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의 지체 장애인은 등록기준 128만 9천여 명이다. 이들 가운데 장애 형태가 절단으로 분류되는 경우는 13.6%, 즉 17만 5천여 명으로 추정된다. 이들 중 97.6%는 후천성 장애인이며 의족과 의수 등 장애인 보조기기를 사용해야 한다.

지난 19일 KBS 1TV <시사기획 창>에서는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맞아 '나의 두 번째 발' 편이 방송되었다. 이날 방송에서는 의족을 쓰는 장애인들 인터뷰를 통해 적은 보조금 문제 등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어려운 점을 들여다 봤다. 취재 이야기가 궁금해 '나의 두 번째 발' 편 취재한 김태형 기자와 지난 20일 전화로 인터뷰했다.
 
 KBS 1TV <시사기획 창>의 한 장면

KBS 1TV <시사기획 창>의 한 장면 ⓒ KBS

 
다음은 김 기자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 방송 끝났는데 소회가 어떠세요?
"일단 무사히 끝나서 다행이란 생각이 들고요. 방송 보신 분들 가운데 '의족이 그렇게 비싼지 몰랐다', '간혹가다 의족을 쓰시는 분들 보면 되게 편하게 쓰시는 줄 알았는데 좋은 의족조차도 그렇게 편하지만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등의 말씀을 해 주셨어요. 좀 더 많은 사람이 (방송을)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취재는 어떻게 하시게 된 건가요?
"예전에 장애 관련해서 취재를 몇 차례 했었는데 그때 팔이나 다리 절단된 분들 생활이 어렵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이분들 이야기가 세상에 잘 알려지지 않고 있기도 하고요. 지금은 그 정도는 아니지만 다리 잃으신 장애인들 가운데는 밖으로 나오시는 것도 꺼리신다고 하더라고요. 기회가 되면 장애인 의족과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어요."

- 대부분 후천적 장애인이 의족을 쓰는 건가요?
"통계를 보면 지체장애인의 한 98% 가까이는 후천적이에요. 후천적이라는 건 꼭 사고만 의미하는 게 아니라 병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의족 쓰시는 대다수 분들도 다리가 멀쩡했다가 사고나 병으로 의족을 쓰게 되는 분들이 많은거죠. 병원 쪽 얘기를 들어보면 당뇨로 발이나 발목, 다리를 절단하게 돼서 의족 쓰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고 말씀들을 하시더라고요."

- 방송을 이동기씨 이야기로 시작한 이유가 있을까요?
"형편이 어렵고 사정이 힘든 케이스도 많았어요. 하지만 좀 더 평균적인 케이스를 보여주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우리 주변의 평범한 이웃인데 의족을 쓰시는 분 이야기로 시작하는 게 나을 것 같았어요. 이동기씨는 크게 부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또 크게 가난한 것도 아니에요. 작은 원룸에 살며 중견기업에 다니고 있는 우리 사회 30대 구성원입니다. 의족을 사용하고 있을 뿐이지, 어떻게 보면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웃이에요. 그런데 그런 분도 의족 가격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거죠."

- 의족 쓰는 사람이 얼마나 되나요?
"그 통계는 정확하게 나와 있지는 않고요. 다만 절단으로 분류되는 장애인 가운데 발목·종아리·허벅지·엉덩이 부위가 절단되신 분들은 기본적으로 의족을 써야 되거든요. 그런데 우리나라 장애인 통계와 정확하게 맞지 않아요. 경우에 따라서 의족을 안 쓰고 휠체어를 쓰시는 분들도 있고요. 일부긴 하지만 등록이 안 돼 있는 분도 있고요. 병원 측 얘기로는 우리나라에서 1년 기준 다리 절단 수술이 1천여 건이래요."

- 의족이 생각보다 많이 불편한가 봐요.
"저도 의족을 써본 적은 없으니까 어떤 느낌인지는 정확히 몰라요. 다만 그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굉장히 불편할 것 같아요. 비장애인들이 한 3-4kg짜리 신발을 신는다고 생각하면 그것만으로도 불편하겠죠. 의족이 보통 그 정도 무게가 나가거든요. 그게 발에 맞아야 하기 때문에 의족과 살이 맞닿은 부분은 조이게 돼 있어요. 조이지 않으면 헐렁해져서 의족이 떨어져 나갈 수 있어요. 그런 면에서 불편하다고 하더라고요. 특히 여름에 땀이 나면 더 힘들고요. 안에 땀이 차서 한 시간 마다 나가서 땀을 닦아주고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 방송을 보면 의족 가격이 차 한 대 값이랑 비슷하던데, 왜 이렇게 비싼 건가요?
"먼저 의족이 다 비싼 건 아니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제일 저렴한 건 허벅지 잃으신 분들 쓰시는 대퇴 의족인데 한 200만 원 정도면 구입할 수 있어요. 비싼 거는 1-2천 만 원이고 인공지능 의족은 5천만 원 이상 간다고 하네요. 1억 이상 가는 의족도 있고요. '의족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너무 폭리 아니냐'란 생각이 드실 수도 있는데요. 이렇게 생각하시면 쉽지 않을까 싶어요. 자전거를 보면 10만 원짜리 자전거도 있고 100만 원짜리 자전거도 있고 좋은 몇 천만 원 짜리도 있어요. 이런 식으로 가격대별로 부품이나 재질이 다른거죠. 의족도 그런 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 방송에 나오는 하재헌씨는 양발에 모두 의족을 사용하고 있는데, 가격적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 같아요. 
"만만치 않죠. 하재헌씨가 쓰는 한쪽 대퇴의족이 포스코에서 후원받은 건데 그게 국내에서 유통되는 의족 중에 제일 좋은 의족으로 알려져 있어요. 1억 원 정도 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나 의족은 평생 쓸 수 있는 게 아니에요."

