우선 질문을 던지고 싶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공채'를 통과한 사람들에게 당신들이 치른 '시험'이 무용한 것이고 시대착오적인 것이니 당신들이 주장하는 '공정성'은 의미가 없습니다라고 한다면 어떤 반응이 나올까? 저 많은 시간을 시험에 '허비'하는 청춘들은 그 '시험'이 정말 유용하다고 믿을까.
 
이들이 시험에 매달리는 이유는 그나마 시험이 우리 사회에서 '공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라는 대중적 믿음 때문일 것이다. 그 시험을 통과해야 그나마 우리 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살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절박감이기도 하다. 이런 절박한 동아줄을 선뜻 누군가와 나누겠다고 하기가 과연 쉬울까. 이 시대 청년들이 매달리는 시험은 그 어설픈 '최후통첩 게임의 5분간의 시험'이 아니다.
 
다큐의 초반에 등장한 정유라의 경우, 남들은 다 시험 쳐서 가는 '수능'을 부모덕에 무임승차했다. 수능도 그런 세상이다. 최근 우리 사회를 발칵 뒤집어 놓은 공사 정규직 전환 사례에서도 보이듯 교통공사 정규직 전환자 중 108명이 재직자의 자녀, 배우자, 친인척이라는 현실이 말하는 건 무엇일까? 과연 이런 상황에서 다큐에서 예로 든 뉴욕처럼 이력서를 검토하고 면접으로 수시로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의 공정성을 우리 사회가 담보해 낼 수 있을까? 이른바 수능의 보완책으로 마련된 갖가지 수시 요강들을 우리 사회에서 가장 잘 활용하는 계층이 누구일까? 왜 사람들이 그래도 '시험'이 공정하다는 자기 포기적 반응을 보이는지 더 살펴봐야 하는 게 아닐까.
 
문제는 '능력에 걸맞은 다른 시험의 형태'가 아니다. 공시를 통해 정규직이 된 사람들이 내세운 억울함의 초점은 그들의 '시간'과 '노력'이다. 그런 그들에게 당신들이 친 시험이 잘못된 것이니, 양보하라 하면 YES라 할 수 있을까? 즉, 다큐가 내세운 문제 제기 공정성의 문제, 그 사례로 든 공사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된 역차별 문제와 후반부에 해법으로 내세운 시험의 시대착오적 무용론은 서로 다른 범주의 이야기다. 즉, 입시 상담을 받으러 온 학생에게 선생이 과연 네가 대학을 갈 필요가 있을까 라는 원론적 문제 제기를 하는 것이다.
 
물론 여전히 산업 사회적 프레임의 시험 제도와 시스템은 문제가 많다. 하지만 그것과 최근 우리 사회에서 청춘들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역차별, 공정성의 문제는 다른 이야기다. 그들은 '시험'을 말하고 있지만, '시험'이 문제가 아니다. 그들이 그동안 들인 시간과 노력, 그리고 그에 반해 지극히 좁은 문 사이에서 아귀 지옥을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한 집단적 반발이다. 그런 청춘들의 고통에 대한 '원론적은 시험 무용론'은 아쉽고 아쉽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합니다
2018창사특집 SBS대기획 운인가능력인가 공정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