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처음은 아주 작았습니다. 대학입시를 바라보던 열여덟 살 푸름이는 주마다 두 차례씩 인천 배다리 헌책방거리에 갔고, 그곳에서 '아벨서점'이라는 자그마한 책숲을 만났어요. 둘레에서는 그 작고 낡은 헌책방에서 무슨 책을 읽느냐고 핀잔을 하거나 비웃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바로 그 작고 낡은 헌책방에서 주마다 이틀씩 하루 여덟 시간을 오로지 책읽기를 누렸습니다.

아니, 책읽기를 누렸다기보다 책을 새로 보고 느끼며 배웠어요. 저는 마을마다 작게 있는 헌책방을 놓고서 이때부터 '책숲'이라고 여겼습니다. 숲이 고스란히 옮겨온 책터요, 도시에서 마음을 놓고 쉴 뿐 아니라 새로운 기운을 얻는 샘터라고 느꼈어요.

겉그림
 겉그림
ⓒ 철수와영희

관련사진보기

이렇게 책숲에서 책하고 숲하고 사람하고 삶을 새로 배울 무렵, '콘사이스 국어사전'을 통째로 두 차례 읽는데, 너무 어처구니없을 만큼 일본말이나 일본사람 이름이나 뜬금없는 영어나 외국말이 잔뜩 실린 모습을 보았어요.

이때 저도 모르게 "국어사전이 이 따위라면 차라리 내가 짓겠다"는 말을 한숨처럼 내뱉았습니다. 이 작은 말이 빌미가 되어 저는 어느새 한국말사전(국어사전)을 새로 짓는 길에 섰고, 지난 2016년에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철수와영희 출판사 펴냄)을 써낼 수 있었습니다.

스물 몇 해 만에 제 작은 '말씨(문득 내뱉아서 씨가 된 말)'를 이룬 셈인데, 이 작은 말씨를 이루고 나서 이듬해인 2017년에 두 가지 우리말 책하고 사전을 새로 써냅니다.

하나는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철수와영희 출판사 펴냄)이고, 다른 하나는 '읽는 우리말 사전'이라고 간추려서 말하는 <말 잘하고 글 잘 쓰게 돕는 읽는 우리말 사전 1 겹말풀이와 돌림풀이 다듬기>(자연과생태 출판사 펴냄)입니다. 그리고 2017년 11월에 764쪽에 이르는 도톰한 사전을 새로 하나 더 냅니다. 바로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철수와영희 출판사 펴냄)입니다.

오늘날 글을 쓰는 분이 부쩍 늘지만, 사전을 곁에 두는 분은 뜻밖에 무척 적구나 싶어요. 작가나 기자나 전문가라는 이름이 아니어도 누구나 글을 마음껏 쓸 수 있는 멋진 오늘날입니다만, 막상 '글을 쓰'면서 사전을 찬찬히 살피는 손길은 매우 적구나 싶어요. 사전을 곁에 두느냐 안 두느냐는 매우 달라요. 아주 흔하게 쓰는 낱말이더라도 이 '흔한 낱말'을 사전을 뒤적여 다시 읽고서 새롭게 헤아리며 글을 쓰는 사람하고, '흔한 낱말'이니까 구태여 사전을 안 뒤적이고 그냥 글을 쓰는 사람하고는 똑같을 수 없어요.(4쪽)

2016년에 써낸 <비슷한말 사전>은 원고종이로 3000장이 넘습니다. 이를 꾸밈지기가 곱게 매만져서 496쪽으로 묶었어요. 2017년 가을에 선보인 <겹말 사전>은 원고종이로 4900장이 넘습니다. 이를 꾸밈지기가 알뜰히 매만져서 764쪽으로 묶었습니다.

아마 이쯤에서 물을 만하지 싶어요. <겹말 사전>이라면 아무래도 사람들이 겹말 얼거리로 글을 잘못 쓴 보기를 묶은 사전일 텐데, 어찌하여 원고종이로 거의 5000장에 이르도록 잘못된 보기를 엄청나게 찾아내어 도톰한 사전으로 엮느냐고 말이지요.