- 5년밖에 못 쓴다고 하더라고요.
"일단 계속 움직여야 되잖아요. 움직이면서 체중을 지탱해야 해서, 많이 걷다 보면 의족 부품이 수명을 다 하는 거죠. 그러니까 이게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처럼 책상 위에 놓고 쓰는 게 아니라 신고 걸어 다니는 것이기 때문에 충격이 누적되면 5년 안팎으로 쓸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의족 수명은 보통 한 5년 정도로 보는데 활동을 적게 하면 좀 더 늘어날 수 있고 활동을 더 많이 하면 더 줄어들 수도 있고요. 경우에 따라 다를 수는 있는데 일단 일반적으로 5년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 의족 보조금이 있는데, 의족 가격대와 보조금 액수에 차이가 있네요. 
"(차이가) 크다고 봐야 됩니다. 허벅지 절단된 분들 쓰는 대퇴의족의 경우, 16년 만인 지난해 보조금이 296만 원으로 올랐어요. 좀 괜찮은 의족은 천만 원 정도 줘야 하는데 자기가 원하는 의족을 쓰기 힘든 게 사실이죠."

- 일반 의족으로는 달리지 못하는 건가요?
"의족이 굽혀졌을 때는 힘을 못 받아요. 우리가 달릴 때는 무릎이 굽힌 상태로 땅을 박차고 나가잖아요. 근데 의족은 그렇게 굽힌 상태에서 힘을 못 받으니까 일반 의족으로는 거의 구조적으로, 물리적으로 뛴다는 건 불가능하죠. 그냥 걸을 수 있는 거죠."

- 전동 휠체어도 가격 차이가 크네요?
"가격 차가 큽니다. 500만 원, 1천만 원, 그 이상 하는 전동 휠체어도 있고요. 가격 차가 큰 이유 중에 하나가 전동 휠체어가 그냥 가고 서고만 있는 게 아니라, 모터가 달려 있어서 뒤로 젖혀지는 것도 있어요. 그런 건 더 비싸죠. 전동 휠체어가 마치 로봇처럼 일자로 형태가 변해서, 사람을 설 수 있고요. 이런 전동 휠체어는 수천만 원 나가기도 하는데, 그런 휠체어가 꼭 필요한 분들이 있어요. 그리고 어떤 분들은 거의 가슴 아래를 못 쓰시는 분도 있고, 휠체어 쓰시는 분들도 사정이 다 다르거든요. 좀 더 좋은 휠체어가 필요한 분들이 있는데 휠체어 보조금도 209만 원으로 똑같이 주고 끝나니까 다기능 휠체어가 필요하신 분들은 자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거죠."

- 장애인 보조 기기를 안경과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면 좋지 않을까요? 안경을 쓴다고 장애인으로 보진 않잖아요.
"그렇죠.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예전에는 주변 시선을 의식해서 의족 쓰는 게 힘들었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지금 20대·30대 젊은 분들은 '안경 쓰고 다니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나도 내 몸에 필요해서 의족을 쓰는 건데 굳이 가리고 다니거나 다른 사람 시선을 의식할 필요가 있나'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 취재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면.
"일단 지체장애인의 한 98% 정도가 태어난 이후에 병이나 사고로 장애를 얻는 경우에요.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잖아요. 그리고 나이가 많이 들면 다들 한두 가지 장애를 안고 살아간다는 얘기도 있고요. 그래서 장애인들의 문제를 남의 일이 아니라 내 일 같다는 생각을 해보면 어떨까 하는 마음이 많이 들었어요. 암 환자 같은 경우는 건강보험에서 지원을 많이 해줘요. 그리고 그 부분에 사람들이 많이 공감하잖아요. 왜냐하면 누구나 나도 언젠가 암에 걸릴 수 있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죠. 암 환자에 대한 보장을 늘리는 일에 대해 사회적 공감대가 있는 것이죠. 저는 장애인에 대한 지원도 이런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예를 들면 보조기기 지원도 그렇고 전철역에 엘리베이터 만드는 일도 그렇고. 예산이나 이동권은 장애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두의 문제가 될 수 있죠. 그리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장애인들이 거리에 좀 더 많이 나와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사회가 정말 선진국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그런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겠지만, 그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의 관심이 아주 중요하죠."

- 취재할 때 어려운 점은 있었다면.
"개인적인 건데, 예를 들면 다리 잃으신 분들한테 '다리를 어떻게 잃게 됐느냐', '수술할 때는 어땠냐', '다리 잃고 나서 생활은 어땠냐'라는 질문을 해야 되잖아요. 그런 질문하는 게 힘들었어요. 하고 싶은 이야기는 많은데 방송 나가는 건 원치 않는 분들도 꽤 있었어요. 이해는 하죠. 그런 분들 이야기를 들을 때 좀 안타까웠습니다."
덧붙이는 글 전북의소리에도 중복게재 합니다.
김태형 시사기획 창 의족 장애인 보조기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들의 궁금증을 속시원하게 풀어주는 이영광의 거침없이 묻는 인터뷰와 이영광의 '온에어'를 연재히고 있는 이영광 시민기자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