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인 이구(李玖·1931∼2005) 씨의 전 부인인 '줄리아 리'(본명 줄리아 멀록)가 세상을 떠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향년 94세. 사진은 2005년 내한 때 모습. 이구는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자 황태자인 영친왕 이은(1897∼1970)의 유일한 생육으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이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인 이구(李玖·1931∼2005) 씨의 전 부인인 '줄리아 리'(본명 줄리아 멀록)가 세상을 떠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향년 94세. 사진은 2005년 내한 때 모습. 이구는 고종의 일곱째 아들이자 황태자인 영친왕 이은(1897∼1970)의 유일한 생육으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이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영친왕 이은의 며느리이자 이구의 아내였던 줄리아 리가 지난 11월 26일 쓸쓸하게 눈을 감았다. 하와이의 요양병원에서 최후를 맞았다는 사실이 6일 언론을 통해 국내에 알려졌다. 3·1운동 4년 뒤인 1923년에 태어났다. 향년 94세.

줄리아 리는 '전 이왕세자(李王世子)'의 부인이었다. '전 황태자의 부인'이 아니었다. 이구는 이왕세자였다. 황태자로 표기한 글이 많지만, 아니다.

이를 명확히 하려면, 이구의 아버지인 영친왕 이은의 지위부터 분명히 해야 한다. 영친왕은 대한제국 때 받은 칭호다. 친왕(親王)은 대한제국 이전의 대군(大君)이나 군(君)에 상응했다. 황태자가 아닌 황자한테 주어지는 칭호였다.

1907년 이복형 순종이 황제가 되면서 이은은 황태자가 됐다. 이때부터는 영친왕이 아니었다. 그냥 황태자였다.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하면서 순종은 황제에서 이왕(李王)으로 격하되고 이은은 이왕세자(李王世子)로 격하됐다.

'이왕가'로 격하된 대한제국 황실

영친왕과 순종. 서울 덕수궁에서 찍은 사진.
 영친왕과 순종. 서울 덕수궁에서 찍은 사진.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대한제국은 1910년에 망했지만, 황실은 이왕가(李王家)란 이름으로 1947년까지 존속했다. 이왕가란 명의로 존속할 수 있었던 것은 멸망 직전의 합의 때문이었다. 

1910년 8월 22일 조인된 이른바 한일합병조약 제3조에서는 "일본국 황제 폐하는 한국황제 폐하, 황태자 전하 및 그 후비와 후예로 하여금 각기의 지위에 적응하여 상당한 존칭·위엄 및 명예를 향유하게 하며 또 이것을 유지함에 충분한 세비를 공급할 것을 약속한다"라고 규정했다. 이에 따라 대한제국 황제은 일본 군주의 제후 자격으로 이왕의 지위를 갖게 됐다. 

1926년 이왕 순종이 세상을 떠나면서, 이은이 이왕세자에서 이왕으로 격상됐다. 5년 전인 1921년 이은이 장남 이진을 낳았지만, 이듬해 잃었다. 그래서 1931년에 낳은 이구가 이왕세자 지위를 갖게 됐다. 그러므로 이구는 황태자가 아니라 이왕세자였고, 줄리아 리는 황태자의 부인이 아니라 전 이왕세자의 부인이었다. 

대한제국 황실 전문가인 김을한 기자가 쓴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속에 이구의 어머니인 이방자의 회고가 담겨 있다. 회고에서 이방자는 줄리아 리를 "우크라이나와 독일계 미국인을 양친으로 둔" 사람으로 소개했다.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에 실린 영친왕 부부 및 줄리아·이구 부부의 사진.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에 실린 영친왕 부부 및 줄리아·이구 부부의 사진.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진정으로 동반자가 되어줄 아내를 택하고 싶다"

줄리아 리를 처음 만날 당시, 이구는 MIT 공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건축사무소에 근무하고 있었다. 이구는 한국전쟁이 끝난 해인 1953년부터 미국 생활을 했다. 줄리아 리와 이구가 친해진 계기가 이방자의 회고에 언급됐다. 

"구의 이야기로는 줄리아양이 미술학교 출신으로 실내장식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함께 일을 하던 중에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성격, 취미, 일에까지 공통점이 많은 탓인지 둘은 매우 자연스럽게 결합되었다는 것입니다."

줄리아를 부모한테 소개할 때 이구는 이런 말을 했다.

"저는 이래 봬도 양키 걸 같은 화려한 가정의 여성보다는, 검소한 생활이지만 일과 취미를 통해 진정으로 동반자가 되어줄 아내를 택하고 싶습니다."