2017년에 낸 책 두 권, 2016년에 낸 사전 한 권
 2017년에 낸 책 두 권, 2016년에 낸 사전 한 권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겹말'이란 "뜻이 같은 낱말을 겹쳐서 쓰는 말"을 가리킵니다. '초가집'이나 '처갓집'이나 '외갓집' 같은 낱말이 겹말이요, '향내'나 '늘상'이나 '한밤중'이 겹말입니다. "도구와 연장을 쓴다"나 "느끼고 의식하다"라든지 "궁리하고 생각한다"나 "다른 대안"이나 "다시 반복하다"도 겹말이에요. "둥근 원"이라 하거나 "땅과 대지"라 말할 적에도 겹말이요, "똑바로 직진하다"나 "미리 예측하다"도 겹말입니다. '모래사장'이나 '모양새'가 겹말이고, '본보기'와 '살아생전'이 겹말이에요. "서울로 상경한다"라든지 "부정적이고 나쁘다"라든지 "아름답고 화려한"이 겹말이요, '삼세번'이나 "삼시 세끼"나 '시시때때로'가 겹말이지요. '아침조회'나 '야밤'이나 "헌신적인 희생"이나 "함께 연대"가 겹말이고, '연거푸'와 '이따금씩'과 '하나둘씩'이 겹말이에요. "잘못이나 실수"가 겹말이고 "저녁 만찬"이 겹말이며 "참고 인내하다"가 겹말입니다. 이밖에도 겹말은 수없이 많습니다.(8쪽)

<겹말 사전>은 모두 1004가지 보기를 다룹니다. 이 사전을 내려고 2001년 1월 1일부터 2017년 7월 1일까지 모은 겹말 보기는 모두 1287꼭지입니다. 이 가운데 1004꼭지를 사전으로 묶었어요.

출판사로 글을 모두 넘기고 사전이 나온 뒤 오늘(2017.11.5.)에 이르도록 겹말 보기 181꼭지를 새로 모았습니다. 넉 달 사이에 벌써 181꼭지를 더 모은 셈인데, 저 스스로 새로운 사전을 쓰면서 날마다 꾸준히 배움길을 새삼스레 걷다 보니, 우리가 이제껏 제대로 안 느끼거나 지나친 겹말이 곳곳에서 자꾸 튀어나옵니다.

이제 내놓은 <겹말 사전>에는 못 실었으나 요즈음 찾아낸 겹말 보기를 든다면, "소수의 몇 그루", "일렬종대로 가지런하고 반듯하게 열 맞춰", "이상하여 정상이 아니야", "적갈색 빛", "나뭇잎과 나무의 잎사귀", "매일 일상 속에서", "조금 더 과하게 애써", "간절히 애걸복걸", "구름 떼가 무리 지어", "노동일", "적성에 맞다", "온기 없이 따뜻한 밥", "언어로 말하는", "빼앗기고 약탈당한", "용의주도하여 철저히 빈틈없는", "집에 돌아오는 귀가", "나누고 공유하는", "스스로 자발적", "미리 선점", "몸으로 실천", "체득하고 경험한", "희게 탁해지다", "겹겹 포개다", "야생에서 들로", "이쪽 방향", "모으고 저축하다", "엔터테인먼트화로 즐겁다", "시작한 것이 처음", "좋아하고 호감을 가지다", "키 작은 관목", "올리고 업로드" 들이 있습니다.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몸글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몸글
ⓒ 철수와영희

관련사진보기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몸글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몸글
ⓒ 철수와영희

관련사진보기


그런데 우리는 "꽃이 한창 만발하다"처럼 겹말을 쓰면서도 못 느끼기 일쑤입니다. "한도 끝도 없이"나 "혼자 독식"이 겹말이라는 생각을 안 하기도 하고, "회색빛"이나 "초록빛" 같은 겹말도 아무렇지 않게 쓸 뿐 아니라, 때로는 이런 겹말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버젓이 오르기도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도 겹말풀이로 나오기 일쑤이고요.

한자말 '경운'은 '갈다'나 '갈아엎다'를 나타냅니다. "경운으로 갈아엎는"으로 쓰면 겹말이에요. 보기글을 쓴 분은 '경운·무경운'이라는 한자말을 잇달아 씁니다. 한자말로 짝을 맞추다 보니 이 같은 겹말이 나왔구나 싶어요. 처음부터 쉽게 '갈다·안 갈다(갈아엎다·안 갈아엎다)'만 썼다면 겹말도 아니 되면서 쉽고 부드러운 말씨가 될 수 있을 테지요. (74쪽)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제대로 못 쓰면서 겹말이 불거지는 까닭을 헤아려 봅니다. 학교에서 제대로 못 가르치는 탓이 틀림없이 있습니다. 사전뿐 아니라 교과서도 한국말다운 한국말로 갈무리하지 못하니까요. 여기에 여느 신문이나 책이나 방송에서도 겹말이 툭툭 불거져요.

