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 권우성

   
<택시운전사>를 통해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비극을 조망했던 엄유나 작가가 '감독'의 직함을 달고 <말모이>를 세상에 내놓았다. 두 작품의 공통점이 있다면 보통 사람의 눈을 통해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고 그들의 감정과 행동 변화를 그리고 있다는 것. 

<택시운전사>에서 조력자 캐릭터였던 유해진이 <말모이>에선 직접 변화를 체감하는 중심인물 판수를 맡았다. 1940년대를 배경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 사건을 재구성한 이야기에서 판수는 한글의 소중함을 느끼고 조선어학회 사람들 이상의 역할을 해낸다.

'사람의 귀함'. 엄유나 감독은 <택시운전사>를 끝낸 직후 조선어학회 사건을 다룬 시나리오를 써냈다. 당시 해당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시나리오 몇 편이 업계에 돌던 시기기도 했다. 큰 틀에서 <말모이>도 이윤재, 한징 선생 등 우리말 사전 작업을 하다 일제 고문에 사망한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했지만, 그것을 전면으로 드러내기보단 우리말 사전 작업에 참여한 보통 사람들의 모습에 주목했다.

이과 출신의 감독이 그린 우리말의 아름다움
 

 영화 <말모이>의 한 장면.

영화 <말모이>의 한 장면. ⓒ 롯데엔터테인먼트


고등학생 땐 이과였고, 대학에선 영화연출을 공부했던 엄유나 감독은 "영화 작업을 하면서 우리말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고백부터 했다. "준비하면서 보니 한글의 역사 자체가 우리 민족의 역사와 같다고 느꼈다"고 그는 말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드시고 한글이 업신여김을 당하다가 겨우 공인을 받았는데 바로 이어 일본에 의해 한글을 못 쓰는 상황이 됐잖나. 한글의 역사가 아픔의 역사였고, 그래서 일반 백성들의 역사같이 느껴지기도 했다. 주시경 선생, 조선어학회 관련해선 상식선에서만 알고 있었다. 언젠가 우연히 본 다큐멘터리에서 조선어 사전을 위해 수많은 사람이 함께 했다는 내용을 봤고, 그 마음이 값지다고 느꼈다. 

그 사람들 마음의 정체가 뭘까 궁금증이 있었다. 그래서 <말모이>라는 영화를 하겠다고 마음먹고 그 사람들의 마음을 나타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 귀한 마음을 표현하고 싶었다. 유해진 선배를 판수로 모신 건 선배 역시 귀한 배우라고 느꼈고, 판수라는 인물이 변화의 폭이 큰데 그걸 보일 수 있는 배우라고 생각했다. 또 말의 재미, 말맛을 살릴 분이라고 생각했다. 우리말이 맛깔스럽잖나. 그걸 잘 나타내고 싶었는데 여러 가지가 유해진 선배와 맞다고 생각했다."

  

▲ 영화 < 말모이 > 엄유나 감독 인터뷰 이 영상은 영화 < 말모이 > 엄유나 감독 인터뷰를 담고 있다. (취재 : 이선필 / 영상 : 정교진) ⓒ 정교진

 
2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투옥되는 사건이 바탕이었지만 동시에 한글이라는 무형의 자산을 극화한다는 게 녹록지는 않았을 것이다. 엄유나 감독 역시 "고민이 아예 없었다면 거짓말"이라며 "사람의 이야기이고 그 사이 갈등을 영화적으로 충분히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야기 배경 자체에 감동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기본적으로 조선어학회와 어학회가 만든 사전을 참고로 했다. 제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선 자료를 찾아보려 했다. 조선어학회 33인에 대한 기록도 최대한 보려 했다. 시나리오를 쓰면서 한글학회에 인사를 드리러 갔다. 거기서 제 시나리오를 읽어봐 주시기도 했고. 한글학회 자료를 제공받기도 했다. 그걸 바탕으로 판수와 정환(윤계상)이라는 가공의 인물이 나온 것이다."

작은 기적의 연속
 

 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 권우성


사람의 영화인 만큼 엄유나 감독의 고민은 군중신, 그리고 여러 캐릭터들이 한꺼번에 나오는 장면에 있었다. 엄 감독은 "사람이 빛나는 영화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었기에 사람들이 많이 나오는 장면에서 그들이 다 제대로 잘 보였으면 했다"며 "극중 공청회 장면 등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있는 장면이 힘있게 전달되길 원했다"고 말했다.

첫 연출이었던 만큼 감독은 배우들과 철저히 소통했고, 함께 고민했다. 유해진이 판수의 옷차림이나 몸짓, 흥얼거리는 노랫말 등을 연구했고 감독 역시 그것에 꽤 의지했다. 

"매 순간이 기적처럼 느껴졌다.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유해진 선배를 생각하며 썼는데 그 분을 시작으로 정말 좋은 배우들과 함께 작업하게 됐다. 신인 감독에겐 기적이지. 함께 한 스태프들도 뛰어나신 분들이다. 평범한 사람들이 귀한 사람이다라는 느낌을 다큐멘터리를 통해 받았고, 영화 과정이 바로 그런 귀한 사람들과의 작업이었다."  
 

 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 권우성

 
고등학생 때 영화 보는 것을 너무 좋아해 비디오 가게를 차리는 게 꿈이었던 엄유나 감독은 "특별히 연출에 꿈이 있어 대학에서 전공한 건 아니"라며 "공부를 하면서 연출에 대한 꿈이 생겼다"고 전했다. 일찌감치 영화 현장일을 경험했고, 2006년 <국경의 남쪽> 연출부로 일하다가 배우 유해진을 처음 만나기도 했다. 그렇게 십수 년을 버틴 게 엄유나 감독의 저력이었다. 대수롭지 않은 듯 그가 말을 이었다. 

"십수 년? 시간이 이렇게나 간 줄 몰랐다(웃음). 매 순간 열심히 했다. 힘든 순간도 있었지만, 매우 절박했던 같다. 그래서 다른 일을 할 생각을 못 했다. 할 수 있는 게 영화일 뿐이었고... 전 제가 보고 싶은 이야기를 시나리오로 쓴다고 생각한다. 다들 어려운 삶이잖나. 저도 영화 일이 쉽진 않았지만 현장에서 느껴지는 사람의 온기가 좋았던 것 같다.
 
그간 써놓은 시나리오들이 물론 있지만 그게 영화화되지 않은 이유는 있다고 본다. 최초로 영화화된 게 <택시운전사>였지. 5년 전 10년 전 가졌던 고민, 그리고 세상도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앞으로 뭘 써야 할지도 고민이다. 일단 <말모이>를 무사히 마무리 짓고 관객과 만나는 게 우선이다. 시나리오 작업이든 연출이든 각기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 같은데 영화 연출은 적어도 시나리오처럼 혼자 하는 게 아니라 더 든든하고 힘을 받는다. 영화 한 편을 만드는 게 사전을 만드는 작업과 비슷한 것 같다(웃음). 앞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 소중한 사람을 떠올리게 하고, 내 옆을 쳐다보게 하는 작품을 하고 싶다."

말모이 엄유나 유해진 윤계상 택시운전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메가3같은 글을 쓰고 싶다. 될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건 보통의 사람들.

오늘 하루만 살아가는 사람처럼 언제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