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7일 5.18구묘역의 억새풀은 저너머 묘비를 가릴 만큼 무성했다. 억새풀 사이에 숨어 묘비 위에 앉아 있던 까치가 인기척에 달아났다. 묘역 위편에 게양된 조기 사이로 강한 햇살이 쏟아졌다.
▲ 5.18 구묘역 태극기 사이로 쏟아지는 햇살 27일 5.18구묘역의 억새풀은 저너머 묘비를 가릴 만큼 무성했다. 억새풀 사이에 숨어 묘비 위에 앉아 있던 까치가 인기척에 달아났다. 묘역 위편에 게양된 조기 사이로 강한 햇살이 쏟아졌다.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35년 전 오늘(1980년 5월 27일) 오전 3시, 탱크를 이끌고 광주 돌고개를 넘은 계엄군은 1시간 만에 전남도청 주변을 완전 포위했다. 10분 후(오전 4시 10분) 전남도청에 군홧발을 들여놓은 계엄군은 무차별 사격 끝에 오전 5시 10분 시내 전역을 장악하고 작전을 마무리했다. 우리는 이를 두고 '5·18의 끝'이라고 이야기한다.

이날 광주 시내의 '확인된' 사망자는 28명(보안사 505부대 검시참여 결과 보고서). 대부분 전남도청에서 계엄군이 쏜 총탄에 맞아 사망했다. 끝까지 전남도청을 지킨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은 총상이 아닌 자상(칼 따위의 날카로운 것에 찔려서 입은 상처)에 의해 사망했다.

총을 맞은 채 효덕동 뒷산에서 발견된 이름을 알 수 없는 4세(추정) 남자 아이와 계엄군의 수하(군대에서 피아를 구별하기 위해 하는 문답)에 당황하다 총을 맞은 김명숙(당시 14세, 서광여중 3학년)양 같은 희생자도 있었다.

이 28명을 비롯해, 5월 18일부터 열흘 동안 목숨을 잃은 희생자 126명(실종자 제외)은 계엄군의 작전 종료와 함께 비닐에 쌓여 청소차에 옮겨졌다. 청소차는 한참을 달려 광주 외곽 망월동 묘지(현 시립공원묘지, 5·18 구묘역)에 다다라 이들을 내려놨다.

여전히 또 다른 광주가 많다

27일 희생자들이 잠들어 있는 5·18구묘역을 찾았다. 반가운 손님을 알리는 까치가 곳곳에서 울어댔다. 하지만 지난 18일 참배객으로 가득했던 5·18구묘역은 이날 찾는 이 없이 한적했다. 뜸한 발걸음 탓에, 묘 위에 높이 자란 억새풀이 위태로이 흔들렸다.
▲ 까치 앉은 5.18구묘역 27일 희생자들이 잠들어 있는 5·18구묘역을 찾았다. 반가운 손님을 알리는 까치가 곳곳에서 울어댔다. 하지만 지난 18일 참배객으로 가득했던 5·18구묘역은 이날 찾는 이 없이 한적했다. 뜸한 발걸음 탓에, 묘 위에 높이 자란 억새풀이 위태로이 흔들렸다.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27일 희생자들이 잠들어 있는 5·18구묘역 곳곳엔 일찌감치 불게 물든 단풍나무가 서 있었다.
▲ 붉게 물든 5.18구묘역 단풍나무 27일 희생자들이 잠들어 있는 5·18구묘역 곳곳엔 일찌감치 불게 물든 단풍나무가 서 있었다.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35년 후인 2015년 5월 27일, 희생자들이 잠들어 있는 5·18 구묘역을 찾았다. 반가운 손님을 알리는 까치가 곳곳에서 울어댔다. 하지만 지난 18일 참배객으로 가득했던 5·18 구묘역은 이날 찾는 이 하나 없이 한적했다. 뜸한 발걸음 탓에, 묘 위에 높이 자란 억새풀이 위태롭게 흔들렸다.

이따금 다녀간 누군가는 이 억새풀이 안타까웠나 보다. 풀을 뽑은 흔적이 묘역 곳곳에 보였다. 그럼에도 억새풀은 저너머 묘비를 가릴 만큼 무성했다. 억새풀 사이에 숨어 묘비 위에 앉아 있던 까치가 인기척에 달아났다. 묘역 위쪽 게양된 조기 사이로 강한 햇살이 쏟아졌다.

5·18 구묘역 매점의 주인 아주머니는 햇살을 피해 그늘에 앉아 있었다. 그는 "18일 이후엔 거의 찾는 사람이 없다"며 연신 부채질을 해댔다. 이날 오후 2시, 수은주가 30도를 넘어섰다. 5.18 당시 '고3 시민군'이었던 생존자 김향득씨는 "그 날(1980년 5월 27일)도 어찌나 덥던지 개버끔(입가에 생기는 하얀 거품을 일컫는 사투리) 물 정도로 (항쟁 후 상무대로 끌려가 고문을) 당했고, 온 몸은 피범벅이 돼 있었다"며 35년 전을 떠올렸다.

계엄군의 진압 직후를 담은 독일인 힌츠페터의 영상을 보면, 전남도청 계단은 피로 물들어 있다. 계단을 수놓은 일정한 폭의 핏자국... 계엄군이 숨진 이의 다리를 붙잡은 채 질질 끌고 내려가는 모습이 영상 위에 덧대졌다.

5.18... 세월은 흘러도 산천은 안다

계엄군의 진압 직후를 담은 독일인 힌츠페터의 영상을 보면, 전남도청 계단은 피로 물들어 있다.
 계엄군의 진압 직후를 담은 독일인 힌츠페터의 영상을 보면, 전남도청 계단은 피로 물들어 있다.
ⓒ 힌츠페터 영상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5.18의 끝을 알린 이날 전남도청의 피는, 동시에 5.18의 시작을 선언했다.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은 숨지기 전날인 26일 전남도청 민원실에서 외신 기자회견을 열었다. "탱크를 동원해 진압하겠다면 우리는 어차피 질 수밖에 없겠죠. 하지만 우리는 진다해도 영원히 패배하진 않을 겁니다" 당시 피로 물든 전남도청은 끝과 시작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35년 후인 27일 옛 전남도청 앞에선 '5·18 부활제'가 열렸다. 35년 전 피로 물들었던 전남도청 앞이 국화꽃으로 덮였다. 차명석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대한민국 역사는 님들이 계셨기에 5.18을 승리의 역사로 기록하고 있다"며 "님들의 고귀한 헌신과 희생은 5월을 우뚝 세우며,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추동해냈고 노동·인권·평화·자유·대한민국 모든 현장에서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들어 냈다"고 말했다.  

제 2, 제 3의 광주가 나타날 때마다 '5월 정신'은 기꺼이 제 몸을 내놨다. 그리고 여전히 또 다른 광주가 많다. 5.18을 왜곡하는 사람도 많고, 5.18을 이용하는 사람도 많다. 때문에 5·18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5·18 구묘역의 몇몇 단풍나무가 일찌감치 붉게 물들었다.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항쟁 마지막 날인 27일, 옛 전남도청 앞에서 '5.18 부활제'가 열렸다.
▲ 옛 전남도청 앞, 5.18 부활제 항쟁 마지막 날인 27일, 옛 전남도청 앞에서 '5.18 부활제'가 열렸다.
ⓒ 소중한

관련사진보기




태그:#5.18
댓글2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6,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