방송 이름으로까지 널리 퍼진 "삼시 세끼"는 어찌해야 할까요? 이런 겹말은 널리 알려진 방송 이름이니 손질을 안 하고 그냥 써도 될까요? 방송에 흐르는 말이니 무턱대고 따라서 써도 될까요? 왜 "하루 세끼"나 "세끼니"나 "기쁜 세끼"나 "세끼 밥상"이나 "서로 세끼"나 "즐거운 끼니"처럼 새롭고 알맞게 말마디를 가다듬는 길로는 못 나아갈까요?

시골에서 아이들하고 숲살림 짓는 길을 걸으면서 차근차근 새로운 사전을 써낼 수 있습니다. 저는 글을 갈무리하는 일을 맡고, 곁님하고 아이들은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어떤 사전으로 나아갈는지를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아이들하고 숲살림 짓는 길을 걸으면서 차근차근 새로운 사전을 써낼 수 있습니다. 저는 글을 갈무리하는 일을 맡고, 곁님하고 아이들은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어떤 사전으로 나아갈는지를 생각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깊이 생각한다고 해서 한자말로 '사색'을 쓰니, "깊은 사색"이라 하면 겹말입니다.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사색'만 쓸 노릇이고, 누구나 쉽게 알아듣도록 말하려 한다면 "깊은 생각"으로 손보면 돼요. 더 헤아려 보면, '깊은생각'을 아예 새롭게 한 낱말로 삼을 수 있습니다. '깊은생각·좋은생각·너른생각·숨은생각·멋진생각·기쁜생각'처럼 즐겁게 새 낱말을 지어 볼 만해요. (117쪽)

한국을 뺀 모든 나라에서는 사전을 '나라 규범'으로 내세우지 않습니다. 오로지 한국에서만 사전이 '나라 규범'이 됩니다. 이리하여 신문이나 방송이나 책에서 '맞춤법하고 띄어쓰기를 반듯하게 갈무리하는 글'을 다루지요. 표준말·맞춤법·띄어쓰기로 사람들을 옭아맵니다.

우리가 생각을 나누려는 말을 하자면 서로 '같은' 말을 써야 할 테니, 표준말이나 맞춤법이나 띄어쓰기를 여러모로 살필 만합니다. 그렇지만 한국은 이 나라 규범이 지나치지요. 즐겁게 말을 하도록 이끄는 틀이 아닌, 이렇게 해야 맞고 저렇게 하면 틀리다는 사슬이 되고 맙니다.

빛이 아주 아름답고 황홀한 모습을 가리켜 '눈부시다'라 하는데, '황홀하다'는 "눈이 부실 만큼 찬란하거나 화려하다"를 가리킨다고 해요. 돌림풀이예요. 더욱이 '찬란하다'나 '화려하다'는 모두 '아름답다'를 가리켜요. "눈부실 정도로 화려한"처럼 쓰면 겹말입니다. 한국말사전에 나오는 뜻풀이도 모두 겹말풀이에다가 돌림풀이가 되고요. '눈부시다' 한 마디면 넉넉하고, '아름답다'를 알맞게 쓰면 됩니다. (164쪽)

저희는 고흥에서 폐교 한 곳을 빌려서 '사전 짓는 책숲집, 숲노래' 사전연구실이자 숲놀이터로 삼습니다. 언뜻 보면 허름한 건물에 풀로 우거진 폐교입니다만, 속을 들여다보면 조용히 사전 짓는 책숲을 이룹니다.
 저희는 고흥에서 폐교 한 곳을 빌려서 '사전 짓는 책숲집, 숲노래' 사전연구실이자 숲놀이터로 삼습니다. 언뜻 보면 허름한 건물에 풀로 우거진 폐교입니다만, 속을 들여다보면 조용히 사전 짓는 책숲을 이룹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아이들하고 시골에서 살림을 지으며 꾸준하게 함께 읽는 그림책도 어린이책도 만화책도, 말과 글을 새로 가다듬는 사전을 짓는 길에 좋은 밑거름이 됩니다.
 아이들하고 시골에서 살림을 지으며 꾸준하게 함께 읽는 그림책도 어린이책도 만화책도, 말과 글을 새로 가다듬는 사전을 짓는 길에 좋은 밑거름이 됩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몸글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몸글
ⓒ 철수와영희

