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전시의회 전경
 대전시의회 전경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한국전쟁 당시 대전 산내 골령골에서 군경에 의해 희생된 희생자들에 대한 위령사업을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 조례안이 제정됐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자치단체 차원의 위령사업 지원을 권고한 지 5년 만의 일이다.

대전시의회는 2일 오전 10시 제 21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민간인지원조례안을 제적의원 22명 중 22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했다.

조례안에는 희생자 위령사업, 자료 발굴 및 수집, 간행물 발간, 평화 인권을 위한 교육 사업 등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와 산내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대책위(총 22개 단체)는 즉각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날 오전 11시 30분 시의회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시민화합과 인권회복을 위한 조례제정을 환영한다"며 "대전시의회와 발의 의원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대전시와 대전동구청에 대해서는 "유해매장지에서 농사를 짓지 못하도록 토지임대비용 등 500만 원의 긴급지원을 요청했지만 예산이 없다고 한다"며 협조와 분발을 거듭 촉구했다.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와 산내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대책위(총 22개 단체)가 기자회견을 갖고 골령골 한편 지키기 시민운동을 선언하고 있다.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와 산내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대책위(총 22개 단체)가 기자회견을 갖고 골령골 한편 지키기 시민운동을 선언하고 있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이들 단체는 그러면서도 "유해가 묻혀 있는 것을 직접 확인한 500평에 대한 토지 임대비용(500만 원)을 지키기 위한 '한편 지킴이 시민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500명이 한 평(1만 원)씩 임대비용을 후원하면 1년 임대비용을 마련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들 단체는 "산내 골령골은 구덩이 길이가 수십 미터에 달하는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이라며 "지난 달 시민의 힘으로 유해를 발굴했듯이 한 평 지키기를 통해 시민의 힘으로 유해보존에 나서자 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골령골 한 평 지킴이가 되어 우리의 이웃인 희생자 유가족들에게 대전이 살만한 도시임을 확인시키고, 중앙정부는 물론 500만 원의 긴급조치 재정이 없다는 대전시, 대전 동구청의 안일한 모습을 시민의 실천으로 꾸짖어 달라"고 강조했다.

해당 조례를 대표발의한 김경훈 시의원은 "조례에 담긴 의미가 실현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모금 기간은 오는 6월 27일 까지로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은 산내유족회로 연락하면 된다(042-253-3383).

"산내 골령골 학살은 불편한 진실"
전문학 대전시의원 5분 발언 "현장보존하고 인권교육현장으로 조성해야"
대전시 전문학 의원이 지난 2월 산내학살희생자 유골발굴 보고회에서 "위령제 지원을 위한 조례를 올해 안에 재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대전시 전문학 의원이 지난 2월 산내학살희생자 유골발굴 보고회에서 "위령제 지원을 위한 조례를 올해 안에 재정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 임재근

관련사진보기


저는 오늘 한국전쟁 시기 우리지역에서 1950년 여름 일어난 산내골령골 민간인 학살사건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산내골령골에서는 최소 1800명에서 최대 7000명에 이르는 민간인 희생자 유해가 묻혀 있습니다.

산내 골령골은 한국전쟁시기 전국 최대 민간인 학살현장입니다. 동족상잔의 비극이 이해할 수 없는 야만적 행위가 나와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우리 지역에서 일어났습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희생자 중 상당수가 이념이 무엇인지도 제대로 모르는 10대 청소년이라는 점입니다. 2010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산내 골령골 민간인 학살에 대해 '비록 전시라 하더라도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하는 국가가 좌익 전력이 있거나 의심이 된다는 이유만으로 형무소에 수감된 재소자와 보도연맹원들을 법적인 절차 없이 집단 살해한 것은 명백한 불법행위'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한 최종적 책임은 대통령과 국가에 귀속된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그러나 오늘의 현실은 어떻습니까? 역사의 현장에 대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는 외면과 방치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급기야 엄동설한에 유족회와 시민단체가 나서서 발굴사업을 진행하는 처지에 이르고 있습니다.

산내 골령골 학살은 불편하지만 진실입니다. 아프지만 우리의 역사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외면하고 역사의 현장을 방치하면서 과연 일본에게 과거사에 대해 사죄하고 개선책을 내오라고 주장할 자격이 있는지 묻습니다. 다행히 오늘 우리는 한국전쟁 희생자 위령사업 등에 관한 지원조례를 제정했습니다. 그간 수고를 마다지 않고 대표발의를 해주신 김경훈 의원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저는 이런 제안을 드립니다.

다시는 이 땅에서 이런 야만적 행위가 재발되지 않도록 평화와 인권 교육의 장으로 다시 태어나야 합니다. 대전시는 현장을 보존하여 훼손을 막고 민간인희생자 유해발굴과 수습을 함으로써 이 분들께 최소한의 예의를 다해야 합니다. 나아가 평화와 인권교육의 장이 되도록 추모공원을 조성해야 합니다. 단재 신채효 선생의 말을 전하는 것으로 제 발언을 마치겠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태그:#대전시의회, #조례제정, #산내유족회, #대전골령골, #대전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