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모이APP

공유하기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 메일
http://omn.kr/1pugq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공유하기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 교육
  • 기사32
  • 연재 종료
  • 김찬곤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김찬곤 (childkls)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32화고구려 무덤의 비밀을 알고 싶다면, 고개를 젖히세요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32] 위상과 아래하, 하늘 속 물(水)과 구름(云)-3

    무덤의 주인은 망자 도6 벽화는 덕화리 제2호 무덤 천장 바로 아래 부분 그림이다. 가운데를 보면 동그라미로 별을 그려놓고 자줏빛 선으로 이어 놓았다. 보면 바로 알 수 있듯이 북두칠성이다. 이 그림에 대해 학계에서는 이 북두칠성 ...
    20.06.10 11:25 ㅣ 김찬곤(childkls)
  • 31화모란은 모란이 아니고, 연꽃은 연꽃이 아니고

    [차근차근 한국미술사31] 위상과 아래하, 하늘 속 물(水)과 구름(云)-2

    모란은 모란이 아니다 전도가 한번 일어나면 원래 '기원'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만다. 이것은 좀 복잡한 문제인데, 한마디로 말하면 고구려벽화는 불교 이전의 고구려 세계관과 불교가 만나는 지점, 그 지점을 먼저 해석해야 한다. 문...
    20.04.24 09:48 ㅣ 김찬곤(childkls)
  • 30화한국미술의 기원은 무엇일까

    [차근차근 한국미술사30] 위상과 아래하, 하늘 속 물(水)과 구름(云)-1

    중국 한자에서 가장 중요한 글자는 위상(上)과 아래하(下) 이 두 글자다. 이 두 글자에서 구름(云), 구름·기운(三·气←氣의 갑골과 본자), 비(雨), 하늘과 비(示), 하늘(天), 받침(丌), 천명(言·帝), 소리·음악(音), 용(龍), 비(霝), 왕(王), ...
    20.04.17 10:24 ㅣ 김찬곤(childkls)
  • 29화기하학적 추상무늬란 말을 다시 생각해 본다2

    [차근차근 한국미술사29] 하우저와 야나기 무네요시 그리고 신석기미술

    하우저와 세계 신석기미술 아놀드 하우저는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창비, 1996)에서 아주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기하학적 모양을 위주로 하는 장식적 형식주의적 예술은 신석기시대와 더불어 시작한 이래 비상히 오랜 기...
    20.04.02 16:26 ㅣ 김찬곤(childkls)
  • 28화기하학적 추상무늬란 말을 다시 생각해 본다 1

    [차근차근한국미술사28] 빗살무늬토기의 비밀9- 곰브리치와 하우저 그리고 기하학 양식

    서양미술학자들은 이 무늬를 해석하지 못한다 〈사진1〉은 그리스 아테네 디필론 묘지에서 나온 암포라(amphora)다. 암포라를 영어사전에서 찾아보면 '고대 그리스·로마의 항아리로,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 있다'고 풀이한다. 〈사진1...
    20.01.30 13:52 ㅣ 김찬곤(childkls)
  • 27화다뉴세문경의 비밀, 드디어 풀리다 8

    '기하학적 추상무늬'란 말은 '자신도 모른다'는 말

    《장자》 〈소요유(逍遙遊)〉 편과 천원지방(天元地方) 고대 중국 사람들은 세상을 '천원지방(天元地方)'으로 보았다. 여기서 '지방(地方)'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는 여전히 문제이지만, 천원(天元)에 대한 생각은 아주 옛날부터 믿...
    19.12.13 14:21 ㅣ 김찬곤(childkls)
  • 26화다뉴세문경, 드디어 풀리다7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하늘은 둥글고 아홉 겹으로 되어 있다

    유안의 《회남자淮南子》와 신석기 세계관 중국 한나라 초기 회남려왕 유장의 아들 유안(劉安)이 엮었다고 알려진 《회남자淮南子》에 신석기 세계관을 알 수 있는 개념이 곳곳에 나온다. 특히 〈천문훈(天文訓)〉, 〈지형훈(墬形訓)〉, ...
    19.11.29 10:46 ㅣ 김찬곤(childkls)
  • 25화다뉴세문경 무늬, 드디어 풀리다 6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동심원 여덟 개는 도대체 무엇일까?

    다뉴세문경은 어떤 방법으로 만들었을까 〈사진178〉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에는 〈사진179〉 같은 동심원 무늬가 동서남북에 두 개씩 모두 여덟 개 있다. 우리 학계에서는 이 동심원이 무엇을 뜻하는지 아직 밝혀내지 못한 ...
    19.11.08 10:48 ㅣ 김찬곤(childkls)
  • 24화다뉴세문경 무늬, 드디어 풀리다5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사방오주(四方五州)와 천문(天門) 세계관

    중국 양사오문화와 미국 아칸소 신석기 그릇 중국 미술사학계에서는 〈사진172〉 같은 양사오문화 그릇 무늬를 '기하학적 무늬'라 하고, 이 문양이 무엇을 뜻하는지 고고학계와 미술학계에서 자주 논의했지만 아직까지도 이것은...
    19.10.08 18:44 ㅣ 김찬곤(childkls)
  • 23화다뉴세문경 무늬, 드디어 풀리다4