관련사진보기


바람이 나오도록 해서 손을 말리는 것이 있어요. 이를 가리켜 영어로 '에어타올'이나 '핸드드라이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만, 왜 한국말로 알맞게 새 이름을 붙일 생각을 안 할까요? 손을 말리니 '손말리개'라 하면 됩니다. 바람을 일으켜 손을 말리니 '바람말리개'라 해도 되고요. 이처럼 알맞게 새로 짓는 이름을 그때그때 사전이 살뜰히 담아서 사람들한테 알려주는 몫을 맡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묵묵하다'는 "말없이 잠잠하다"를 뜻한다는데, '잠잠하다'는 "말 없이 가만히 있다"를 뜻한다고 하니, '묵묵하다 = 말없이 말없이 가만히 있다'인 꼴입니다. 겹말풀이예요. 더군다나 한국말사전은 '묵묵하다'에서는 '말없이'로 적으나, '잠잠하다'에서는 '말 없이'로 적으면서 띄어쓰기도 오락가락이에요. (291쪽)

말을 담는 한국말사전은 백과사전이 아닙니다. 이것저것 잔뜩 뭉뚱그리면 한국말사전이 못 됩니다. 말을 말답게 가누도록 이끌고, 말마다 다른 결을 밝힐 적에 비로소 한국말사전입니다.

영어를 처음 배울 적에 어떻게 하나요? 일본말이나 프랑스말을 처음 배울 적에 어떻게 하나요? 우리는 낯선 외국말을 새로 배울 적에 어김없이 책상맡에 그 외국말을 담은 사전을 둡니다. 모든 외국말을 사전에서 하나하나 찾아보기 마련입니다.

우리 사전(국어사전/한국말사전)이 딱딱한 규범을 벗어나서, 즐거운 새틀을 짜면서, 철철이 다르면서 고운 이 나라 숲을 넉넉히 담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사전을 읽으면서 즐거이 노래할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우리 사전(국어사전/한국말사전)이 딱딱한 규범을 벗어나서, 즐거운 새틀을 짜면서, 철철이 다르면서 고운 이 나라 숲을 넉넉히 담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사전을 읽으면서 즐거이 노래할 수 있기를 비는 마음입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시골에 있는 닭이라 '촌닭'이요, 촌스러운 사람이라 '촌닭'이라 한답니다. "시골 촌닭"은 겹말입니다. 한국말사전을 보니 '촌스럽다'는 "시골에 사는 사람답다"라든지 '시골스럽다'로 풀이하지 않아요. 어수룩한 데가 있는 사람을 가리켜 '촌스럽다'라 한다네요. 시골이라는 터전을 얕보거나 낮보거나 깔보려는 생각이 '촌닭·촌스럽다' 같은 낱말에 스미는구나 싶습니다. (417쪽)

제가 <비슷한말 사전>에 이어 <겹말 사전>을 써낸 뜻이라면, 아직 한국은 사전다운 사전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에요. 비슷한말을 먼저 한동아리로 묶어서 보여주면서 결이 다른 뜻하고 보기를 밝히려 했어요. 이다음으로는, 말뜻을 더욱 또렷하게 짚어서, 한자말이든 영어이든 한국말이든, 제자리에 제대로 쓸 수 있는 길을 우리 스스로 익히고 살피자는 마음을 밝히려 했고요.

<겹말 사전>은 짜임새를 보자면 어쩔 수 없이 '사람들이 흔히 잘못 쓰는 겹말 보기'를 다룹니다만, 잘못 썼다고 나무라려는 마음이 아닙니다. 왜 잘못 쓰고 말았는가를 살피려 합니다. 어떻게 하면 즐겁고 알맞으면서 또렷하고 쉽게 쓸 수 있는가를 헤아리려 합니다.

'의사소통'에서 그치지 않고 '생각을 나누는 이야기'를 이루도록 우리 스스로 말에 깃든 숨결을 읽어 보자는 뜻을 <겹말 사전>으로 펼치려 해요.