영친왕 부부는 이들의 교제를 내심으로는 반기지 않았다. 영친왕도 이방자도 국제 결혼을 싫어했다. 자신들이 국제결혼을 한 것부터가 못마땅했다. 영친왕 부부의 결혼은 정략결혼이었다. 일본이 강제로 맺어준 결혼이었다. 영친왕도 이방자도 원치 않았다. 할 수 없이 한 것이다. 이 부부는 국제결혼에 대한 좋지 않은 추억이 있었다.

하지만 부부는 줄리아와 이구의 만남을 반대하지 않았다. 속으론 좀 그랬지만, 축하하고 응원하려고 노력했다. 아들의 행복을 간절히 소망했던 것이다. 이방자는 이렇게 회고했다.

"구가 일평생의 반려자로 적당하다 생각하고 진정으로 애정을 느낄 만한 사람이면 인종 같은 것은 불문에 부치자는 것이 바깥어른과 저의 생각이었습니다."

대한제국 황실은 20세기 초반에 말도 못할 고난을 겪었다. 이로 인해 나라와 백성을 잃었다. 왕실 가족도 흩어졌다. 일본에 인질로 끌려간 가족들도 있었다. 영친왕의 조카인 가수 이석이 <비둘기집>이라는 노래를 간절히 부를 만했다. 그는 "비둘기처럼 다정한 사람들이라면 / 장미꽃 넝굴 우거진 그런 집을 지어요"라고 소망을 담아 노래했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인 이구(李玖·1931∼2005) 씨의 전 부인인 '줄리아 리'(본명 줄리아 멀록)가 세상을 떠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향년 94세. 사진은 젊은 시절의 부부 모습.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세손인 이구(李玖·1931∼2005) 씨의 전 부인인 '줄리아 리'(본명 줄리아 멀록)가 세상을 떠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향년 94세. 사진은 젊은 시절의 부부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행복한 가정을 간절히 염원할 만큼, 황실 사람들은 가족 사랑에 목이 말랐다. 영친왕 부부도 그랬다. 예전 황실의 위신보다는 아들의 행복을 지키기로 결심했다. 부부의 후원 속에 줄리아와 이구는 1957년 약혼하고 1959년 결혼했다.

영친왕 부부가 지금이라도 들으면 살짝 놀랄 수도 있는 일이 있다. 이구는 줄리아보다 여덟 살 적다. 부모의 선입견을 우려했는지, 이구가 줄리아의 나이를 정확히 말하지 않은 모양이다. 이방자의 회고에 이런 언급이 나오는 걸 보면 그렇다.

"구가 택한 여성인 만큼, 줄리아양은 나이가 한 살 위이긴 하지만 구가 품은 모든 희망을 그대로 갖춘 여성이었습니다."

이렇게 줄리아와 이구는 영친왕 부부의 '절제된 환영' 속에 행복한 생활을 시작했다. 1963년에는 장기 거주를 목적으로 한국에 와서 창덕궁 낙선재에도 기거했다.

이혼 종용에 시달린 줄리아 리... 결국 세상을 떠났다

창덕궁 낙선재.
 창덕궁 낙선재.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장애물이 있었다. 영친왕 부부의 환영은 받았지만 옛 황실 후손들의 환영은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줄리아가 파란 눈의 소유자라는 것,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것 등이 장애물로 작용했다. 황실 사람들은 이혼을 종용했다. 두 사람은 그 벽을 넘지 못했다. 늦어도 1977년부터 별거에 들어가고, 1982년 이혼하고 말았다.

줄리아는 전 남편을 그리워했다. 그래서인지 한국을 쉽게 떠나지 못했다. 의상실로 생계를 유지하고 복지활동도 하다가 1995년에야 하와이에 정착했다. 2000년에 다시 방문했지만, 전 남편을 만나지 못한 채 돌아갔다. 그렇게 그리워하며 버티다가 지난 11월 26일 눈을 감은 것이다.

줄리아와 이구의 사촌인 이석이 부른 노래 속에 "비둘기처럼 다정한 사람들이라면 / 포근한 사랑 엮어갈 그런 집을 지어요"라는 대목이 있다. 줄리아도 이구도 그런 포근한 사랑이 있는 가정을 만들고 싶었을 것이다. 하지만 세파를 견디지 못하다 헤어졌고, 미련을 품고 살다가 두 사람 다 저세상으로 가고 말았다.


태그:#줄리아 리, #이구, #영친왕, #이방자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kimjongsung.com.일제청산연구소 연구위원,제15회 임종국상.유튜브 시사와역사 채널.저서:대논쟁 한국사,반일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조선상고사,나는 세종이다,역사추리 조선사,당쟁의 한국사,왜 미국은 북한을 이기지못하나,발해고(4권본),패권쟁탈의 한국사,한국 중국 일본 그들의 교과서가 가르치지 않는 역사,조선노비들,왕의여자 등.

오마이뉴스 기획편집부 기자입니다. 조용한 걸 좋아해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