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6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의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국외 탈출을 위해 주민들이 담을 넘어 공항으로 들어가고 있다. 아프간의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정권 재장악을 선언하자 카불 국제공항에는 외국으로 탈출하려는 군중이 몰려들었으며 결국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고 공항은 마비됐다.
 지난 16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의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국외 탈출을 위해 주민들이 담을 넘어 공항으로 들어가고 있다. 아프간의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정권 재장악을 선언하자 카불 국제공항에는 외국으로 탈출하려는 군중이 몰려들었으며 결국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고 공항은 마비됐다.
ⓒ 연합뉴스=EPA

관련사진보기

 
이슬람 무장 세력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점령하면서 난민이 국제 사회 이슈로 떠올랐다. 유엔난민기구(UNHCR)의 자료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내 난민은 약 3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들 중 극소수만이 난민 자격을 얻어 외국에 체류할 것으로 보인다.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마주한 파키스탄, 이란은 일부 인도적 지원 외에는 난민 수용을 경계하고 있고, 오스트리아·프랑스 등 일부 유럽국가들도 난민 수용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아프간 난민 수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최근 한국을 비롯한 일본, 이탈리아, 코소보 등의 미군기지에 난민 수용을 고려하고 있다는 기사가 보도되면서 그동안 난민 수용에 거리를 두던 한국 사회에 난민 수용 문제가 이슈로 떠올랐다.

온라인에서는 난민 수용에 대해서는 찬반이 갈리고 있다. '인도적인 차원에서 수용해야 한다'라는 측과 '우리나라가 난민을 받아들일 책임과 의무는 없다'라는 의견으로 나뉘었는데 현재까지는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여론이 높은 듯하다. 최근 난민 수용에 긍정적인 의사를 밝힌 정의당 장혜영 의원과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에게는 항의 전화와 비난 댓글이 빗발쳤다.

난민 수용에 관한 문제는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인도적인 차원에서는 수용해야 하지만 다른 민족과 함께 살아본 경험이 극히 드문 한국 사회이기에 우려하는 점도 충분히 이해된다. 하지만 과연 우리나라가 난민을 수용해야 하는 의무가 전혀 없을까?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참석한 가운데 18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의장대가 홍범도 장군의 영정과 유해를 들고 입장하고 있다. 2021.8.18
▲ 홍범도 장군 유해 입장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참석한 가운데 18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열린 홍범도 장군 유해 안장식에서 의장대가 홍범도 장군의 영정과 유해를 들고 입장하고 있다. 2021.8.18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지난 광복절은 유독 더 뜻깊은 광복절이었다.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서 대승을 이끈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78년 만에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기 때문이다. 홍범도 장국의 귀국에 여·야 할 것 없이 존경의 뜻을 표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최고 등급 훈장인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최고 등급 훈장을 받은 홍범도 장군이지만 생전 장군의 삶은 늘 위태로웠다.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서 승리를 견인한 이후 홍범도 장군은 일제의 표적이 되었다.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대패한 뒤 일본은 이를 위한 보복으로 만주 내 한인들을 학살하는 간도참변을 일으켰고, 독립군들은 일제의 토벌을 피해 만주, 연해주, 러시아 등으로 흩어졌다.

자유시로 이동한 홍범도 장군과 독립군은 그곳에서 자유시 참변을 겪었고, 조선인들을 빌미로 일본군이 러시아를 침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 러시아는 홍범도 장군을 비롯한 선조들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켰다. 그렇게 카자흐스탄에 정착한 홍범도 장군은 노년을 극장 수위로 보내며 광복을 2년 앞둔 1943년 75세의 나이로 이역만리에서 쓸쓸하게 돌아가셨다.

홍범도 장군은 한국 독립 운동사의 영웅이지만, 장군의 삶은 난민과도 같았다. 국권을 피탈 당한 나라를 되찾기 위해 먼 타지에서 오매불망 독립만을 꿈꾸시며 끝내 독립된 땅을 살아생전에 밟지 못하셨다. 장군은 78년 만에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지만, 그때 이후 여러 사정으로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이들도 많다.

학창시절부터 단일민족이라는 교육을 받아온 우리에게는 타민족과의 공존이 두려울 수 있다. 삼면이 바다로 막히고 대륙으로 가는 길은 북한에 막혀 사실상 섬나라처럼 살아온 우리에게, 돼지고기를 먹지 않고 코란을 읽는 이슬람 민족은 낯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탈레반과 같은 테러리스트가 아니다.

일제의 토벌을 피해 원치 않게 조국을 등지고 떠나야 했던 선조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또한 탈레반의 폭정을 피해 고국을 떠난 사람들이다. 사랑하는 나라를 잃어본 심정을 누구보다 잘 아는 우리가 정말 난민 수용에 대한 아무런 책임과 의무가 없을 수 있다고 단정할 수 있을까.

일부 정치인과 난민을 향한 원색적인 비난이, 마치 선조들을 향하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해 씁쓸하기만 하다.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이성윤씨는 미래당 서울시당 대표입니다. '정치권 세대교체'와 청년의 목소리가 의회에 좀 더 반영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2016년 12월 청년정당 미래당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을 맡았고, 2017년에는 만 23살의 나이로 1기 공동대표를 맡았습니다. 서른을 앞둔 지금은 미래당 서울시당 대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태그:#아프간 난민, #난민수용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