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가 추가 설정한 '지구중심' 53개소 배치도.
 서울시가 추가 설정한 '지구중심' 53개소 배치도.
ⓒ 서울시

관련사진보기


서울시가 서울의 지역균형 성장을 이끌어나가기 위한 새로운 도시계획 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내놓았다.

지난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의 틀에 새롭게 53개의 '지구중심'을 추가로 설정한 것이다.

'2030 서울플랜'이 권력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광역적 계획 위주라면, 생활권계획은 보다 구체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소지역단위 생활밀착형 계획 이슈까지 담아낸 것으로 3년 동안 각 지역 전문가인 주민 6천여명이 수많은 논의를 거쳐 수립한 계획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계획을 자세히 보면, 시는 53개의 지구중심 가운데 약 81%를 동북권(17개소), 서북권(6개소), 서남권(20개소) 등 도심권과 동남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열악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지정해 균형성장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이어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서울광장 145개 규모(192만㎡)의 상업지역을 확대 지정한다. 전략적 개발 및 균형발전을 위한 시 보유물량을 제외한 배분물량(134만㎡)을 인구, 일자리, 기존 상업지역 면적 등을 고려해 역시 낙후된 동북, 서남, 서북권 위주로 지정할 예정이다.

시는 또 생활권계획을 여러 개 자치구에 걸쳐있는 이슈와 과제 해결을 위한 5개 권역생활권계획과 3~5개 동을 합친 인구 10만 정도의 116개 지역생활권계획으로 나누기로 했다.

시는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에 대해 오는 18일 전문가·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25개 자치구별 설명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수렴한 뒤, 시의회 의견청취, 국토부 등 관계기관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10월 최종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5일 시청에서 가진 기자설명회에서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계획은 지난 5년간의 서울 도시계획 대장정의 결과물이자 미래서울 100년 도시계획틀을 완성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그간 도시계획이라고 하면 전문가들에 의한 대규모 개발계획이 떠올랐지만 이제부턴 시민의 삶의 미래가 떠오르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태그:#생활권계획, #지구중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