<겹말 사전>은 누리책방 알라딘에서 국내도서 '머릿책(대표 추천 도서)'로 오르기도 했습니다. 사전 한 권 짓는 땀방울을 곱게 바라보아 주어서 더없이 고마운 일입니다.
 <겹말 사전>은 누리책방 알라딘에서 국내도서 '머릿책(대표 추천 도서)'로 오르기도 했습니다. 사전 한 권 짓는 땀방울을 곱게 바라보아 주어서 더없이 고마운 일입니다.
ⓒ 알라딘

관련사진보기


처음으로 지어내는 모습을 가리키는 '창출'은 "새로 만듦"으로 고쳐써야 한다고 합니다. "새로 만들다"를 가리키는 '창출하다'인 셈이에요. "새롭게 창출되어"처럼 쓰면 겹말이 되지요. '창출'이라는 한자말을 처음부터 안 쓴다면 이 같은 겹말이 안 나타나리라 봅니다. (379쪽)

즐겁다'라는 낱말을 한국말사전에서는 '흐뭇하다 + 기쁘다'로 풀이합니다. '흐뭇하다'는 '흡족 + 만족'으로 풀이하고, '기쁘다'는 '흐뭇하다 + 흡족'으로 풀이해요. 이런 뜻풀이라면 벌써 겹말풀이가 됩니다. '만족 = 흡족'으로 풀이하고, '흡족 = 만족'으로 풀이하는 한국말사전이에요. 더구나 '행복 = 만족 + 기쁨 + 흐뭇함'으로 풀이하니 아주 뒤죽박죽입니다. '즐겁다'하고 '기쁘다'하고 '흐뭇하다'는 틀림없이 다른 낱말이에요. '행복'이라는 한자말을 꼭 써야 한다면 '행복'만 쓸 노릇이면서, '즐겁다'나 '기쁘다'나 '흐뭇하다'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맞게 살펴서 써야겠습니다. 한국말사전은 몽땅 뜯어고쳐야 할 테고요. (576쪽)

저는 2016년 <비슷한말 사전>, 2017년 <겹말 사전>에 이어, 2018년 새해에는 "살려쓰기 사전"을 쓰려고 합니다. 이러면서 새해에는 "5살 어린이 첫 사전"을 함께 쓰려고 해요.

틀에 가두거나 사슬에 매이도록 위에서 억누르는 사전이 아닌, 우리가 서로 이웃이라는 대목을 느껴서 즐겁게 어깨동무하는 길에, 말로 나타내는 싱그러운 마음을 넉넉히 어우르는 살림을 짓도록 북돋우는, 신나면서 푸른 사전을 지으려 합니다.

다 다르기에 저마다 아름다운 비슷한말입니다. 겹치지 않게 가다듬을 줄 알기에 슬기로우면서 사랑스러운 말입니다. 여기에 한 가지를 보태어 본다면, 우리 나름대로 우리 살림살이를 나타내는 새로운 말을 짓는 손길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한자말 '협력'은 "힘을 합하여 서로 도움"을 뜻한다고 합니다. "힘을 모아 협력할"처럼 쓰면 "힘을 모아 힘을 모아 서로 도움" 꼴이 돼요. "힘을 모을"이라고만 하든지 "서로 도울"이라고만 해야 올바릅니다. 한자말을 쓰고 싶으면 '협력할'로만 적습니다. (760쪽)

764쪽에 이르는 <겹말 사전>입니다.
 764쪽에 이르는 <겹말 사전>입니다.
ⓒ 최종규

관련사진보기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이 이웃님한테 새로운 말을 새로운 생각으로 지어서 새로운 삶을 새로운 사랑으로 가꾸는 길동무책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해마다 새로운 사전을 한두 권 또는 여러 권을 써낼 수 있도록 더욱 힘쓰려고 합니다. 넉넉한 마음하고 따사로운 눈길로 지켜봐 주셔요. 고맙습니다.

덧붙이는 글 |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숲노래 기획 / 최종규 글 / 철수와영희 출판사 / 2017.10.30. / 33000원)

사전을 기획한 '숲노래'는 ‘밥옷집’을 손수 짓는 살림을 즐겁게 가꾸면서 ‘새로운 한국말사전’을 기쁘게 빚으려고 하는 모임입니다. 숲을 가꾸는 마음으로 말을 가꾸는 길을 찾으려 하고, 숲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말을 사랑하는 마음을 널리 나누려 하는 모임입니다.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최종규 지음, 숲노래 기획, 철수와영희(2017)


태그:#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겹말 사전, #국어사전, #우리말 살려쓰기, #숲노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오마이뉴스 편집기자. 시민기자 필독서 <아직은 좋아서 하는 편집> 저자,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공저, 그림책 에세이 <짬짬이 육아> 저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