    [차근차근 한국미술사23] 다뉴세문경, 과연 기하학적·추상적·상징적 무늬일까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이 청동거울이 세상에 나온 지 60년이 지났는데도 우리는 이 거울의 정체를 알지 못한다. 거울 뒷면의 무늬는 그때나 지금이나 '기하학적 추상무늬'이다. 앞으로 6회에 걸쳐 한반도 청동거울의 기원...
    19.09.06 13:46 ㅣ 김찬곤(childkls)
  • 22화다뉴세문경 무늬, 드디어 풀리다3

    [차근차근 한국미술사22] 고구려 사람들의 세계관과 내세관 그리고 다뉴세문경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이 청동거울이 세상에 나온 지 60년이 지났는데도 우리는 이 거울의 정체를 알지 못한다. 거울 뒷면의 무늬는 그때나 지금이나 '기하학적 추상무늬'이다. 앞으로 3회에 걸쳐 한반도 청동거울의 기원...
    19.08.27 11:26 ㅣ 김찬곤(childkls)
  • 21화다뉴세문경 무늬, 드디어 풀리다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21] 다뉴세문경 무늬는 천문과 삼각형 구름과 비

    <회남자>에서 찾은 천문 세계관 저번 글을 읽고 한 독자가 메시지를 보내왔다. '사진153' 벽돌은 진나라 함양궁 벽돌이니까 기원전 3-2세기 유물이고, 청동거울은 그보다 훨씬 이전 기원전 14세기, 더 멀게는 20세기까지 ...
    19.04.08 14:05 ㅣ 김찬곤(childkls)
  • 20화다뉴세문경의 비밀, 드디어 풀리다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20] 다뉴세문경의 기원은 청동단추가 아니라 천문(天門)

    국보 제141호 다뉴세문경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이 청동거울이 세상에 나온 지 60년이 지났는데도 우리는 이 거울의 정체를 알지 못한다. 거울 뒷면의 무늬는 그때나 지금이나 '기하학적 추상무늬'이다. 앞으로 3회에 걸쳐 한반도 청동거울의 기원...
    19.03.08 18:09 ㅣ 김찬곤(childkls)
  • 19화한국미술의 기원은 '추상미술'이 아니라 '리얼리즘'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19] 빗살무늬토기의 비밀8-제주도 고산리식토기 무늬

    지금 대전선사박물관에서는 〈처음 만난 토기, 제주 고산리 유적〉 특별전(2월 28일까지)을 열고 있다. 이 전시는 우리나라 신석기 유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기원전 1만 년∼8000년 전)로 알려져 있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현경면 고산리 자구...
    19.02.01 17:48 ㅣ 김찬곤(childkls)
  • 18화한국미술의 기원, 드디어 풀리다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18] 빗살무늬토기의 비밀7-제주 고산리 융기문토기의 석 줄 띠무늬

    기원전 1만 년전 고산리 신석기 마을 지금 대전선사박관에서는 <처음 만난 토기, 제주 고산리 유적> 특별전(2월 28일까지)이 열리고 있다. 이 전시는 우리나라 신석기 유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기원전 1만 년∼8000년 전)로...
    19.01.21 21:03 ㅣ 김찬곤(childkls)
  • 17화6000년 전 암사동 신석기인이 그린 서울 하늘 뭉게구름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17] 세계 신석기인이 그린 반원·타원형 구름과 우운화생(雨雲化生)

    이집트와 암사동 신석기인이 그린 뭉게구름 〈사진88〉은 이집트 선왕조시대(기원전 5500∼3100) 신석기 그릇이다. 이 그릇에서 눈여겨봐야 할 곳은 하늘 아래 '반타원형 구름'이다. 반타원형 구름 사이로 삼각형 구름 띠무늬가...
    18.12.13 15:36 ㅣ 김찬곤(childkls)
  • 16화조선백자 자라병과 암사동 신석기인의 천문 세계관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16] 빗살무늬토기의 비밀5-보주(寶珠)와 영기문(靈氣文)의 기원

    조선백자와 암사동 신석기인의 천문(天門) 세계관 〈사진72〉를 보면, 가운데에 두 겹 원이 있고, 덩굴손 같은 선이 세 가닥 나오고 있다. 그리고 테두리 세 겹 원에서 풀꽃 잎이 세 군데서 나온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 풀꽃을 ...
    18.11.29 10:30 ㅣ 김찬곤(childkls)
  • 15화'빗살무늬'는 과연 암호일까?

    [차근차근 한국미술사 15] 빗살무늬토기의 비밀4-암사동 신석기인과 천문(天門) 세계관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때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서 빗살무늬토기가 나온 지 벌써 94년째 되어간다. 그 오랫동안 우리는 빗살무늬의 뜻을 풀지 못했다. 8000년 신석기인의 세계관을 '기하학적 추상무늬'라 하고 '생선뼈무늬'라 했다. 앞으로 열 차례...
    18.11.09 15:03 ㅣ 김찬곤(childkls)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